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10월 10일
지난 10월 1일에 아베 일본 총리가 내년 4월부터 소비세(Consumption Tax)를 5%에서 8%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아베 총리의 자민당은 1997년 집권 당시에 세금을 인상한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세금 인상은 경제 침체로 이어졌고 자민당 출신 총리가 물러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렇게 아픈 경험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가 세금을 올리겠다고 발표한 이유는 다른 선택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세금을 올려야 한다는 정치적 합의가 형성되고 있고 만약 세금 관련 결정에 어물쩡하다가는 아베 총리 자신의 신뢰에 손상이 갈 수도 → 더 보기
-
2013년 10월 10일
미국 경제 지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미국에는 350개 이상의 도심 경제권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어떤 지역이 뜨고 지는지를 측정하는 데는 인구 성장률, 일자리 성장률, 주택 가격, 그리고 실업률과 같은 지표들이 쓰입니다. 이 지표들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긴 하지만 이 지표들이 말해주지 않는 정보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인구 성장률은 유입되는 인구의 기술 수준이나 교육 수준에 대해서 말해 주지 않습니다. 저는 언론에서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우리에게 도시의 흥망성쇄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려줄 수 → 더 보기
-
2013년 10월 10일
당신이 제일 좋아하는 자선 단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높은 월급을 받고 있다고 하면 기분이 어떠신가요? 그 자선단체에서 3백만 달러짜리 수퍼볼 광고를 내보내면요? 새로운 모금 활동을 시도하다 백만 달러 손실을 기록하면요? 마지막으로, 그들이 투자자한테 100% 이자를 지불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기분이 어떨까요? 굉장히 화가 나겠죠. 그러나 이 모든 활동들이 실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을 도왔고, 당신이 알고 있는 건 절반의 이야기에 불과하다면 생각이 바뀔지도 모릅니다. 제가 그 나머지 이야기를 들려드리려합니다. 먼저, 자선단체에서 높은 연봉을 → 더 보기
-
2013년 10월 10일
스퍼(SPUR: San Francisco Planning and Urban Research Association)의 프로그램 매니저 벤자민 그랜트(Benjamin Grant)가 도시계획의 역사를 다룬 전시회에서 이정표가 될만한 10가지 다이어그램을 제시했습니다. 뉴스페퍼민트에서 그 10가지 다이어그램을 3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오늘은 그 마지막 시간으로 사선제한, 놀리 맵, 심리지리, 하키스틱차트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0개의 다이어그램을 통해 살펴보는 도시계획의 진화과정 (1) 10개의 다이어그램을 통해 살펴보는 도시계획의 진화과정 (2) 7. 사선제한 (The Setback Principle) From New York’s 1916 Zoning Resolution 20세기 초, 도시에 초고층 건물들이 → 더 보기
-
2013년 10월 10일
데니스 로저스는 세상에서 힘이 가장 강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동차 정비공인 그는 한 손으로 자동차 엔진을 들고, 다른 손으로 렌치를 이용해 점화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그는 최근 비행기 두대를 자신의 양팔에 묶고 팔짱을 낀 상태로 이 비행기들이 반대방향으로 출발하는 것을 막았습니다. 로저스의 힘의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요? 그는 자신도 그것을 알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어쩌면 그는 돌연변이 유전자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많은 근섬유를 가지고 있을지 모릅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그가 고통을 바라보는 관점에 → 더 보기
-
2013년 10월 8일
지난 여름 부탄의 총리로 선출된 셔링 토브게이(tshering tobgay)는 여러모로 특이한 인물입니다. 어린 시절 인도로 조기유학을 갔다가 미국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돌아와 교육부 공무원을 지낸 이력도 이력이지만, 166마일의 험난한 산길을 달리는 산악 오토바이 대회를 부상 투혼 끝에 완주한 이색 경력도 갖고 있습니다. 그는 2008년 부탄 사상 최초로 치러진 선거에서 단 2개의 의석을 확보했던 야당 출신으로, 이번 선거에서 완승을 거둔 것은 많은 이들의 예상을 뛰어 넘은 도약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그의 선거 공약집에서는 그간 부탄이 → 더 보기
-
2013년 10월 8일
17년만에 정부 폐쇄(shutdown)가 발생한 것과, 진실보다는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당파적인 미국 언론의 현실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공화당을 옹호하는 폭스 뉴스가 민주당을 옹호하는 MSNBC보다 조금 더 잘못이 크지만 둘 다 몰락하는 미국 언론의 부끄러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객관적 사실보다는 패널들의 의견 중심으로 흘러가는 케이블 TV의 확장과 전통적 신문 산업의 몰락은 미국 언론이 더 이상 시청자들에게 진실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물론 미국 사회가 보수와 진보의 정치적 → 더 보기
-
2013년 10월 8일
지식 생산은 장기적 경제 성장에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권위있는 상을 제정해서 수상자를 선정하는 것은 지식 생산을 고취시키는 흔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을 수여하는 것이 지식 생산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우리는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필즈 메달(The Fields Medal)을 받은 수학자들이 비슷한 능력을 가졌던 다른 수학자들에 비해 수상 이후 연구 성과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측정했습니다. 필즈 메달은 4년마다 한 번씩, 40세 이하의 수학자에게 수여됩니다. 훌륭한 학문적 성과가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비슷한 능력을 가진 수학자들 → 더 보기
-
2013년 10월 8일
저렴한 조립식 가구로 알려진 이케아에서 UNHCR(유엔난민기구)와 팀을 이뤄 시리아의 난민 캠프에 보호시설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케아 특유의 조립식 가구와 비슷하게 주택 조립에 필요한 부속품을 현지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상자 포장 후(flatpacking) 배송한다는 것이죠. 5명까지 수용할 수 있는 이 간단한 ‘집’은 가벼운 플라스틱 패널을 철로 된 프레임에 끼워맞추어 조립하게 설계되었습니다. 태양열 패널과 이 열을 받아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USB 포트, 집안 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천 보호막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프로토타입은 → 더 보기
-
2013년 10월 8일
스퍼(SPUR: San Francisco Planning and Urban Research Association)의 프로그램 매니저 벤자민 그랜트(Benjamin Grant)가 도시계획의 역사를 다룬 전시회에서 이정표가 될만한 10가지 다이어그램을 제시했습니다. 뉴스페퍼민트에서 그 10가지 다이어그램을 3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오늘은 그 두번째 시간으로 가로격자, 거대도시권, 선상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0개의 다이어그램을 통해 살펴보는 도시계획의 진화과정 (1) 10개의 다이어그램을 통해 살펴보는 도시계획의 진화과정 (2) 4. 가로 격자 (the Street Grid) Courtsey David Rumsey Map Collection 가로 격자 패턴은 그것이 가지는 단순함과 합리성으로 → 더 보기
-
2013년 10월 8일
미시간 대학의 학장 스티븐 쑤는 중국의 유전자 분석기관인 심천 BGI와 함께 IQ 150 이상인 2천여 명의 정보를 바탕으로 천재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는 이 연구가 언론에 알려진 후 생각지 못한 거센 비판을 당해야만 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했던 뉴욕대의 심리학자 제프리 밀러는 중국이 이 연구의 결과를 이용해 태아를 선별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고, 한 기사는 천재 아이를 낳도록 도와주는 벤처기업이 탄생할지 모른다고 비난했습니다. 행동유전학에 대한 비난에는 역사의 불행한 한 장면을 장식했던 우생학에 → 더 보기
-
2013년 10월 7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일정이 전격 취소되면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대신 스포트라이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어린 시절을 보낸 인도네시아에서 외국 정상으로는 최초로 의회 연설을 한 것이 시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미 힘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미국의 “아시아 중심(pivot)” 정책이 다시 한 번 도마 위에 오르면서, 과연 미국이 이 지역에서 중국의 평행추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심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아시아 국가들이 시리아 정책의 180도 선회, 의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