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4월 11일
    美 상원, 총기 구입시 신원조회 확대하는 방안에 합의

    미국 상원이 총기를 구입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신원조회 확대 방안을 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사이의 절충안을 이끌어냈습니다. 이번 협상을 이끈 웨스트버지니아의 조 맨친(Joe Manchin III) 민주당 의원과 펜실베니아의 팻 투미(Pat Toomey) 공화당 의원은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절충안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곧 상원에서 표결에 부쳐질 새로운 법안은 총기상 뿐만 아니라 온라인이나 총기 박람회(gun shows)를 통해 총기를 살 때도 총기 구매자에 대한 신원조회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절충안은 기존의 총기 규제를 느슨하게 만든 부분도 있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4월 11일
    오바마 2014년 예산안 발표

    오바마 대통령이 2014년 정부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예산안의 핵심은 사회 기반시설과 교육, 연구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정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한 세금 인상과 정부지출 삭감을 두 축으로 하고 있습니다. 2009년 취임 이후 이번이 다섯 번째 정부 예산안인데 오바마 대통령은 처음으로 예산안에 사회보장 프로그램인 메디케어(Medicare)와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 개혁안을 포함시켰습니다. 이는 줄기차게 정부 복지프로그램(entitlement program)의 개혁을 주장해 온 공화당을 정부 예산안 협상에 끌어내기 위한 의도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의 이러한 움직임이 공화당과의 협상 성공으로 더 보기

  • 2013년 4월 11일
    보르도 와인 사라지고 샤또 옐로스톤 등장?

    국제보호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의 연구결과 기후변화로 향후 수십 년 안에 전 세계 와인생산지에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표적인 와인 생산지들의 생산량이 2050년이면 현재의 1/3 수준으로 급감할 전망입니다. 프랑스 보르도와 론, 이탈리아의 토스카나 지방은 무려 85%, 나파밸리를 중심으로 한 미국 캘리포니아도 70%, 호주 남부 해안지역도 74%나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기후가 바뀌어도 포도를 기를 수는 있지만, 최적의 환경을 유지해주기 위해 취해야 할 조치가 많아질수록 비용이 크게 오를 것이고 그러다 보면 아예 포도를 키우는 데 가장 적합한 지역이 새로 각광을 더 보기

  • 2013년 4월 11일
    항공사, “뚱뚱하면 돈 더 내세요.”

    남태평양의 사모아에어라는 작은 항공사에서 몸무게에 따라 항공운임을 다르게 정하는 방침을 도입해 화제입니다. 75키로인 필자의 예를 들면 현재 사모아에서 파고파고까지의 운임이 69.90 달러입니다. 그러나 만약 지난가을 다이어트에 실패해 15키로를 빼지 못했다면 79.04달러를 냈어야했을 것입니다. 항공사 홈페이지의 티켓구매페이지에서는 친절하게 “걱정마세요. 공항에서 몸무게를 확인할 겁니다.”라고까지 안내하고 있습니다. 사모아에어는 사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모아가 위치한 남태평양군도는 전세계에서 비만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고, 사모아에어가 사용하는 프로펠러비행기는 화물의 중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세계적으로 항공사들은 유류비와 직결되는 화물중량을 줄이기 더 보기

  • 2013년 4월 11일
    미국 직장 의료보험 확대의 걸림돌

    의료보험 개혁법이 통과된 이후 미국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의료비용 지출을 줄이기 위해 노동시간을 줄이는 것은 물론이고 해고도 서슴치 않겠다는 의견을 피력해왔습니다. 요즘은 직원들의 의료보험 비용을 부담하느니 아예 벌금을 내고 말겠다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 신문이 전하고 있습니다. 내년부터 발효될 오바마 개혁안에 따르면 50명 이상의 정규직을 고용하는 사업주는 모든 직원에게 직장 의료보험을 제공해야 하고 만약 이를 어길 때에는 31명째 직원부터1명 당 연간 220만 원($2,000)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아이오와 주에 더 보기

  • 2013년 4월 11일
    초콜릿의 지방을 과일쥬스로 대체하는 방법

    지난 7일, 뉴올리안즈에서 열린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는 초콜릿을 더 건강한 음식으로 만드는 새로운 방법이 소개되었습니다. 다크 초콜릿을 섭취하는 것은 심장병과 뇌졸중의 위험을 낮추어 줍니다. 그러나 초콜릿 60g 에는 13g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고, 이는 일반인의 일일 지방섭취량의 20%에 달하는 양입니다. 영국 워윅대학의 스테판 봉은 초콜릿의 부드러운 느낌을 잃지 않으면서 지방의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해 왔습니다. 그리고 아주 작은 과일쥬스 방울을 초콜릿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초콜릿의 느낌을 잃지 않으면서 지방의 함유량을 더 보기

  • 2013년 4월 11일
    5번째 맛, 감칠맛(Umami)

    최근 과학자들은 감칠맛을 느끼는 독립된 수용체가 혀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감칠맛이 단맛, 짠맛, 신맛, 쓴맛에 이은 5번째 기본 미각으로 받아들여 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칠맛의 존재는 사람들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를 쉽게 설명해줍니다. 로마인들은 리콰멘(liquamen)이라 불리는 발효된 멸치소스를 사랑했고, 오늘날의 케첩처럼 여러 음식에 뿌렸습니다. 감칠맛은 육수의 핵심적 요소이기도 합니다. 빌 스톡(Veal stock, 송아지 육수)을 발명했던 19세기 전설적인 프랑스요리사 에스코피에는 자신의 성공이 그때까지 알려져 있지 않던 5번째 미각을 자극했기 때문이라고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마거릿 대처의 사망 소식 후 엇갈리는 영국 내 반응

    마거릿 대처 전 총리 사망 소식이 전해진 후 영국 국민들과 매체들의 반응이 다양합니다. 대처 총리를 비판하는 쪽에서는 대처 총리의 재임 기간에 영국의 이념적 분열이 심화되었다고 지적해왔는데, 이 지적에 부합하는 극단적인 반응도 나타났습니다. 1981년 반(反) 대처 시위가 일어났던 런던 남부에서 수백 명의 시위대가 거리로 나와 “매기가 죽었다”를 연호한 사건을 일례로 꼽을 수 있습니다. 1981년 당시의 시위는 기업에 대한 국가 보조금 지급이 중단되어 수많은 기업이 파산하고 실업자가 쏟아지던 현실에 대한 반발이었습니다. 당시에도 민간 부문을 장려하고 노조를 규제한 대처의 정책을 두고 지지자들은 영국병을 치료한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지만, 반대파는 가난한 자들에게 끔찍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말했습니다. 대처의 사망 소식에 좌파 매체인 ‘데일리 미러’나 대량 실업을 겪은 셰필드 시의 지역 신문 ‘더 스타’는 독설을 쏟아냈지만, 인기가 있었던 정책들에 초점을 맞추어 방송한 라디오 채널들도 있었습니다. 보수 언론인 ‘데일리 텔레그라프’와 ‘데일리 메일’은 대처를 “영국을 구한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바이든 부통령의 2016년 대선 출마 딜레마

    지난주 케네디 센터에서 열린 한 시상식에 조 바이든 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둘 다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모두의 관심은 힐러리에게 쏠려 있었습니다. 케네디 센터 밖에서는 힐러리의 2016년 경선 출마를 외치는 지지자들의 행렬이 가득했고, 시상식장 내부에서 힐러리는 여성의 권익을 향상시킨 ‘영웅’ 대접을 받았습니다. 바이든 본인도 연설에서 “힐러리 클린턴과 같은 여성은 없다”며 힐러리를 치켜 세웠습니다. 바이든 부통령은 매우 독특한 상황에 놓여져 있습니다. 미국의 부통령으로 현재 민주당 내의 2016년 대선 후보군들 가운데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두바이에 도전하는 오만의 두큼(Duqm) 프로젝트

    아라비아 반도 끝자락에 위치한 오만 중부의 두큼은 수도 무스카트에서 남쪽으로 450km 떨어진 작은 어촌마을이었습니다. 최근 두큼은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로 거듭난다는 목표 아래 대대적인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먼저 초대형 항구가 들어설 예정인데, 중동에서 두 번째로 큰 15억 달러 짜리 건선거(dry-dock, 큰 배를 정박시키고 수리하거나 정비하는 곳)는 벌써 완공되었습니다. 4km에 달하는 부두와 함께 정유공장, 공항, 휴양지, 10만 명이 살 수 있는 주거단지 등이 차례로 들어설 예정입니다. 오만 정부는 두큼 프로젝트를 통해 고갈되고 있는 석유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 하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교수님은 학생들이 책을 읽었는지를 알고 있습니다

    텍사스 A&M 대학교의 교수진들은 지금까지 많은 세대에 걸쳐 선생님들이 알고 싶어 했지만 알 수 없었던 것을 알고 있습니다. 바로 학생이 교과서를 제대로 읽어왔는지 여부입니다. 이들은 학생들이 대충 교과서를 읽었는지, 중요한 페이지를 그냥 넘겼는지, 노트 필기를 제대로 했는지, 혹은 아예 책을 열지도 않았는지를 모두 알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인 코스스마트(CourseSmart)가 만든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코스스마트는 피어슨 (Pearson)이나 맥그로-힐(McGraw-Hill)과 같은 대형 출판사들이 소유하고 있는데, 이들은 학생의 수행 능력에 대한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美 신문들 판매 수입은 ↑, 광고 수입은 ↓

    미국신문협회(NAA, Newspaper Association of America)는 지난해 미국 신문사들이 거둔 판매수입이 총 104억 달러(11조 8천억 원)로 2011년보다 5% 늘어났다고 발표했습니다. 구독료 수입이 늘어난 건 지난 2003년 이후 10년만에 처음 있는 일로, 디지털 구독료 수입이 크게 늘어난 덕분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오프라인 종이신문 판매 수입은 14% 감소했지만, 디지털 구독료 수입은 275%, 디지털과 종이신문을 함께 묶는 번들형 상품 판매수입이 499%나 늘어났습니다. 미국 신문들은 저마다 디지털 구독료 사업에 힘을 쏟고 있는데, 워싱턴포스트가 지난달 유료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