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제의 글
-
2015년 4월 28일. 스타 셰프 앤서니 보데인, 한국에 가다
CNN에서 자신의 이름을 내건 TV쇼 "미지의 세계(Parts Unknown)"를 진행하는 스타 셰프 앤서니 보데인이 그의 다섯 번째 시즌의 시작지로 한국을 택했습니다. 예고편을 갈음하여 그가 CNN에 쓴 글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2월 5일. 교육 격차를 줄이는 것이 경제를 살리는 길입니다
만약 미국이 소득 하위층의 교육 성취를 끌여 올려 OECD 학력 평가에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 된다면 미국의 총생산은 10%가 증가하고 소득 하위 25%의 평생 소득은 22%가 증가할 것이라고 연구는 밝히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월 19일. 한국의 소비자들이 ‘직구’에 눈을 돌리는 이유
1998년 경제 위기 당시 한국의 연예인은 애국심을 증명하려 BMW 자동차를 현대자동차로 바꾸었습니다. 코카콜라나 펩시콜라에 대항하겠다며 광복절을 테마로 삼은 815 콜라가 출시되었지요. 현대증권은 한국 기업에 투자하는 ‘바이코리아 펀드’ 신화를 일으키며 펀드 설정 3개월 만에 12조 원 넘는 시중 자금을 끌어들였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애국심이 투철하던 한국 소비자들도 다시 수입품에 눈을 떴습니다. 해외 소비자보다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는 자각이 들기 시작한 것이죠. 자동차를 예로 들어봅시다. 모터그래프가 한국 소비자 1,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소비자들이 더 보기 -
2014년 12월 9일. 남녀 공학과 남녀 혼성반이 학생들 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사례
남녀공학이나 혼성반 여부가 중학교 여학생들의 성적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중학교 남학생들의 성적에는 영향을 미쳤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11월 12일. 아이리쉬는 알코올중독이라 영어교사로 채용할 수 없다는 한국의 문화
'아이리쉬는 알코올 중독이라 영어 교사직을 줄 수 없다" 라고 응답한 한국의 한 영어 교육업체 이야기가 BBC에서 '가장 많이 읽힌 기사'가 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소개한 가디언과 워싱턴포스트의 기사도 같이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11월 3일. 한국의 스킨 케어 화장품, 미국 주류 사회 인기
한국 화장품은 이미 동남아시아에서 새로운 한류 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주 지역은 어떨까요? 2011년 BB크림이 히트 친 이후 미국에서도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첨단 기술을 사용하는 한국의 뷰티 문화를 뉴욕타임즈가 소개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10월 22일. e스포츠는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 중 하나
지난주 일요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일명 '롤드컵',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경기를 취재한 뉴욕타임스가 한국의 e스포츠 전반에 관련된 기사를 썼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9월 22일. 발전지수와 행복과의 상관관계
국가가 발전하면 국민들은 행복해질까요? 개발 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 와 행복지수(갤럽 조사결과) 를 비교한 결과를 소개합니다. 원문에서는 인터액티브 그래프도 확인 가능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9월 19일. [9월 인기기사]왜 한국 이름엔 김 씨가 많을까요?
우리에게 미국인은 모두 '마이크'와 '존'인 것처럼 외국 사람들에게는 한국인이 모두 '김'과 '이'씨인 게 신기하게 보이나 봅니다. 이코노미스트가 왜 한국인의 50%가 '김'과 '이'씨인지 궁금증을 풀어주는 글을 올렸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