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제의 글
  • 2014년 2월 20일. 전쟁과 개입에 지친 강대국들 덕에 독재자들이 덕을 본다?

    1990년대 미국과 유럽의 언론을 매일같이 장식했던 보스니아 내전을 비롯한 발칸반도의 혼란을 보도하는 기자들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톱 기사를 쓰고 싶은 욕망이 없지 않았을 테고, 생사를 오가는 전쟁터를 누빈다는 공명심도 있었겠지만 근간에는 분명 이 사태를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었을 겁니다. 이렇게 반인륜적이고 끔찍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데도 온 세상이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 건 이런 일이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겁니다. 372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UN 인권보고서를 작성한 이들의 더 보기

  • 2014년 2월 20일. 최저임금 인상의 빛과 그림자

    미국 의회예산국 (The Congressional Budget Office)이 지난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민주당과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최저임금 인상안은 오는 2016년 상반기까지 일자리를 50만 개 줄이는 대신 90만 가구를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돕고, 1,650만 명의 저임금 노동자들의 소득을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최저임금 인상안은 시급을 10.10달러(약 11,000원)로 올리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의회예산국의 이번 보고서는 최저임금 인상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 모두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화당은 이번 더 보기

  • 2014년 2월 19일. 결혼, 모 아니면 도

    * 이 글은 엘리 핑켈 (Eli J. Finkel) 노스웨스턴 대학 (Northwestern University) 심리학과 & 경영대학 교수가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글입니다. 오늘날 결혼은 과거에 비해서 더 나아졌나요, 아니면 나빠졌나요? 이 어려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대체로 다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나빠졌다고 말하는 이들은 이혼이 증가하고 도덕성이 해이해진 것을 근거로 듭니다. 반대로 나아졌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이혼율이 증가한 것은 오히려 개인의 선택이 존중 받는 방향으로 결혼 제도가 진화했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합니다.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저는 결혼에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푸에블로호 사건으로 보는 북한의 어제와 오늘

    지난주 아시아를 방문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영원한 역내 골칫거리는 아마도 북한일 것입니다. 미국 해군의 푸에블로호가 납치당했던 1968년만큼 상황이 나쁘지 않은 것이 유일한 위안일지도 모릅니다. 북한은 오늘날까지도 푸에블로호를 초강대국인 미국을 상대로 얻어낸 전리품으로 홍보하며 관광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LA타임즈 기자 출신인 잭 치버스(Jack Cheevers)는 최근 푸에블로호 승무원을 상대로 한 심층 인터뷰와 기밀 해제된 문서들을 바탕으로 <전쟁행위: 린든 존슨, 북한과 간첩선 푸에블로호 납치 (“Act of War: Lyndon Johnson, North Korea and the 더 보기

  • 2014년 2월 18일. 나이지리아에서 건너온 오순절파 교회의 성장, 미국의 교회 지형을 바꿀까?

    “미국 어디에서든 차를 타면 10분 이내로 갈 수 있는 스타벅스처럼 우리 교회도 미국에 그렇게 많아져야 합니다. (적어도) 10마일마다 하나씩 교회를 짓는 게 목표예요.” 제임스 파델레(James Fadele) 목사는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북쪽으로 한 시간 가량 떨어진 곳에 한창 건설 중인 예배당과 1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 대형 강당 등을 둘러보며 당차게 말했습니다. 그가 말하는 교회는 “구원받은 기독교인들을 위한 하나님의 교회(Redeemed Christian Church of God, RCCG)”로 지난 1952년 나이지리아에서 시작된 오순절파(Pentecostal)의 갈래를 더 보기

  • 2014년 2월 17일. [그레고리 맨큐 칼럼] 그럼요, 부자들은 자기 능력에 걸맞게 돈을 받고 있습니다

    * 이 글은 하버드 대학 경제학과 교수인 그레고리 맨큐(Gregory Mankiew) 교수가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글입니다. 2012년 영화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Robert Downey Jr.)는 영화 어벤저스(The Avengers)에서 아이언 맨(Iron man) 역할로 출연했습니다. 그가 영화 한 편을 찍고 받은 출연료는 무려 5천만 달러였습니다. 당신은 이 이야기를 듣고 화가 나나요? 그가 받은 어마어마한 출연료가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나요? 거리에서 시위라도 하고 싶나요? 이러한 질문은 최근 오바마 대통령이 주목하고 있는 경제 불평등에 관한 토론의 핵심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2월 11일. “떼인 돈 받아내기” 두 헤지펀드의 정반대 접근법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가 급격히 떨어지자 13년 전의 채무불이행(Default) 위기를 다시 겪는 게 아니냐는 소리가 공공연히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유명 헤지펀드 두 곳이 아르헨티나 정부가 2001년 채무불이행을 선언했던 채권을 두고 정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 곳이 채무자를 어떻게든 달래서 있는 돈이라도 적당히 받아내는 전략을 쓰고 있다면, 다른 한 곳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빌려준 돈을 이자까지 쳐서 모조리 받아내겠다는 강경한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어느 한 쪽이 도덕적으로 정당한 문제가 더 보기

  • 2014년 2월 6일. 흰 얼굴의 노예들: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인종주의 활용법

    -뉴올리언즈대학에서 미국사를 가르치는 Mary Niall Mitchell교수가 NYT에 기고한 글입니다. 1864년 1월, 하퍼스위클리(Harper’s Weekly)에는 독자들의 시선을 잡아끈 사진 한 장이 실렸습니다. 북부군이 점령한 뉴올리언즈에서 갓 자유를 찾은 흑인 노예 8명의 사진이었습니다. 세 명의 어른들 앞에 7세에서 11세 사이의 아이들 5명이 서있는 사진이었죠. 페티코트를 갖춘 드레스와 정장을 말쑥하게 갖춰입은 차림새보다도 더 독자들을 놀라게 한 것은 이들의 생김새였습니다. 피부색이 밝고 머릿결이 부드러운 아이들의 사진을 보고 북부의 중산층 백인 독자들은 처음으로 깨달았습니다. 남부의 노예들이 모두 더 보기

  • 2014년 2월 3일. 가난한 자들의 침묵, 나는 여전히 이렇게 생각한다

    -지난 주에 뉴스페퍼민트에서 소개한 이코노미스트 칼럼 “가난한 자들의 폭동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에 대한 답변 형식의 칼럼입니다. 이코노미스트에 실린 내 동료의 칼럼을 통해 저는 제가 5년 전에 쓴 글이 매트 밀러의 워싱턴포스트 칼럼에 인용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밀러는 칼럼에서 “불평등의 정도가 심해지고 있음에도 왜 미국의 빈곤 계층은 개선을 강력하게 요구하지 않는가”하는 문제에 대한 저의 주장을 인용하며 이에 동조하였습니다. 현대사회에서는 가장 가난한 사람들도 더 나은 물건을 가질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물질적 더 보기

  • 2014년 2월 3일. 아보카도와 멕시코 미초아칸 주, 그리고 템플러 기사단

    “초록빛 황금(oro verde)” 멕시코 중부의 미초아칸 주(Michoacán) 사람들이 지역 경제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닌 열대과일 아보카도를 일컬어 붙인 별명입니다. 세계 최대의 아보카도 산지이기도 한 미초아칸 주는 지난해에만 미국에 아보카도 50만 톤을 수출했고, 올해는 아보카도 수출을 통해서만 10억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수입 농산물의 품질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미국 농무부(USDA)로부터 멕시코 주들 가운데서는 유일하게 수출 인증을 받은 미초아칸 주는 미국 마트에서 판매되는 전체 수입산 아보카도의 8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딴시따로(Tancítaro)는 미초아칸 주 안에서도 더 보기

  • 2014년 1월 29일. 가난한 자들의 폭동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매트 밀러(Matt Miller)는 최근 워싱턴포스트 칼럼에서 미국 빈민들에 의한 폭동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가 기술의 발전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물건의 가격이 낮아지니, 실제 소비 생활의 격차가 소득 격차만큼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도 큰 불만을 갖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만 달러가 넘는 최신형 냉장고를 가진 사람이나 이케아의 550달러짜리 냉장고를 가진 사람이나 똑같이 집에서 시원한 맥주를 마실 수 있다는 것이죠. 이 주장에는 일말의 진실이 담겨있는 듯 하고, 그래서 더욱 의심이 갑니다. 물론 더 보기

  • 2014년 1월 29일. 미국에선 옷값 싸다는 것도 이제는 옛말

    지난 수십 년간 싼 옷값은 미국 소비자들의 가계에 큰 도움을 줬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미국이라고 해서 옷값이 싸다고 말하기 어려워질지도 모릅니다.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미국의 의류 가격은 0.6% 상승했습니다. 상승폭이 크지는 않지만 2011년 이후 3년 연속 올랐습니다. 2011년 전의 의류 가격을 살펴보면, 과거 13년 동안 단 두 해만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옷값이 쌌던 것은 중국산 제품이 많이 수입된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중국산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미국내 의류 제조업은 큰 위기를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