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3월 19일
    드론을 안전하게 귀가시키는 “빵가루(Breadcrumb) 프로젝트”

    통신이 끊어진 드론이 하늘을 배회하다 다른 비행체와 충돌하거나 땅에 추락하는 일은 드론의 활용에 큰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빵가루 프로젝트"는 드론의 기억장치와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해 드론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기술을 만들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8일
    케냐의 버스 그래피티, 마타투 아트가 돌아온다

    당신은 지금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의 한 버스 정류장에 서 있습니다. 눈 앞에 즐비하게 늘어선 ‘마타투’라 불리는 미니버스는 일종의 공유 택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의 승객을 태우기 전까지는 출발하지 않는다는 것이 암묵적인 규칙입니다. 요란한 호객 행위가 이어진 끝에 스무 명 이상의 승객이 올라타면, 마침내 마타투가 출발합니다. 순간 버스는 바퀴달린 디스코텍으로 변신하죠. 스피커가 터져라 음악이 흘러나오고, 현란한 섬광등이 번쩍입니다. 버스는 칙칙한 단색 외장이 아니라, 지미 헨드릭스와 엘비스의 초상, 비틀즈와 마룬파이브의 노래 더 보기

  • 2015년 3월 18일
    기업인들은 어떻게 미국을 기독교 국가로 만들었는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미국이 기독교 국가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그 어떤 슬로건이나 세레모니도 만들지 않았습니다. 대공황으로 사회적으로 지탄받게 된 기업인들은 성직자들을 고용해서 자본주의가 기독교의 영혼의 친구라는 이념을 퍼트리는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종교는 미국사회 깊이 뿌리 내리게 됩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8일
    학위에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PayScale에 따르면 중요한 것은 어디서 공부했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공부했느냐(전공)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8일
    사물인터넷은 어떻게 기업의 에너지 비용을 낮추는가

    사물인터넷은 기업의 에너지 비용을 크게 줄여줄 것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8일
    5가지 특이한 언어들

    세상에는 방향을 가리키기 위해 앞뒤 좌우가 아닌 동서남북 절대방위를 사용하는 언어,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시간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언어, 색깔을 은유를 통해 나타내는 언어, 엄밀한 사실만을 증거와 함께 말하는 언어, 그리고 둘 이상은 말하지 못하는 언어와 같은 특이한 언어들이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7일
    노예 해방 150주년, 미국은 과연 달라졌을까요?

    지난 주에 있었던 노예 해방 150주년 기념일은 우리 가족에게 남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 가문은 노예 소유주였기 때문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7일
    감옥으로부터의 창업(1)

    창업의 성패는 (잠재적인) 고객들이 겪는 불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춰 더 편리하고 유용한 해결책을 마련해 제공하는 데 달렸습니다. 여기 감옥에서 보낸 5년 동안 직접 보고 느낀 바를 토대로 창업에 성공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NPR Planet Money에서 소개한 헛슨(Frederick Hutson) 씨의 이야기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7일
    감옥으로부터의 창업(2)

    창업의 성패는 (잠재적인) 고객들이 겪는 불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춰 더 편리하고 유용한 해결책을 마련해 제공하는 데 달렸습니다. 여기 감옥에서 보낸 5년 동안 직접 보고 느낀 바를 토대로 창업에 성공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NPR Planet Money에서 소개한 헛슨(Frederick Hutson) 씨의 이야기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7일
    미국 대학 사교 클럽의 어두운 그림자

    미국 대학에는 상류층 자제들이 모이는 사교 클럽이 있습니다. 이 특권층 사교 모임은 계급차별적일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적이기도 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7일
    방해받지 않을 권리는 공공의 자원입니다

    매튜 B. 크로포드는 주의(Attention)이란 곧 물과 공기와 같은 공공의 자원이며 따라서 이를 공공재로 보호하는 것은 합리적인 판단일 뿐 아니라 정치적인 결정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6일
    점심 먹는 시간이 부족하면 업무에 나쁜 영향을 줍니다

    하루종일 일이 바쁘다 보면 책상 앞에서 점심을 때우거나 자칫하면 끼니를 거르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하루종일 책상을 떠나지 않고 일에 매달리는 것은 작업 결과에도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사무직이나 화이트칼라 직종의 경우 그런 경향이 상대적으로 심한 편입니다. 외식을 하러 꼭 밖에 나가지 않더라도 한번씩 책상을 떠나 머리를 식힐 필요가 있으며, 점심 시간이야말로 그러한 목적에 꼭 들어맞는 시간입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