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2월 13일
색은 인간의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색채 심리학의 기본 지식을 정확히 숙지하면 당신의 비지니스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Robert Plutchik’s Wheel of Emotions (Photo credit: Wikipedia) #1. 색과 온도 벽에 칠해진 색은 사람이 온도를 인지하는 방식에 영향을 줍니다. 이를테면, 오렌지, 빨강, 노랑과 같이 따듯한 색은 사람들로 하여금 실제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더 높다고 착각하게 만듭니다. 이와는 반대로, 파랑, 초록, 연보라와 같이 차가운 → 더 보기
-
2014년 2월 13일
지난달, ‘가난과의 전쟁(the War on Povery)’ 캠페인 50주년 행사 연설에서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미 상원의원은 결혼이 아이들과 가족들을 가난으로부터 구제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도구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선거철에는 경제 불평등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정치적 해법의 일환으로 결혼장려 정책이 등장하기도 했었죠. 이렇게 정치권에서 가난을 구제하기위해 결혼이라는 수단을 동원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연 결혼은 가난을 구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것일까요? 정부가 추진하는 결혼장려 정책의 근저에는 결혼과 가난의 상관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 더 보기
-
2014년 2월 13일
발렌타인데이를 전후해 많은 초콜릿 회사들은 초콜릿의 효능을 알리기에 바쁩니다. 하지만 코코아에는 실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평소에 먹는 초콜릿으로 그 효과를 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3000년 전 고대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에서는 카카오 콩이 의약품으로 여겨졌습니다. 당시 카카오 콩은 피로회복, 후두염, 변비, 치석제거, 설사, 통풍, 심장과열, 피부 발진, 열병, 심장마비에 사용되었습니다. 그후 16세기 유럽인들은 카카오 콩을 갈아 코코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지방, 우유, 설탕을 넣어 만든 초콜릿은 입안에 → 더 보기
-
2014년 2월 12일
내전으로 멍든 시리아에서 반군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 창구가 있습니다. 바로 해적 라디오(pirate radio)입니다. 내전이 시작된 이래 반군들이 세운 라디오 방송국은 십 여 곳에 달합니다. 봉기 초반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시리아 내에서 설 곳을 잃은 젊은 활동가들이 주축입니다. 이들은 현재 정부군의 타겟인 동시에 이슬람주의자와 극단주의자들의 배척을 받고 있습니다. 음악과 여성의 목소리를 라디오로 내보내기 때문이죠. 일부는 반군측 저널리스트들을 지원하고 있는 미국 정부의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잔인하고 폭력적인 장면을 인터넷에 올려 → 더 보기
-
2014년 2월 12일
맞벌이 부부의 집안일 나누기는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맞벌이더라도 직장에서 일하는 시간이 대개 상대적으로 더 긴 남편들은 ‘밖에서 일에 치이다 왔는데 집안일까지 시키는 건 너무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남자들만 그렇게 생각하는 건 아닐 겁니다. 최근 미국인들이 시간을 어디에 어떻게 쓰는지를 조사해봤더니, 모든 종류의 노동을 하는 시간에 있어서는 남녀 사이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지 평균을 냈을 때 홑벌이 가정의 경우 남자가 밖에서 돈을 벌고 여자가 가정주부인 → 더 보기
-
2014년 2월 12일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교수인 폴 오이어(Paul Oyer)는 지난달 출판된 “온라인 데이팅으로부터 배운 경제학 (Everything I Ever Needed to know About Economics I Learned From Online Dating)”의 저자입니다.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를 직접 이용한 당사자로서 오이어 교수는 온라인 데이팅 시장에 적용되는 경제학의 논리들에 흥미를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책은 어떻게 경제학적 지식이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에서 짝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가 책에서 기술하고 있는 전략은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왜냐면 그 역시 그의 짝을 → 더 보기
-
2014년 2월 12일
저는 최근 청구서를 아이폰으로 지불했습니다. 앱이나 모바일 뱅킹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말 그대로 애플의 아이폰 단말을 화폐로 사용했다는 겁니다. 시작은 작년 12월 뉴욕으로 출장을 갔을 때였습니다. 저는 용역서비스는 싸고 IT 기기는 비싼 이탈리아 로마에서 살고 있는데 이곳에서 출시된 아이폰5s는 $1,130 정도합니다. 미국에서 사면 세금을 포함해도 $815 정도지요. $1,130면 이탈리아 노인 간병인의 한 달 월급 정도 됩니다. 저희 집에서 집안일을 해주는 아주머니가 제가 미국에 출장간다는 이야기를 듣더니 월급 대신 아이폰을 사다주면 → 더 보기
-
2014년 2월 12일
과거와 비하여 많은 행정서비스가 전산화되어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많은 정부가 디지털 행정서비스의 참된 의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구축과 같은 형식에만 한정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복잡한 규례, 부족한 디지털 행정력, 불합리한 조달 과정이 그 이유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러한 제약을 딛고 보다 나은 디지털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요? 7가지 개선 방안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시민들을 우선하는 행정서비스 문화를 도입하라 많은 정부가 좋은 의도를 가지고 행정적 실험들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선의는 관료주의의 홍수 → 더 보기
-
2014년 2월 12일
(가디언의 딘 버넷 칼럼입니다) BBC는 더 이상 남자들로만 이루어진 토크쇼를 만들지 않겠다고 결정했습니다. 물론 나는 개인적으로는 토크쇼 자체를 줄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다른 토크쇼에서 어떤 이야기들이 오고갔는지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토크쇼가 나올 것 같습니다. 어쨌든 BBC의 이 결정은 연예계의 “창조론 논쟁”이라 할 수 있는 “여자는 웃기지 않는다”는 논쟁에 다시 불을 붙였습니다. 마치 “창조론”이 증거와 무관하게 누군가에 의해 끝없이 주장되는 것처럼 이 주장 역시 몇몇 사람들의 고집에 의해 계속 주장되고 있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2월 11일
인터넷 사용 환경이 모바일 기기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모든 웹사이트들이 적응 기간을 거쳤지만, 위키피디아의 고민은 더욱 깊었습니다. 작은 화면에서도 문서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작업이 가능한가가 문제로 떠올랐던 것이죠. 위키피디아는 10명의 개발자로 구성된 모바일팀을 만들었고, 작년 7월부터 모바일에서도 문서를 만들고 편집하는 작업이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모바일 기기로 위키피디아에 접속하는 사용자 비율은 약 20퍼센트로 여타 사이트들에 비해 낮은 편이기도 하지만, 문서 작성과 편집의 모바일 비중은 1% 정도로 더욱 낮습니다. 모바일 기기 환경은 생산 활동보다 → 더 보기
-
2014년 2월 11일
미국의 선거 자금은 매년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가을에 치러질 중간 선거가 9개월이나 남았지만 이미 모금과 지출 경쟁에는 불이 붙었습니다. 2012년 대선 때는 선거 자금이 총 2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같은 민주주의 선진국이라도 프랑스는 대통령 선거 한 번에 3천만 달러 정도가 쓰이니, 미국이 유독 선거에 돈을 많이 쓰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2010년 시티즌즈 유나이티드(Citizens United) 대법원 판결을 이유로 꼽습니다. 기업이나 노조의 독립적, 즉 특정 후보의 선거 본부에서 → 더 보기
-
2014년 2월 11일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가 급격히 떨어지자 13년 전의 채무불이행(Default) 위기를 다시 겪는 게 아니냐는 소리가 공공연히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유명 헤지펀드 두 곳이 아르헨티나 정부가 2001년 채무불이행을 선언했던 채권을 두고 정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 곳이 채무자를 어떻게든 달래서 있는 돈이라도 적당히 받아내는 전략을 쓰고 있다면, 다른 한 곳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빌려준 돈을 이자까지 쳐서 모조리 받아내겠다는 강경한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어느 한 쪽이 도덕적으로 정당한 문제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