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2월 19일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 있는 서남민족대학에는 지난해 보존 가치가 뛰어난 티베트 고문서들 1만 2천여 점을 소장한 도서관이 개관했습니다. 봉건적이라고 간주된 것들은 모조리 태워버렸던 문화혁명 시기를 견뎌낸 고문서들은 최근 한족의 동화정책과 이에 반발해 잇따라 일어났던 티베트 승려와 민중들의 산발적인 저항이 부른 중국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강경 진압을 또 한 번 견뎌냈습니다. 이 도서관은 생의 대부분을 미국 의회도서관 사서로 일했던 학자이자, 티베트 불교문화원(Tibetan Buddhist Resource Center) 설립을 주도했던 고(故) 진 스미스(E. Gene Smith) 씨를 빼놓고 → 더 보기
-
2014년 2월 19일
* 이 글은 엘리 핑켈 (Eli J. Finkel) 노스웨스턴 대학 (Northwestern University) 심리학과 & 경영대학 교수가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글입니다. 오늘날 결혼은 과거에 비해서 더 나아졌나요, 아니면 나빠졌나요? 이 어려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대체로 다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나빠졌다고 말하는 이들은 이혼이 증가하고 도덕성이 해이해진 것을 근거로 듭니다. 반대로 나아졌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이혼율이 증가한 것은 오히려 개인의 선택이 존중 받는 방향으로 결혼 제도가 진화했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합니다.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저는 결혼에 → 더 보기
-
2014년 2월 19일
(MIT 에서 과학저술을 가르치며, 본인이 작가이기도 한 제스 므누킨이 Slate 에 기고한 글입니다.) 필립 세이무어 호프만의 죽음을 들었을 때 나는 울었습니다. 그가 22살에 약을 끊었고 23년동안 술과 약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나를 공포에 질리게 만들었습니다. 그는 그 23년 동안 아카데미를 받았고, 후보로 3번이나 지명되었으며, 그의 또래에서 가장 재능있는 배우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는 세 아이의 아버지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12년의 어느날, 그는 진통제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는 그를 죽음에 이르게 만들었습니다. 약물 중독은 다양한 → 더 보기
-
2014년 2월 19일
다른 일자리에 대한 약속이나 보장 없이 현재 직장을 그만두는 것은 일반적으로 좋은 생각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 이직을 고려해야 할 7가지 징후들이 있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지난주 아시아를 방문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영원한 역내 골칫거리는 아마도 북한일 것입니다. 미국 해군의 푸에블로호가 납치당했던 1968년만큼 상황이 나쁘지 않은 것이 유일한 위안일지도 모릅니다. 북한은 오늘날까지도 푸에블로호를 초강대국인 미국을 상대로 얻어낸 전리품으로 홍보하며 관광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LA타임즈 기자 출신인 잭 치버스(Jack Cheevers)는 최근 푸에블로호 승무원을 상대로 한 심층 인터뷰와 기밀 해제된 문서들을 바탕으로 <전쟁행위: 린든 존슨, 북한과 간첩선 푸에블로호 납치 (“Act of War: Lyndon Johnson, North Korea and the →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미국 어디에서든 차를 타면 10분 이내로 갈 수 있는 스타벅스처럼 우리 교회도 미국에 그렇게 많아져야 합니다. (적어도) 10마일마다 하나씩 교회를 짓는 게 목표예요.” 제임스 파델레(James Fadele) 목사는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북쪽으로 한 시간 가량 떨어진 곳에 한창 건설 중인 예배당과 1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 대형 강당 등을 둘러보며 당차게 말했습니다. 그가 말하는 교회는 “구원받은 기독교인들을 위한 하나님의 교회(Redeemed Christian Church of God, RCCG)”로 지난 1952년 나이지리아에서 시작된 오순절파(Pentecostal)의 갈래를 →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영국을 대표하는 이미지인 펍(Pub)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맥주를 마시고 간단한 음식을 먹는 대중적 술집인 펍은 경제 구조의 변화와 사람들의 기호 변화로 하나 둘씩 부동산 중개업소나 옷가게에 자리를 내주고 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다섯 개 중 한 개의 펍이 문을 닫았고 상황은 점점 나빠지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7천여 개의 펍이 문을 닫았고, 영국 사람들은 지금껏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삶, 즉 펍이 없는 삶을 걱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작년 이맘쯤 저는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인터넷 뉴스를 전달하는 포털이라는 기사를 쓰려했습니다. 웹이 신문지상 기사를 한장씩 찢어 웹상에 날려보내면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허공의 기사를 차르륵 표에 정리해 우리 눈에 보여준다는 거죠. 그런데 이런 이야기는 이제 굳이 할 필요도 없는 사실이 되어버렸습니다. 버즈피드(Buzzfeed), 뉴욕타임즈 등 유명 뉴스싸이트 트래픽 정보를 가지고 있는 버즈피드 파트너 네트워크에 따르면 모든 뉴스 홈페이지 직접 접속이 주는 동안 페이스북 링크 공유를 통한 접속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2012년말까지만 해도 구글 검색과 →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북미대륙이 세계 석유 시장에서 또 하나의 사우디 아라비아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오일 샌드에서 석유를 추출하는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그동안 광대한 규모의 생산능력을 무기로 세계 석유 시장을 쥐락펴락 해왔던 사우디아라비아 만큼이나 엄청난 양의 원유가 북미 지역에서 생산 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의 진원지는 바로 캐나다입니다. 타르 샌드(tar sands)라고도 불리는 오일 샌드는 휘발 성분이 없어진 원유성분이 모래와 섞여 끈적끈적한 아스팔트 상태로 지표에 존재하는 모래층입니다. 열탕 처리 기법 등 일련의 추출과정을 통해 원유를 생산할 →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인간은 다른 동물들을 식량으로, 의복으로, 그리고 유희의 대상으로 이용해 왔습니다. 우리는 그 근거로 종종 인간의 지적인 우월성과 인간만이 가진 언어와 자의식을 이야기합니다. 이 논리는 곧, 더 뛰어난 존재는 더 약한 존재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는 논리의 확장된 형태입니다. 그러나 IMDB에서 평점 8.5점을 받은 마크 드브리스의 다큐멘터리 “종차별주의(Speciesism)”는 이 논리를 정확하게 반박하고 있습니다. LA 의 한 극장을 메운 동물애호가들은 프린스턴 대학의 윤리학자 피터 싱어의 주장에 환호를 보냈습니다. 영화에서 싱어와 드브리스는 몇몇 동물들은 → 더 보기
-
2014년 2월 17일
빅토르 안이 남자 쇼트트랙 1,000미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순간, 러시아 응원단의 환호성이 울려퍼졌습니다. 동시에 한국 응원단의 야유도 들려왔습니다. 한국 출신의 쇼트트랙 스케이터 빅토르 안은 모국에서 오랫동안 성공적인 선수 생활을 이어왔지만, 2011년 국적을 바꾸고 러시아 국가대표팀을 선택한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빅토르 안이 모국을 떠난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었습니다. 한국 빙상연맹과 갈등을 겪으면서, 무릎 부상 이후 재활 치료에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가대표팀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것입니다. 2006년 토리노 올림픽을 마치고 귀국하던 길에는 안의 아버지와 연맹 → 더 보기
-
2014년 2월 17일
러시아에서 열리고 있는 소치 동계올림픽과 관련한 주된 이야깃거리 가운데 하나는 성소수자들을 가혹하게 박해하는 러시아 정부였습니다. 외신들은 앞다퉈 러시아에서 동성애자로 사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보도했고, 소치의 유명한 게이바 마야크(Mayak)에는 취재를 위해 동성애자들을 찾는 기자들로 붐볐습니다. 외국어를 다 알아듣진 못하지만, 하루에 족히 열 명은 넘는 기자들이 카메라 앞에 서서 아마도 뻔한 내용을 앵무새처럼 읊조리고 있는 장면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몰려드는 취재진에 마야크의 단골 손님들은 마치 동물원 원숭이라도 된 기분이었을 겁니다. 러시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