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8월 13일
요즘 미국에서는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의 인기가 치솟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와 비슷한 인물이 2016년 대선에 출마하면 승리할 수 있을까요? 현재 미국의 정치 구조를 고려한다면 아마도 불가능할 것입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3일
새로운 기술에 가장 민감하고 디지털 기기를 가장 잘 다루는 세대는 만 14~15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로 나타났습니다. 예전에 최고의 엄지족 선발대회마다 가장 두각을 나타낸 건 대개 여중생, 여고생들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영국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Quartz의 기사를 보면 디지털 기술이 발달한 지금도 이런 경향은 여전한 것 같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3일
중국이 최근 브릭스(BRICs) 개발은행 설립에 나선 배경에 기존 세계은행(World Bank)을 견제하고 개혁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건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유사 금융 기관을 설립해 경쟁을 시키는 것은 중국 엘리트의 정책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과거 중국 내 금융 기관 개혁 성공 사례가 좋은 전례가 됐기 때문입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3일
여기 당신이 콘텐츠 유포 사이트 버즈피드(BuzzFeed)에 대해 알아야 할 세 가지 굉장한 인사이트가 있습니다.
1. 버즈피드는 매달 1억 5천만 웹 트래픽을 끌어들이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습니다.
2. 이 목록처럼 콘텐츠에 대해 알아야 할 몇 가지를 짚어주는 방식으로 인기를 끌었죠.
3. 버즈피드는 앞으로 더 알려지기를 원합니다.
이를 위해 버즈피드는 저명한 실리콘밸리 벤쳐캐피탈인 안드레센호로비츠에서 5천만 달러를 유치했습니다. 총 8억 5천만 달러 기업가치로 인정받았다고 관계자는 설명합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3일
영화 “신체 강탈자의 침입(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에서 외계인은 지구의 인간 하나하나를 복제하는 방법으로 지구를 침략합니다. 이 이야기는 영화의 스토리로는 훌륭하게 들립니다. 하지만 미국 상원의원 선거에서 한 후보는 이런 주장을 진지하게 펼쳤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인권단체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권 신장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소셜데이팅 앱 '틴더'를 활용했습니다. 소셜 미디어의 빠른 진화에 발맞추어 사회 운동의 기법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현실을 토대로 구성한 게임 데이터가 워낙 방대하면서도 정확하다 보니, 이 데이터가 현실의 판단을 내리는 데 쓰이게 됐습니다. '악마의 게임'이라 불리는 풋볼매니저(FM)가 스카우터들이 즐겨쓰는 데이터 회사에 선수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는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경제학자들은 출산 휴가가 너무 짧으면 경제와 고용에 악영향을 미치지만, 너무 긴 출산 휴가 역시 여성들에게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유럽과 미국은 각 사례의 장단점을 잘 보여줍니다. 적정한 수준의 유급 출산 휴가 기간은 얼마일까요? →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흔히 왕자병-공주병 환자라고도 불리는 나르시시스트. 지구가 자신을 중심으로 돈다고 믿는 이 자아도취자를 간단히 구별할 방법이 있을까요? 질문 하나만 던져보면 알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2주 전, 남아프리카에서 개최된 한 콘퍼런스에 아프리카 모잠비크(Mozambique)에서 창궐한 치명적인 바나나 질병에 대한 대응책을 찾고자 전 세계 과학자들이 모였습니다. 이 질병은 Foc-TR4로 명명된 바나나 나무뿌리에 서식하면서 나무를 부식시키는 곰팡이로, 파나마병(Panama Disease)이라 불리는데, 그동안 열대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어오다 최근 들어 호주, 아프리카 지역으로까지 그 발병 범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파나마병이 전 세계적으로 거침없이 확산되는 주된 이유로 바나나 품종의 다양성이 점차 결여되고 있다는 사실을 꼽았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맥길 대학의 뇌과학자 다니엘 레비틴은 뉴욕타임즈에 휴식이 어떻게 우리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며 행복을 가져다주는지에 대해 기고했습니다. → 더 보기
-
2014년 8월 11일
이번 주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 대회에서는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 메달의 수상자가 발표됩니다. 필즈상이 오늘날의 명성을 얻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흔히 간과하기 쉬운 수학과 정치의 연관성이 드러납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