-
2019년 4월 17일
남은 시간을 보낸 방법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그러면서도 사람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개념에는 기회비용 이라는 것이 있다. 무언가를 하겠다는 우리의 모든 결정은 동시에 다른 무언가를 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포함한다. 저녁 시간의 강연에 참석하기 위해서는 집에서 아이가 잠들도록 이야기를 읽어주는 일을 포기해야 한다. 한 시간 반 동안 뉴스를 보는 것은 그 시간 동안 축구를 보지 않는 것이다. 내가 트위터에 올린 4만개의 트윗은 분명 내게 무언가를 비용으로 가져갔겠지만, 나는 그 당시 내가 → 더 보기
-
2019년 4월 17일
2011년은 내게 무척 중요한 해였다. 아들이 태어났고, 새로운 도시로 이사 했으며, 책을 한 권 펴냈다.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더 중요한 일이 그 해에 있었다. 2월 9일, 나는 첫 스마트폰을 샀다. 당시 나는 그 일이 내 인생에 큰 의미를 가지게 될 줄은 몰랐다. 일기장에도 그 사실을 써 놓지 않았다. 내가 그 날짜를 알게 된 것은 영수증 덕분이다. 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을 산 것이 정말 큰 일이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생각에 관한 생각”의 → 더 보기
-
2019년 4월 16일
* 칼럼을 쓴 데렉 머피는 마라톤에서 속임수를 쓰는 사람들을 적발해 퇴출하는 캠페인 사이트 marathoninvestigation.co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지 시각으로 오늘(15일) 미국 보스톤에서는 유서 깊은 보스톤 마라톤이 열립니다. 6년 전 일어난 테러 공격을 제외하면 보스톤 마라톤과 관련해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입에 오르내리는 ‘사건’은 아마도 1980년에 일어난 로지 루이즈(Rosie Ruiz)의 뻔뻔한 거짓말일 겁니다. 당시 루이즈는 레이스의 출발을 알리는 총성이 울린 뒤 엉뚱한 곳에서 시간을 보내다가 결승선을 1km도 남겨두지 않은 지점에서 몰래 마라톤 → 더 보기
-
2019년 4월 15일
“인생은 마흔부터.” 1930년대에 출간된 한 자기계발서 덕분에 유명세를 얻은 오랜 속담입니다. 오랫동안 열심히 일한 보상으로 스트레스는 적어지고 소득은 높아지며, 아이들은 다 자라 집을 떠나고, 운이 좋은 경우 체력과 건강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라죠. 전 세계 행복지수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이 이론이 어느 정도는 맞아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10대와 20대 초반까지 사람들은 대체로 행복합니다. UN이 지원한 세계행복보고서 작성을 위해 갤럽은 158개국의 설문 대상자에게 인생 만족도에 0에서 10 사이의 점수를 매겨달라고 했습니다. 2016-18년 → 더 보기
-
2019년 4월 12일
학생 시절 제게는 물리학을 공부하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그 친구의 박사과정 지도교수는 원자론의 핵심적인 공식을 계산한 노트를 궁금하면 언제든 꺼내 볼 수 있도록 잘 정리해서 들고 다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직 컴퓨터 한 대의 본체 크기가 어른의 한 아름을 넘던 시절이었습니다. 복잡하기 짝이 없는 계산 과정을 일일이 종이에 써서 들고 다녀야 했죠. 제 친구도 그렇게 했는데, 손으로 일일이 공식을 풀다 보니 계산이 틀리거나 연필로 쓴 글자가 지워지거나 얼룩져 알아볼 수 없게 되기 → 더 보기
-
2019년 4월 9일
주디아 펄과 다나 매킨지의 “인과에 대하여(The book of Why)”는 펄의 기념비적인 전작 “인과율(Causality)”을 보통의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만든 책입니다. 이 책은 그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습니다. 책의 대부분은 쉽게 읽히며, 오직 일부분에서만 전문적인 수학이 사용됩니다. 과학의 역사 이 책의 상당 부분은 통계학자와 과학자들이 인과관계를 적절한 과학적 주제로 다루기 거부한 시기(20세기의 대부분)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들은 상관관계를 주로 관찰했고, “상관관계는 인과관계가 아니다”라는 원칙만을 주술처럼 반복했습니다. 과학자들은 꾸준히 자신의 연구에서 인과관계를 → 더 보기
-
2019년 4월 8일
만연한 당파주의와 무엇이든 들불처럼 빠르게 퍼져나가는 소셜미디어 환경은 쉽게 속단하는 인간의 습성을 한층 강화시켰습니다.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판단을 내리는 것은 인간들의 오랜 결함이지만, 초고속으로 복잡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더욱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소셜미디어 환경은 불완전한 정보에 근거한 경솔하고 성급한 판단을 부추기고, 감정적 정체성이나 이데올로기적인 입장을 한층 강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여럿 발표되었죠. 최근에는 전 국방장관인 애쉬 카터의 부인 스테파니 카터가 2015년에 찍힌 사진을 해명하고 나선 일이 있었습니다.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 더 보기
-
2019년 4월 5일
미국의 대표적인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Patagonia)는 개인 고객뿐 아니라 기업 고객에게도 꽤 많은 옷을 팔아왔습니다. 얇고 가벼운 점퍼나 플리스 재킷, 조끼의 왼쪽 가슴에는 파타고니아 로고가, 오른쪽 가슴에는 회사 로고가 박힌 맞춤형 단체복은 실용적인 것을 좋아하는 직원이 많은 회사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기도 했습니다. 오랫동안 그저 옷을 잘 만들어 파는 것 이상의 가치를 추구해온 파타고니아가 이번에는 앞으로 기업 고객을 가려 받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친환경 기업으로 인증받지 못하는 기업은 직원들에게 파타고니아 로고가 새겨진 단체복을 입힐 → 더 보기
-
2019년 4월 4일
인공지능(AI)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을 자동화시킵니다. 뉴욕타임스, AP, 로이터, 워싱턴포스트, 야후 스포츠를 비롯한 여러 언론의 기사도 예외는 아니죠. 영국 통신사 PA(Press Association)는 매달 기사 3만 건을 인공지능으로 써냅니다. 이런 기사는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했는지 규칙에 따른 정형화된 기사가 대부분이지만, 오늘날 인공지능은 시나 소설처럼 창의적인 글쓰기 작업으로 점차 영향력을 넓히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어떻게 콘텐츠를 작성할까요? 데이터로부터 이야기를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를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이라고 합니다. 비즈니스 데이터 리포트, 이메일 → 더 보기
-
2019년 4월 3일
보통 사람은 하루 수백 가지 행동을 습관적으로 행합니다. 잠에서 깨어나 스마트 폰을 확인하고, 아침을 먹고, 이를 닦고, 일과를 시작하며, 커피를 마십니다. 최근 자기계발 분야는 이러한 습관에 대한 관심으로 뜨겁습니다. 생산성 향상이나 다이어트, 재산 증식과 같은 인생의 중요한 목적을 어떻게 ‘게임화’하고 생활습관을 바꾸며(life hacks), 디자인(life design)해 이런 목적을 달성한지에 대한 다양한 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들의 과학적 배경은 다양하지만, 습관을 연속된 일련의 행동으로 정의하고, 이를 수정함으로써 자신을 보다 바람직한 인간으로 만들 수 → 더 보기
-
2019년 4월 1일
미국에서 여성의 임신중절권은 1973년 ‘로 대 웨이드(Roe v Wade)’ 대법원 판결에 의해 인정되었습니다. 이 판결을 통해 임신 2기(약 28주)까지의 임신 중절이 합법화되었습니다. 1992년 ‘가족계획협회 대 케이시(Planned Parenthood v Casey)’ 판결을 통해 합법적 임신중절이 가능한 기간이 태아가 자궁 밖에서 살아남을 수 있기 전, 즉 24주로 수정되었지만, 임신 초기 임신중절권 자체는 아무런 도전도 받지 않았죠. 그러나 상황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공화당이 집권하고 있는 주들이 하나 둘 합법 임신중절이 가능한 시기를 태아의 심장박동이 감지되기 → 더 보기
-
2019년 3월 29일
40년 전 오늘은 미국 역사상 가장 심각한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났던 날입니다. 펜실베니아주 쓰리마일섬(Three Mile Island)에 있는 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노심용융(meltdown) 현상이 일어났죠. 원자로의 열을 식혀줄 냉각수가 제때 공급되지 않아 일어난 사고는 기계 결함, 장비 노후화에 사람의 실수가 겹쳐져 일어난 사고였습니다. 쓰리마일섬 사고로 미국 전역에서 원자력발전과 핵연료에 대한 반대 여론이 급등했고, 원자력 발전의 지위는 미국 내에서 줄곧 내리막길을 걷게 됩니다. 당시 사고가 났던 2호기는 계속 폐쇄된 가운데, 사고 후 다시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