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페@스프] “스마트폰이 정신건강에 문제야”…그렇긴 한데 다른 이유가 더 있다면?
2024년 7월 1일  |  By:   |  SBS 프리미엄  |  No Comment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5월 8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최근 펴낸 책 “불안한 세대(The Anxious Generation)”가 다시 한번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전에 쓴 책 “나쁜 교육(*번역자 주: 원서의 영어 제목은 “The Coddling of the American Mind”로, “오냐오냐하며 키운 미국인”에 가깝다)”까지 함께 놓고 보면, 하이트는 어린 시절 경험하는 문화가 바뀌면서 미국의 청소년들이 이전 세대와 달리 정서적 불안을 겪고, 이게 우울증으로 이어져 자살률이 높아지는 등 정신건강 위기를 초래했다고 진단합니다. 그러면서 하이트는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소셜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폭발적인 보급을 가능하게 한 스마트폰을 꼽습니다.

하이트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에 주목하기 전부터 이미 소셜미디어의 해악을 꿰뚫어 보고 이를 적극적으로 비판해 왔습니다. 소셜미디어가 인간의 의사소통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꿔 놓았고, 자극적인 험담과 배제, 혐오의 언어를 여과 없이 배설하는 “분노 생산 기계”에 불과하다는 그의 지적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 밖에도 소셜미디어의 해악이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해 워낙 많이 드러난 터라 사람들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위기가 소셜미디어 때문이라는 주장을 별 비판 없이 수용했습니다. “소셜미디어가 문제”라는 주장은 어느덧 통념이 됐습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자연과학이 아닌 사회과학에서는 어떤 사회 현상의 원인을 하나로 꼽으면 설명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학계에선 당연히 반론과 비판이 잇따르죠. 사회적 통념의 지지를 받으며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게 된 조너선 하이트의 경우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전문 번역: 아이들이 우울해진 건 정말 스마트폰 때문일까?

 

뉴욕타임스의 데이비드 월러스웰스가 쓴 칼럼은 분량이 매우 길지만, 자세히 보면 계속 같은 구조의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논리를 짚어보면 이렇습니다.

미국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이 나빠졌다는 데이터가 계속 나온다.

조너선 하이트를 비롯해 그 원인을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에서 찾는 학자들이 있고, 이들의 주장이 거의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복잡한 사회 현상의 원인을 하나로 추려내 단정짓는 건 매우 어렵고, 때론 위험한 일이다.

다른 이유가 더 있을 수 있다. 진단 기준이 느슨해져 과거보다 문제가 더 선명하게 드러날 수도 있고, 정신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어서 그랬을 수도 있다.

다소 싱거운 이야기일 수 있지만, 진실은 하이트의 주장과 그에 대한 반론의 중간쯤에 있을 겁니다. 오늘은 하이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경제학 논문을 한 편 소개하고, 그에 대한 반론을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이어 하이트의 주장을 좀 더 자세히 짚어보면서 하이트를 위한 변론을 덧붙여보려 합니다.

 

자연 실험으로 살펴본 소셜미디어와 정신건강

먼저 소셜미디어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연구한 많은 논문 가운데 전미경제학회지에 실린 논문을 한 편 살펴보겠습니다. 보코니대학교의 루카 브라기에리, 텔아비브대학교의 로이 레비, MIT의 알렉세이 마카린이 함께 쓴 이 논문은 실험 대신 이미 일어난 사회 현상을 데이터로 분석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사회 현상에 관해서도 물론 설계를 잘 하면 의미 있는 실험을 할 수 있지만, 보통 사회 현상은 실험이 잘 맞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실제 사회가 실험실처럼 수많은 변인이 통제된 채 굴러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실제 사회 현상을 기록한 데이터는 반대로 여러 가지 변수가 복잡하게 얽히고설켜 있으므로, 읽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엉뚱한 요인을 원인으로 짚을 수도 있고, 원인과 결과를 뒤집어 오인할 수도 있죠. 그래서 요즘 사회과학에서는 마치 실험실에서 실험한 것처럼 사회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난 경우 그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연히 발생한 실험(natural experiment)을 기회로 삼는 거죠.

소셜미디어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본 브라기에리, 레비, 마카린의 연구도 그렇습니다. 이들은 페이스북이 대학교별로 단계적으로 도입됐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페이스북은 2004년 2월 하버드대학교에서 처음 만들어졌지만,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 건 2006년 9월이었습니다. 그때까지 약 2년 7개월간 페이스북은 대학교별로 무작위로 시차를 두고 공개됐죠. 페이스북이 열린 대학에서는 가입자가 빠르게 늘어났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대학들을 선정한 과정이 ‘무작위’였다는 겁니다. 자연 실험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로, 페이스북을 이용하게 된 대학생들과 아직 페이스북을 써본 적 없는 대학생들의 차이를 비교하기에 좋은 환경이 마련된 겁니다.

연구진이 내린 결론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페이스북이 도입된 대학교 학생들은 전국대학건강평가의 정신건강 지표에서 아직 페이스북을 써보지 않은 대학교 학생들보다 점수가 낮았습니다. 학업 성취도도 하락했습니다. 부정적 영향은 주로 학생들 사이에서 사회적 비교가 늘어난 데서 비롯됐습니다. 아직 ‘좋아요’ 기능이 도입되기 전이지만, 이미 다른 이의 삶을 쉽게 들여다볼 수 있다 보니 남을 부러워하거나 내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연구진은 페이스북에 노출된 기간도 조사했는데, 노출 기간이 길수록 정신건강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데이비드 월러스웰스가 소개한 하이트에 대한 반론 중에는 소셜미디어가 끼치는 부정적 영향이 아예 없다는 주장도 더러 있었는데, 적어도 이 논문은 소셜미디어가 정신건강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 과잉 진단 가능성도 고려해야

다만 하이트도 정신건강 위기의 원인을 오직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탓으로 돌리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히 해야 합니다. (월러스웰스도 이 점을 언급했죠.) 하이트는 청소년과 젊은 세대가 어린 시절 겪은 문화가 과거와 어떤 점이 달랐는지에 주목했는데, 그 근본적인 변화에 소셜미디어가 미친 영향이 10~15% 정도 될 거라고 추산했습니다. 학자들의 반론은 대개 10~15%도 너무 크다는 데 집중됩니다. 정말 이 모든 게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때문이라면 소셜미디어를 개혁할 게 아니라 전면 금지하는 게 온당한 해결책일 겁니다. 그런 과격한 주장이 해법으로 제시되지 않는 건 소셜미디어의 문제를 줄기차게 지적하는 하이트 같은 학자도 문제의 원인을 단 하나로 돌리고 있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또 생각해 볼 만한 지점은 하이트의 주장에 반대하는 학자들이 제기하는 주장입니다.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이 줄어들고,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특히 젊은 세대는 몸이 아프면 병원에 가는 것처럼 마음이 아프거나 이상 신호가 생기면 전문가에게 치료나 상담을 받는 걸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이런 인식의 변화가 예전에는 쉬쉬하거나 참고 넘어가느라 통계에 잡히지 않던 정신건강 문제를 드러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정말로 정신건강이 나빠졌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해결책도 그에 맞춰 달라져야 할 겁니다.

데이비드 월러스웰스는 미국에서 조울증 진단이 급증했던 일을 예로 들었습니다. 한국에서도 갑상선암 환자가 급격히 늘어난 적이 있는데, 이 가운데 적잖은 경우가 다른 나라였다면 암으로 진단받지 않았을, 일종의 ‘과잉 진단’ 가능성이 있던 겁니다.

소셜미디어가 끼치는 해악은 분명 간과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합니다. 학계의 연구가 아니라 내부고발자의 용기로 페이스북과 마크 저커버그가 서비스 가운데 일부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걸 알면서도 이윤을 포기하지 않으려 문제의 서비스를 그냥 뒀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죠.

그러나 프랜시스 하우건 같은 내부고발자는 자주 등장하지 않습니다. 여러 가지 잠재적인 원인이 있을 때, 그 가운데 어떤 것이 더 큰 영향을 끼쳤는지 밝혀내기 어려울 때일수록 섣불리 예단해선 안 됩니다. 엉뚱한 요인을 원인으로 지목했다가 잘못하면 해결책도 이상한 걸 마련해 헛수고만 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