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4월 17일
    테크 스타트업들의 고민: 복제 전쟁(Clone War)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양대 산맥인 삼성과 애플 사이에서 불거진 특허 소송으로 인해 조 단위의 피해보상액이 논의되자 많은 테크 스타트업들이 고민에 빠졌습니다. 기술이나 아이디어의 무단 도용 사례는 증가하는데 반해, 천문학적인 소송 비용을 감당할 재무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지식 재산권을 방어하기가 녹록치 않기 때문입니다. 저작권 및 특허권과 같은 법적 보호망도 테크 스타트업들의 실정과는 맞지 않는 측면이 있어 이들의 지적재산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테크 업계에서 아이디어 도용의 문제는 점차 더 보기

  • 2014년 4월 17일
    기니(Guinea), 에볼라(Ebola) 바이러스 곧 통제 하에 놓이나

    얼마 전 기니(Guinea)에서 창궐한 에볼라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가 한풀 꺾였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기니 보건부 대변인은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해 현재까지 10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지만, 신규 감염자 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이 바이러스가 곧 통제 하에 놓일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에볼라는 감염시 치사율이 90%에 이르는 아주 무서운 바이러스입니다. 마땅한 백신이나 치료법도 존재하지 않아 감염자들을 격리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대응책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 혈액, 땀, 배설물과 같은 체액과의 직접적인 더 보기

  • 2014년 4월 17일
    하늘에서 동물들이 비처럼 내려와

    개구리, 물고기, 벌레 등이 하늘에서 비처럼 내린 사건은 다양한 문서에서 기록되어 있습니다. 진기한 현상을 일생동안 모았던 찰스 포트(Charles Fort)는 1919년, “저주의 책(The Book of the Damned)”에서 다음과 같이 썻습니다. “얼마전 미주리 주 캔사스 시티에는 폭풍과 함께 하늘을 어둡게 만들고 땅을 뒤덥는 개구리의 비가 내렸다.” 이 사건은 1873년 7월 12일자의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포트는 이를 다음과 같이 평하고 있습니다. “작은 개구리나 두꺼비가 하늘에서 내리는 사건에 대해 회의적인 이들은 이 사건을 더 보기

  • 2014년 4월 16일
    [칼럼]성범죄 수사, 본질을 잊지 말아야

    BBC의 유명 방송 진행자 지미 새빌(Jimmy Savile)이 수 십년 간 강간과 폭력을 일삼았다는 사실이 알려졌을 때, 사람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렇게 많은 사건들이 그렇게 오랫동안 묻혀 있었을리가 없다며, 진위 여부를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었죠. 하지만 이 일을 계기로 새삼스럽게 드러난 사실은 성범죄 피해자들에 대한 낙인이 여전하고, 피해자들이 피해 사실을 알리기가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한편, 나이젤 에반스(Nigel Evans) 의원을 비롯한 여러 유명 인사들이 최근 성범죄 사건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풀려나자, 무고한 사람에게 성범죄자 더 보기

  • 2014년 4월 16일
    회사의 칸막이 책상(cubicle)은 직장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미국인은 매년 평균 2,000시간 일을 합니다. 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삼면이 작은 벽으로 막힌 칸막이 책상(cubicle)에서 그 시간을 보냅니다. 작가인 니킬 사발(Nikil Saval)은 어떻게 작은 칸막이 책상이 회사 문화에 도입되었고 이것이 직장인들의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최근 출판된 책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작가와 진행된 인터뷰입니다. Rebecca Rosen(RR): 당신의 책은 두 가지 주제를 담고 있어요: 사람들이 일하는 공간과 일 자체의 특성이나 성격. 이 두 주제 사이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말해 줄 수 더 보기

  • 2014년 4월 16일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가 어떻게 경제 성장에 기여했나

    누군가 당신에게 지난 30년간 있었던 가장 중요한 경제 트렌드가 무엇인지 묻는다면 당신은 아마도 소득 불평등이 증가한 것, 세계화의 가속화, 그리고 빠르게 발전한 기술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하지만 높은 경제 성장을 이끈 요인 중에서 우리가 자주 간과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여성들의 노동 시장 참여 증가입니다. 미국에서 1979년 이후 정규직 일자리를 가지고 있는 여성의 비율은 28.6%에서 40.7%로 증가했습니다. 아이를 가진 여성의 경우 그 변화는 더욱 큽니다. 정규직을 기준으로 할 때 1979년 27.3%가 노동 시장에 더 보기

  • 2014년 4월 16일
    이것이 미국이다: 변화하는 미국의 자화상

    얼마전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는 ‘미국의 미래(the Next America)’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출간했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 사회가 겪어온 인구 및 문화의 변화상을 조망하기 위해서였는데요, 보고서에 담긴 핵심 내용을 정리한 7가지 차트를 소개합니다. 1. 전체 인구 중 백인의 비율은 점차 줄어드는 가운데, 히스패닉과 아시아계 인종의 비율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mage from Pew Research 2. 전체 인구 중 이민자들의 비중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Image from Pew Research 3. 다른 인종간의 결혼 비율이 더 보기

  • 2014년 4월 16일
    [책] 멈출 수 없는 사람: 강박장애 (OCD), 그리고 생각에 인생을 먹혀버린 사람들

    (역자 주: 아래는 지난 주 출간된, “멈출 수 없는 사람: 강박장애 (OCD), 그리고 생각에 인생을 먹혀버린 사람들 (The Man Who Couldn’t Stop: OCD, And The True Story Of A Life Lost In Thought) 의 부분 발췌입니다.) 브라질의 레이싱 선수 아일톤 세나(Ayrton Senna)가 사고로 사망했던 날, 나는 맨체스트에 있는 수영장의 화장실에 박혀있었습니다. 문은 열려있었지만 나는 밖으로 나갈 수 없었습니다. 1994년 5월, 나는 스물 두살이었고 배가 고팠습니다. 수영장을 몇 번 왕복한 후 나는 더 보기

  • 2014년 4월 15일
    살인사건의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은 운이 좋습니다. 2012년에 살해된 43만 여 명 중에 들어가지 않고 오늘을 살아가고 계시니까요. 4월 10일 UN은 전세계 살인사건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나의 앞날을 논하는데 ‘평균’이라는게 의미가 없기는 하지만, 그래도 2014년 무사히 살아남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을 피하세요. 두 곳은 세계 다른 지역에 비해 인구 당 살인사건 건수가 4배 이상 높습니다. 가장 안전한 지역은 서유럽과 동아시아입니다. 2012년 살인사건이 단 한 건도 더 보기

  • 2014년 4월 15일
    나이지리아, GDP 계산 새로 했더니 하룻밤 사이에 89% 성장

    GDP를 기준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떠올리셨나요? 지난 5일까지는 그랬습니다. IMF의 집계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GDP는 3,540억 달러로 아프리카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았죠. 그런데 다음날인 4월 6일 일요일, 나이지리아 통계청은 새로 계산한 나이지리아의 GDP가 80조 나이라(5,090억 달러)라고 발표했습니다. 하룻밤 사이에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가 된 겁니다. 무얼 새로 계산했길래 거의 두 배 가까이 경제 규모가 커졌을까요? 보통 실질 경제성장률은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기준 연도에 비해 얼마나 변했는지를 더 보기

  • 2014년 4월 15일
    남자가 1달러 벌 때 여자는 77센트 번다는 통계, 자세히 알아보기

    지난주 오바마 대통령은 여성들이 차별받지 않고 같은 일에 대해서는 남성과 동일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남성들이 1달러를 받을 때 여성들은 77센트밖에 못 받고 있다는 사실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77센트”라는 통계에는 여러 가지 함의가 담겨있습니다. 우선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평균적으로 일을 하는 시간이 적고 직업 선택에 있어서도 평균 소득이 낮은 일자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성들보다 적은 임금을 받는 부분도 있습니다. 실제 차별이 가져오는 임금 격차를 제대로 측정하려면 똑같은 종류의 일을 같은 더 보기

  • 2014년 4월 15일
    직장 내 종교의 자유, 어디까지?

    종교의 자유에 대한 직원들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서구의 고용주들은 다양한 경영상의 과제들을 떠안게 되었습니다. 종교에 따른 복장이나 기도 시간 등을 허용하지 않았다가는 직원들로부터 소송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종교에 따른 차별에 관한 소송 건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지난달, 미국 평등고용위원회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종교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 직원들의 “개인 스타일”을 허용해야 한다는 내용이죠. 영국의 평등인권위원회도 기업들에게 직원의 종교적 신념이 다른 직원들의 권리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존중받아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고용주들은 직원들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