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8월 27일
    중국이 인공적으로 비를 뿌리는 방법

    중국 지방 정부가 인공강우를 이용해 랴오닝 성 가뭄을 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비용 대비 효과가 충분히 효율적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고 살포된 화학물질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7일
    “우물의 바닥에 앉아있는 것이 내 평생의 꿈입니다.” 하루키의 가디언 인터뷰

    "당신이 하루키의 소설을 읽게 된다면, 당신의 삶은 그의 소설처럼 바뀌기 시작할 겁니다. 그것이 그의 소설들이 가진 특별한 마술적 힘이지요. "
    더 보기

  • 2014년 8월 27일
    면도는 정말 털을 더 굵고 무성하게 만들까요?

    아닙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6일
    일본 언론의 한국 대통령 관련 보도 논란

    복잡한 한일 관계는 매년 8월 15일을 전후로 얼어붙는 일이 많았습니다. 올해는 일본 산케이 신문의 한국 대통령 관련 보도가 양국 간 치고받기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6일
    미국 유권자 구조, 민주당 텃밭의 확장?

    미국 사회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한 주에서 다른 주로 인구 이동이 많은 겁니다. 뉴욕타임스가 이런 높은 유동성을 한 번 더 들여다봤더니, 특히 민주당이 우세한 주(blue state)에서 공화당을 지지하는 주(red state)로의 인구 이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 단위 선거만 놓고 보면 장기적으로 민주당에 유리한 상황인 겁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6일
    리카르도는 왜 틀렸나? 세계화와 개발도상국 내의 소득 불평등

    비교우위론을 주장한 리카르도에 따르면 세계화는 개발도상국 내의 불평등을 줄여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개발 도상국 내의 소득 불평등은 오히려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하버드 대학의 에릭 매스킨 교수가 이 모순을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6일
    미국인이 팔레스타인 심정을 이해하게 될 때

    미국 미주리주 퍼거슨 시와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는 서로 1만Km 넘게 떨어져 있습니다. 지구 반대편이 있는 이 두 지역은 문화, 종교, 인종적으로 아무런 공통점이 없고 얼마 전까지 서로의 존재조차 아는 주민이 드물었지요. 하지만 최근 두 지역 주민 사이에 연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무엇이 이 두 지역 사람들을 연결시켰을까요?
    더 보기

  • 2014년 8월 26일
    스트레스 받는 게 좋은 이유 5가지

    사람들은 흔히 스트레스가 건강에 나쁘다고만 생각합니다. 의료인들은 스트레스의 해악을 끊임없이 경고하고, 언론은 이를 만병의 근원처럼 포장합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꼭 건강에 나쁘기만 할까요? 알라배마 버밍햄 대학(University of Alabama Birmingham)의 리처드 셸톤(Richard Shelton) 박사는 스트레스가 마냥 신체에 해악만을 끼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셸톤 박사는 스트레스는 만성적으로 발생할 때에만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며, 일시적인 스트레스는 오히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셸톤 박사가 주장하는 스트레스의 장점 5가지를 소개합니다. 1. 두뇌기능 향상 셸톤 박사는 더 보기

  • 2014년 8월 26일
    기술은 인간을 어떻게 변형시킬 것인가: 초 인류에 대한 두 권의 책

    두 철학자가 각각 곧 등장할 지 모를 새로운 능력을 가진 인류에 대한 논의를 담은 책을 썼습니다. 한 철학자는 기술의 남용을 걱정하며, 다른 철학자는 그런 걱정이 과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5일
    이슬람국가(IS)의 공포 정치, 현지의 반발은 없을까?

    이라크 북부를 점령한 이슬람국가(Islamic State: IS)가 죄 없는 미국인 기자 제임스 폴리(James Foley)를 잔혹하게 처형하고 그 영상을 공개하는 등, 인명을 도구로 삼는 공포 정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이와 같은 야만적인 홍보 전략은 IS의 미래에 장기적으로 득보다 실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5일
    아침식사를 거르는 건 정말 건강에 안 좋을까?

    아침식사는 하루 세끼 중 우리 몸에 가장 중요한 식사라고들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최근의 연구 결과는 아침식사에 대한 통념이 반드시 옳은 것이 아닐 수도 있음을 보여줍니다. 뉴욕타임스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5일
    링크드인은 어떻게 구인/구직 시장을 바꾸고 있나?

    3억 명이 넘은 회원을 보유한 링크드인(LinkedIn)은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를 더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링크드인은 구인/구직 기능을 넘어서 전 세계 노동 시장의 지평을 바꾸고 싶어 합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