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ingppoo
-
2015년 10월 30일. 노조를 되살리지 않고서는 중산층의 회복을 말할 수 없다
미국은 노동조합이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잘못된 결론이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몇 안 되는 부자 나라입니다. 사실은 정반대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27일. 온라인 광고를 위한 처방: 역지사지
온라인 광고에 있어서 성공적인 모델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 받는 미디어 <쿼츠>의 공동사장이자 발행인 제이 러프(Jay Lauf)가 <미디엄(Medium)>에 기고한 글입니다. 러프의 조언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이용자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광고는 안 하느니만 못하다는 겁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23일. [네이트 실버] 조 바이든의 대선 불참과 주류 언론의 헛발질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언론 <파이브서티에잇(Fivethirtyeight)>을 이끄는 네이트 실버는 기존 언론들이 뉴스를 위한 뉴스를 만드는 데 혈안이 되어 바이든 부통령의 의도와 그가 처한 상황을 냉철히 분석하는 데 실패했다고 꼬집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22일. 독일 정부, 네타냐후 억지 주장에 “역사 해석 바꾸지 않을 것”
팔레스타인 지도자가 히틀러를 부추겨 유태인 대학살인 홀로코스트를 일으켰다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억지 주장에 독일 정부는 차분하게 반박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21일. 유럽 곳곳에서 생겨난 난민들의 ‘청춘 FC’
뷰티풀 게임(beautiful game). 축구를 지칭하는 다른 말 가운데 하나입니다. 모두가 공 앞에서 차별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축구의 기본 정신을 실천하는 난민 축구팀이 유럽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습니다. <쿼츠>가 그 팀들을 취재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20일. 맨유 레전드 네빌과 긱스, 개축 중인 호텔 점거한 노숙인들에게 “나가지 말고 그 곳에서 겨울 나시라”
노숙인 주거 연대를 이끄는 활동가 웨슬리 홀 씨는 눈물을 흘리며 "두 축구 영웅의 따뜻한 호의가 실제로 노숙인들의 삶을 얼마나 바꿀 수 있는지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16일. 버니 샌더스가 여론조사를 비롯한 각종 평가에서 앞섰다는 사실을 외면하는 주류 언론
오늘 뉴스페퍼민트는 <얼터넷(AlterNet)>이라는 매체에 실린 칼럼을 소개합니다. 아담 존슨은 주류 언론들이 민주당 대선후보 TV 토론 이후 일제히 클린턴 후보의 승리라는 분석을 내놓은 것은 유권자들의 표심과 너무나 괴리가 큰 줄서기식 기사라고 맹렬히 비판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14일. [뉴욕타임즈] 여호와의 증인, 병역 거부 이유로 한국에서 주홍글씨 낙인
전세계에 수감된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90% 이상이 한국에 수감 중인 여호와의 증인 신도라고 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13일. 걱정이 많은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앞으로 걱정을 사서 하는 주변의 친구들을 보면 무턱대고 손가락질부터 하지 마세요. 어쩌면 그 친구들은 진짜 대단한 천재일지도 모릅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8일. 진퇴양난에 빠진 탄산음료의 끝없는 추락
오늘 이야기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시작됩니다. 이야기 중간 중간에 여러 차례 필라델피아의 사례가 등장하기도 합니다. 필라델피아가 탄산음료의 몰락을 주도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시민들, 특히 지역 어린이, 청소년의 건강을 위해서 탄산음료를 멀리하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벌이는 시 정부와 시민단체의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는 점에서 필라델피아는 미국 시장에서 특히 큰 위기에 봉착한 탄산음료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5년 전, 마이클 너터(Michael A. Nutter) 필라델피아 시장은 탄산음료(soda)에 특별소비세를 매기려다가 업계의 강력한 더 보기 -
2015년 10월 6일. “다시 위대한 미국을 만들자”는 구호를 외치는 당신, 미국이 잘 나가던 시절 어땠는지 아시나요?
도널드 트럼프의 선거 구호는 "다시 위대한 미국을 만들자" 혹은 "잘 나가던 미국으로 돌아가자"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Make America Great Again!"입니다. <아틀란틱>이 실제로 미국이 잘 나가던 시절에는 지금과 무엇이 달랐는지, 트럼프의 정책은 잘 나가던 시절 미국으로 되돌아가는 데 어떤 면에서 잘못됐는지를 꼬집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