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3월 16일
    후쿠시마산 식품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대중은 믿지 않습니다

    후쿠시마 주변에서 나는 식품이 방사능 때문에 위험하다는 대중의 고정관념은 과학적 사실과 차이가 납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3일
    과격파 무슬림과 네오나치, 공통점이 더 많습니다

    런던 서부 지역에서 나고 자란 이브라힘 아흐메드는 평생 지역 축구팀을 응원하고 “백인 음악”을 즐겨들었지만 학교에서는 “무슬림”이라 불리는 것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면서 영국 사회와 점점 거리감을 느끼게 되었고, 18세에 모스크에서 “모집책”을 만나 고향에서도 성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곧장 넘어가게 되었죠. 한편, 스웨덴의 로버트 오렐은 히틀러의 <나의 투쟁>을 읽으며 자신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엇습니다. 학교에서 자신을 괴롭혔던 이민자들이 이제는 진보 정치인들을 등에 업고 스웨덴 문화를 망가뜨리고 있다고 굳게 믿었고, 국회의사당에 침입해 더 보기

  • 2015년 3월 13일
    의사들이 묻기 꺼려하는 10가지 질문들

    의사를 만나러 갔을 때, 심장질환이나 당뇨, 우울증과 같은 주요 건강문제에 대해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가 있다는 얘기를 듣는다면 어떨까요? 물론 이 도구가 마법의 수정구는 아닙니다만, 적어도 왜 특정한 질병이나 정신적 문제에 취약하게 되었는지는 알려줄 수 있습니다. 단지 열 가지의 질문에 ‘네’ 혹은 ‘아니오’로 대답하기만 하면 됩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3일
    행복 유전자는 따로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행복감을 잘 느끼고 불행해지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마리화나 같은 약물 중독에도 쉬이 빠지지 않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3일
    사람은 원래 파란색을 잘 인식하지 못합니다

    여러 고대 민족 언어를 보면 파란색은 녹색과 구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3일
    과거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들이 이제 경제 성장의 위협 요인으로

    중국의 성장을 이끈 제조업과 중공업, 그리고 부동산 분야의 성장 둔화는 중국 경제 전망을 어둡게 합니다. 소비자 지출 주도형 경제로의 전환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2일
    다큐멘터리 “인도의 딸” 무엇이 문제인가

    "인도의 딸"은 2012년 12월 인도 델리에서 일어난 강간살해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입니다. 이 다큐멘터리가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보기

  • 2015년 3월 12일
    미국 중산층을 붕괴시킨 레이건의 부자 감세

    노동하는 대다수 시민이 중산층을 이루며 살아가는 다원주의 사회를 만들려면 우리 사회가 가장 먼저 합의를 이루고 실천에 옮겨야 할 일은 부자들에게 세금을 더 걷는 일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2일
    미국 중산층 일자리는 어느 산업에서 만들어지나요?

    지난 30년간 중산층 일자리가 창출되는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한 분야는 여성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의료 서비스 산업 분야입니다. 반면, 1980년대 중산층 일자리의 30%를 차지하고 남성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는 중산층 일자리 창출 비중이 1980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2일
    1610년은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의 시작이었을까요?

    인류가 지구의 지질학에 영향을 끼쳤음을 의미하는 인류세(Anthropocene)는 아직 논란중인 개념입니다. 11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은 이 인류세의 시작으로 신세계와 구세계가 만난 1610년을 추천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2일
    [칼 짐머 칼럼] 우리는 왜 혈액형을 가지고 있을까요? (3/3)

    혈액형이 갈라진 것은 유인원의 조상보다 더 오래된 일로 보입니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ABO에 속하지 않는 혈액형을 가진 이들이 있습니다. 혈액형에 따라 특정 질병에 더 강하거나 더 약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1일
    지하드 존의 등장에 앰네스티의 입장이 곤란해진 까닭은

    "지하드 존" 모하메드 엠와지의 정체가 밝혀지고 난 후, 입장이 난처해진 기관들이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곤란을 겪고 있는 곳은 바로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입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