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ingppoo
  • 2021년 1월 23일. 아만다 고만의 시 “오르막길”

    현지 시각으로 20일 거행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아마도 가장 많은 이목을 끈 인물은 미국 최초로 ‘미국을 대표하는 젋은 시인(National Youth Poet Laureate)’이란 칭호를 얻은 아만다 고만(Amanda Gorman)이었을 겁니다. 고만 시인이 취임식에서 낭송한 시 “오르막길(The Hill We Climb)”을 번역했습니다. * 다른 언어로 쓴 문학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은 당연히 기사나 칼럼을 번역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작업입니다. 원어인 영어로 들어야 시인이 표현하고자 한 말의 맛이 전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당연히 라임도 더 더 보기

  • 2021년 1월 19일. 미리 보는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

    (워싱턴 포스트, Emily Davies, Justin Jouvenal, Teddy Amenabar, Matt Viser) 원문보기   조 바이든 당선인은 오는 20일 46대 대통령으로 취임합니다. 이번 취임식은 근래의 어떤 취임식과 비교해도 공통점을 찾기 어려운 특별한 취임식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때문에 행정부의 수장이 바뀌는 행사는 처음부터 규모를 줄여야 했습니다. 여기에 2주 전에 폭도들이 함부로 짓밟았던 바로 그곳에서 미국의 헌법을 수호하는 대통령직을 수행하겠다고 선서하는 만큼 신임 행정부는 강인하고 안정적인 모습을 동시에 보여야 더 보기

  • 2021년 1월 11일. 전문 번역: 트럼프 계정 영구 정지시킨 트위터 성명

    원문보기   트위터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써온 @realDonaldTrump 계정을 영구 정지했다. 이 계정이 쓰는 트윗의 내용이 더 많은 폭력을 불러올 위험이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결정을 내리기 위해 우리는 해당 계정이 최근에 쓴 트윗과 그 트윗이 초래했다고 할 수 있는 사건 사이의 연관성, 맥락들을 자세히 분석했다. 특히 트윗에 쓴 말과 주장이 트위터 안팎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그래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면밀히 살폈다. 이번주 일어난 끔찍한 사건과 관련해 우리는 지난 6일 트위터의 더 보기

  • 2021년 1월 8일. 트럼프를 다시 탄핵하라

    어차피 곧 물러날 트럼프를 굳이 열흘 먼저 제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앞으로 어떤 대통령도 이렇게 위험천만한 일을 벌이면 반드시 책임져야 한다는 본보기를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더 보기

  • 2020년 12월 30일. NPR 올해의 기사 40선

    (NPR, Bill Chappell) 원문보기 다사다난했다는 상투적인 표현으로는 온전히 담아내기 어려운 2020년이 저물고 있습니다. NPR이 올 한해 청취자/독자들이 가장 많이 반응하고 의견을 보냈던 기사 40편을 꼽았습니다. 애도와 안도가 쉼없이 엉킨 한 해였습니다. 함께 대처하기 위해 뭉쳐야 했지만, 역설적으로 서로 거리를 두지 않으면 안 되는 한 해였습니다. 끝없이 밀려오는 어색하고 불편한 감정과 싸우고 견뎌내야 했던 한 해였습니다. 세상 사람 대부분에게 생전에 겪어본 적 없는 끔찍한 전염병의 시대에도 우리 모두 두고두고 소중히 간직할 더 보기

  • 2020년 11월 5일. 트럼프의 성급한 승리 선언에 준비한 대로 대응한 미국 언론

    버라이어티, Brian Steinberg 원문보기 옮긴이: 지금까지 이번 미국 대선에 관해 우리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건 한 가지입니다. “아직 누구도 승리하지 못했다”는 거죠.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가 예상했던 대로, 또 앞서 여러 차례 뜻을 내비친 대로 아직 주요 경합주의 결과가 나오기 전에, 개표가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선거 이튿날 새벽 2시 반에 “사실 내가 이번 선거에서 이겼다.”라고 선언했습니다. 객관적으로 살펴볼 만한 근거는 전혀 제시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이었습니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더 보기

  • 2020년 10월 25일. 노동의 가치가 인정받지 못하는 나라일수록 코로나19에 취약하다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특히 큰 이유도 노동자가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노동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더 보기

  • 2020년 10월 24일. 오늘 미국 대통령 TV 토론에서 나온 북한 관련 토론 전문

      현지 시각으로 22일 밤 열린 미국 대통령 후보들의 마지막 TV 토론에서 사회자가 준비한 여섯 가지 주제 가운데 하나로 ‘북한’이 나왔습니다. 이날 사회를 맡은 NBC의 크리스틴 웰커(Kristen Welker) 기자는 외교·안보 분야에서 대중국 정책에 관한 질문을 한 뒤 북한을 주제로 꺼냈습니다. (위의 유튜브 영상 기준 1:03:15부터입니다) 김정은 위원장과 세 번 만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평가, 두 후보의 대북 정책과 북한에 대한 견해를 엿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약 3분 45초간 이어진 더 보기

  • 2020년 10월 4일. 코로나19 확진판정 받은 트럼프와 앞으로 펼쳐질 수 있는 시나리오들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를 한 달 앞두고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미국은 어떤 절차를 따라 대통령을 선출하게 될까요?
    더 보기

  • 2020년 9월 30일. 뉴욕타임스의 트럼프 납세 기록 탐사보도

    (뉴욕타임스, Russ Buettner, Susanne Craig, Mike McIntire) 원문보기 * 옮긴이: 대통령이 세금을 낸 기록은 원래 탐사보도의 대상이 될 일이 없습니다. 모든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에, 아니 보통 후보로 지명되는 시점에는 세금을 낸 기록을 상세히 공개하는 것이 관행이었고, 그 관행은 예외없이 지켜졌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달랐습니다. 첫 번째 임기가 거의 끝나가는 시점, 재선 캠페인이 한창인 지금까지도 세금 기록을 언제 공개할 거냐는 질문이 나올 때마다 “곧 공개한다”, “준비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하면서 사실상 소송까지 불사하며 공개를 더 보기

  • 2020년 9월 20일. 2016년 미치 매코널 對 2020년 미치 매코널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BG) 대법관이 18일 췌장암으로 사망했습니다. 상원 다수당인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 원내대표는 즉시 “트럼프 대통령이 대법관 후보를 임명하면 신속하게 인준 청문회를 열겠다”고 말했습니다. 대통령 선거 투표일까지 46일 남았고, 일부 주에서는 이미 우편투표가 시작된 시점입니다. 한편, 4년 전 오바마 대통령이 (보수 성향)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이 갑자기 사망하면서 공석이 된 대법관 자리에 메릭 갈랜드 순회법원 판사를 임명하자, 당시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대법관을 임명하는 건 헌법이 정한 대통령의 권한입니다. 마찬가지로 더 보기

  • 2020년 9월 6일. “트럼프 대통령, 참전 군인 직접 비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군인을 왜 숭고한 희생으로 추켜세우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며, 군사 퍼레이드에 상이군인이 있으면 미관상 좋지 않으니 제외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