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ingppoo
  • 2014년 8월 13일. 중2, 전 연령대에서 디지털 활용지수(DQ) 가장 높아

    새로운 기술에 가장 민감하고 디지털 기기를 가장 잘 다루는 세대는 만 14~15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로 나타났습니다. 예전에 최고의 엄지족 선발대회마다 가장 두각을 나타낸 건 대개 여중생, 여고생들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영국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Quartz의 기사를 보면 디지털 기술이 발달한 지금도 이런 경향은 여전한 것 같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12일. [축구] FM 데이터 토대로 실제 선수영입 하게 된다

    현실을 토대로 구성한 게임 데이터가 워낙 방대하면서도 정확하다 보니, 이 데이터가 현실의 판단을 내리는 데 쓰이게 됐습니다. '악마의 게임'이라 불리는 풋볼매니저(FM)가 스카우터들이 즐겨쓰는 데이터 회사에 선수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는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11일. 동물은 어떻게 병의 전염을 막을까요?

    동물들은 진화를 통해 병이 옮는 것을 막는 법을 터득해왔습니다. 인류가 병에 대한 치료법을 개발하기 훨씬 전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동물과 기생충의 생사를 건 싸움의 역사를 BBC가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8일. 美 캘리포니아, 계속된 가뭄에 물 재사용 적극 지원

    심각해지는 캘리포니아 주의 가뭄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생활용수를 비롯해 한 번 쓴 물을 정화한 뒤 재활용하는 데 주 정부가 많은 돈을 투자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6일. 소리에 의한 사물의 미세한 떨림을 포착해 소리를 재구성하는 기술

    소리 에너지가 물체에 닿을 때 일어나는 미세한 떨림을 분석해 그 소리를 복원할 수 있다? MIT의 연구진은 궁극적으로 소리와 그 소리 에너지가 만들어내는 파장, 떨림을 이용해 펜이나 붓으로 종이에 무언가를 쓰지 않아도 시각화를 이뤄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5일. 중국의 물 부족 현상 대처법, 무엇이 문제인가

    요약: 중국의 물 부족 문제는 사회적 분열, 나아가 국가 안보 위기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 목표를 과감하게 축소하고 나라 안팎의 지혜를 모으는 근본적인 환경 혁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4일. 언론은, 기자는 어디까지 객관적일 수 있는가? 어디까지 객관적이어야 하는가?

    가자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학살을 두고 객관적 보도,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은 어쩌면 우리 모두가 완전히 미쳐있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언론은 분노와 슬픔, 감정까지도 가감없이 전달해야 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7월 30일. 재활용 산업의 본보기로 떠오른 의류 수거함

    옮긴이: 헌옷, 천 등을 모아 재활용하는 의류수거함은 우리나라에도 많이 설치돼 있죠. 애틀란틱(Atlantic) 지가 의류수거함에 모인 옷이 어디로 가서 어떻게 쓰이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쓰인 데이터는 미국을 기준으로 한 데이터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미국의 섬유산업은 재활용 가능한 재료로 상품을 만드는 산업 가운데 재활용률이 가장 낮은 산업 가운데 하나입니다. 헌옷은 재활용하면 카펫 안감부터 산업용 직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데도, 미국인들이 헌옷을 쓰레기와 함께 그냥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전체로 보면 재활용하거나 의류수거함에 모이는 헌옷은 더 보기

  • 2014년 7월 30일. 온라인 교육의 성패를 가르는 요인들

    옮긴이: 온라인 교육이 대세라며 한창 주목받던 게 얼마 전인데, 요즘은 그 열기가 조금 사그라든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단점과 한계로 지적되는 부분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해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MIT 학내 뉴스에 소개된 온라인 교육 관련 기사를 소개합니다. 질문이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김주호 씨에게 전달해드리고 답변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과정을 수료하는 학생 비율이 10%가 채 안 된다”, “여러 과목이 우후죽순 쏟아졌다가 대부분 주목도 받지 못하고 사라진다” 무크(MOOCs, Massively 더 보기

  • 2014년 7월 29일. 넘쳐나는 관람객에 몸살 앓는 유럽의 박물관

    휴가철마다 몰려든 인파에 몸살을 앓는 곳은 있기 마련입니다. 유럽의 유명 박물관과 미술관도 예외는 아닙니다. 프랑스 파리 루브르(Louvre) 박물관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인 모나리자가 있는 전시실은 출근길 만원 지하철이 떠오를 정도로 발디딜 틈조차 없습니다. 작품을 감상할 틈도 없이 사진만 후다닥 찍고 떠나는 게 상책일 만큼 복잡하죠. 지난해 루브르 박물관 입장객은 총 930만 명. 아시아와 동유럽에서 중산층이 늘어나면서 관광객 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영 박물관과 피렌체의 우피치(Uffizi) 미술관 등 유명한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더 보기

  • 2014년 7월 28일. “애플은 정말로 새 제품이 출시되면 기존 모델의 성능을 일부러 떨어트릴까?”

    옮긴이: 이 글은 하버드대학 경제학과의 뮬레이네이탄(Sendhil Mullainathan) 교수가 뉴욕타임스 업샷(Upshot)에 쓴 글입니다. Planned Obsolescence. 사전을 찾아보면 ‘계획적 구식화’라고 번역되는 이 말은 새 제품을 출시한 기업이 새 제품의 매출을 늘리기 위해 옛 제품을 구닥다리로 만들어버리는 걸 뜻합니다. 뮬레이네이탄 교수는 음모론자들에게 좋은 먹잇감이 될 만한 이 현상을 두고 특히 곧 출시를 앞둔 새로운 아이폰 모델을 예로 들어 빅데이터(Big Data)가 어디까지 구체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현상을 설명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는지를 풀어썼습니다. 중간에 삽입한 그래프는 더 보기

  • 2014년 7월 25일. 전쟁 반대와 불매운동

    “가자 지구를 위해 코카콜라(Coca Cola)를 마시지 맙시다. 우리는 전쟁(을 암묵적으로 지원하는 기업)에 힘을 보태지 말아야 합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폭격과 침공을 규탄하는 내용의 트윗입니다.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이스라엘이나 전쟁에 반대한다는 내용에 다국적 대기업인 코카콜라 불매운동을 연결시켰습니다. 이스라엘과 관련된 상품을 사지 말자는 “이스라엘 불매운동”은 꽤나 잘 정비된 조직으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공습이나 탄압 수위에 발맞춰 그 세가 불어났다 줄었다를 반복했습니다. 지난 2005년부터는 한 단계 더 나아간 조직이라 할 수 있는 “불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