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 2일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2월 14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The Ugly American.” 미 해군 출신 작가 윌리엄 레드러와 정치학자이자 소설가인 유진 버딕이 같이 쓴 정치 풍자 소설로 1958년에 발매돼 베스트셀러가 됐습니다. 국내에도 “추악한 미국인”이라는 제목으로 번역이 됐지만, 지금은 절판된 것으로 보이는 이 책은 아시아에 파견된 미국 외교관들이 현지 문화를 얕잡아 보고 현지인을 무시하며 엘리트층하고만 교류해 반미 감정을 → 더 보기
-
2025년 3월 30일
지난 2022년 11월 스브스프리미엄의 시작과 함께 뉴욕타임스 칼럼을 골라 번역하고 해설을 달아온 스프x뉴욕타임스 코너의 마지막 글입니다. (4월 한 달은 뉴욕타임스 칼럼을 선정해 번역만 올리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맞아 수많은 관행을 깨고 마가(MAGA) 진영과 일론 머스크를 위시한 갑부들의 공세에 야당 민주당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사이, 전국을 돌며 미국인들의 고충을 직접 듣고 삶과 노동이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의견을 나누는 정치인이 있습니다. 바로 버니 샌더스죠. 샌더스는 수십 년째 → 더 보기
-
2025년 3월 29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글은 2월 11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중국 기업 딥시크 쇼크는 인공지능 업계는 물론이고, 전 세계에 커다란 충격파를 안겨줬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딥시크가 수많은 제약을 뚫고 보여준 성공은 테크 업계의 미래에 관한 → 더 보기
-
2025년 3월 25일
일론 머스크는 지난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올인’하더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돼 연방정부 공무원들을 연일 대량 해고하며 세간의 이목을 한몸에 받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머스크를 상징하는 브랜드라 할 수 있는 테슬라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본업보다 정치에 온통 관심이 팔린 CEO”가 문제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단 오늘(24일) 테슬라 주가는 다시 많이 올랐지만, 테슬라와 스페이스엑스가 근본적인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지적은 여전히 유효해 보입니다. 스페이스엑스의 문제를 중심으로 진단한 항공 → 더 보기
-
2025년 3월 24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글은 2월 7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와의 정상회담 이후 또 한 차례 폭탄 발언을 했습니다. 미국이 가자지구를 점령(take over)해 가자지구에 사는 팔레스타인 사람 200만 명을 주변 국가로 이주시킨 뒤 → 더 보기
-
2025년 3월 22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글은 2월 4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지난주 워싱턴 D.C. 상공에서 여객기와 군 헬기가 충돌해 비행기에 타고 있던 사람 67명이 모두 숨지는 끔찍한 사고가 난 이튿날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사고 원인에 대한 → 더 보기
-
2025년 3월 21일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다큐멘터리를 수상한 작품 “노 아더 랜드”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둘러싸고 계속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에 실린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활동가들의 소회를 번역하고, 제가 직접 영화를 본 뒤 감상평을 썼습니다. 전문 번역: 최고의 상 수상 뒤 살해 위협…참혹한 현실에 맞선 영화 해설: “불의를 멈춰달라” 감동의 목소리…이·팔 합작 다큐의 여운
-
2025년 3월 19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글은 1월 31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미국에 처음 와서 영어를 익혀가며 뉴스페퍼민트를 막 시작했을 무렵의 일입니다. 유학생이든 이민자든 처음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특히 어려운 점 중 하나가 대화의 뉘앙스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춰 자연스럽게 대처하는 → 더 보기
-
2025년 3월 19일
취임 후 국제 무대에서 기존의 질서를 허물며 자기 내키는대로 미국의 정책을 이랬다저랬다 쏟아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해 미국의 신뢰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일관성의 부족을 트럼프 대통령의 자신만의 ‘협상의 기술’이라고 옹호했지만, 이는 자칫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힘에 굴복해 트럼프가 원하는 걸 얻게 해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미국의 신뢰 자체를 떨어트릴 수 있는 문제입니다. 마시멜로 테스트를 거듭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78세 대통령의 문제를 짚어봤습니다. 전문 번역: “날개 없이 추락하는 평판…미국이 맞닥뜨리게 될 일들” 해설: “마시멜로 → 더 보기
-
2025년 3월 17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글은 1월 24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전체주의 통치의 이상적인 주체는 신념에 찬 나치나 신념에 찬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사실과 허구의 구분, 참과 거짓의 구분이 더는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가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한 말입니다. 나와 → 더 보기
-
2025년 3월 15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글은 1월 21일 스프에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종혁 교수가 쓴 글입니다. 중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는 상황은 전 세계 안보와 경제 구조에 막대한 충격을 줄 것입니다. 타이완과 우호 관계를 형성하거나 경제적 통합을 통해 자연스러운 통일을 추구하던 이전 세대 → 더 보기
-
2025년 3월 14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발표한 행정명령 가운데 “미국의 공식 언어는 영어”라고 못박은 행정명령이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문화를 정부가 나서서 규정한 건데, 이를 두고 지지자를 결집하기 위해 불필요한 정치적 제스처를 취했다는 비판부터 미국이 구축한 소프트 파워를 갉아먹는 결정이라는 지적까지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카를로스 로자다의 칼럼을 번역하고, 해설을 썼습니다. 전문 번역: ‘태양은 뜨겁다’는 법이 필요한가요? 미국에 공식 언어가 필요한가요? 해설: 영어 쓰지 않으면 비정상? 트럼프의 행정명령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