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11월 25일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말하는 방법

    예의를 차려야 하는 자리에서 피해야 하는 대화 주제로 흔히 정치, 종교, 섹스를 꼽습니다. 하지만 어려운 대화를 반드시 해야만 하는 순간이 있죠. 성에 대한 대화, 특히 성적 악행에 대한 대화는 여전히 오해를 낳을 수 있는 말들과 완곡어법으로 포장돼 의도와 관계없이 해로운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바르셀로나에서 일어난 사건은 언어의 힘을 잘 보여줍니다. 의식이 없는 14세 소녀를 집단 강간한 5명의 남성이 “성폭행(sexual assault)”이 아닌 “성적 학대(sexual abuse)”로 유죄 판결을 받은 까닭은 더 보기

  • 2019년 11월 23일
    미국 선거인단 제도에 숨은 어두운 그림자: 인종차별

    미국 선거 제도의 역사에서 선거인단이라는 제도는 어쩌면 가장 은밀하게 유색인종의 선거 참여를 제한하고 가로막은 장벽 역할을 해왔습니다. 200여 년 전 남부에 사는 백인의 표에 가중치를 주기 위한 묘책으로 고안된 선거인단 제도는 지금도 정확히 그 목적에 부합하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9년 11월 21일
    음악 교육은 정말 아이의 지능 발달에 도움이 될까요?

    2004년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지에는 “음악 교육은 지능을 높인다”는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토론토대학 미시사가 캠퍼스의 심리학자인 글렌 쉴렌버그는 144명의 아동을 임의로 네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1년 동안 키보드를 가르쳤고, 다른 그룹은 노래 연습을, 다른 그룹은 연기를, 그리고 나머지 그룹은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네 그룹 중 음악을 배우지 않은 두 그룹은 1년 동안 지능지수가 평균 4.3점 오른 반면, 음악을 배운 두 그룹은 평균 7점이 올랐습니다. 쉴렌버그는 애초에 음악 교육이 아동의 추론 능력과 수리, 더 보기

  • 2019년 11월 18일
    신뢰의 대가와 비용

    우리는 주변에서 사람을 너무 믿어서 고통받는 이들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기 피해를 입은 고객, 연인에게 배신당한 사람, 친구에게 뒤통수를 맞은 사람 등 다양하죠. 당신도 누군가를 믿었다가 상처받은 경험을 갖고 있을 겁니다. 이런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우리는 사람들이 타인을 너무 믿고, 속아 넘어가기 쉬운 존재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인상은 사실과 다릅니다. 미국에서 수집된 신뢰 관련 최근 데이터를 살펴보면, 사람들이 타인을 믿을만한 존재로 여기는지를 말해주는 대인 신뢰도는 50년만에 최저치를 더 보기

  • 2019년 11월 15일
    오디오 레볼루션(4/4)

    유튜브의 수치들은 환상적입니다. 매달 유튜브에 접속하는 사람의 수는 19억명으로, 이들은 하루에 수십억 시간의 영상을 즐기고 있습니다. 그들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이용합니다. 유튜브는 전세계에서 구글 다음으로 많은 검색이 이루어지는 사이트입니다. 또 구글 다음으로 많은 사람들이 접속하는 사이트이기도 합니다. 매 1분 마다 400시간 분량의 컨텐츠가 올라옵니다. 컨텐츠 증가량으로도 페이스북 다음의 전세계 2위 입니다. 유튜브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이들을 영상 혹은 시각적 매체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물론 유튜브에서는 영상이 플레이됩니다. 그리고 게임이나 뷰티처럼 영상이라는 더 보기

  • 2019년 11월 15일
    오디오 레볼루션(3/4)

    정보와 뇌 그럼 핫미디어는 핫메시지가 성공할 수 있는 공간, 혹은 무대를 만든다고 말할때, 그 말은 도대체 어떤 의미일까요? 무대란 무엇일까요? 사실 무대는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우리의 관심과 이해가 바로 정보가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즉, 헤드폰과 오디오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곧 우리의 뇌에서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더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 뇌는 매우 중대한 임무를 띄고 있습니다. 바로,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감각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이는 곧 더 보기

  • 2019년 11월 15일
    오디오 레볼루션(2/4)

    잊지말아야할 것은 우리가 미디어를 뜨겁고 차갑다고 말할 때, 그 말이 해당 미디어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에 대한 말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미디어 그 자체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말의 뜻은 어떤 미디어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그 무대가 따라온다는 뜻입니다. 핫미디어는 핫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쿨미디어는 쿨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 핫미디어는 내용을 뜨겁게 데우고, 쿨미디어는 내용을 차갑게 식힙니다. 쿨미디어인 문자 메시지와 핫미디어인 이메일의 차이를 생각해봅시다. 두가지 모두 글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더 보기

  • 2019년 11월 15일
    오디오 레볼루션(1/4)

    지금 이 글은 10억 명 넘는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그리고 이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그들의 세상을 완전히 바꿔놓은, 특히 매년 더욱 중요해지고 있지만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라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기술에 관한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헤드폰과 헤드폰을 통해 우리 귀에 들려오는 소리입니다. 이들은 모든 것을 바꾸고 있습니다. 헤드폰은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가치와 우리의 본능을 바꾸고 있습니다. 정치가들이 대중을 설득하는 방식도 바꾸었습니다. 나는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에 이러한 변화가 영향을 더 보기

  • 2019년 11월 14일
    [가디언 영화 평론] 기생충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은 올 한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들의 입에 오르내린 화제작이 되었습니다. 봉준호 특유의 다크코미디로 계층 간의 격차를 날카롭게 풍자한 수작이라는 평가를 넘어 다양한 장면이 "짤"로 제작돼 소셜미디어를 수놓고 있습니다. 영어가 아닌 작품으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상인 오스카를 수상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영화평론가 가이 롯지가 가디언에 리뷰를 올렸습니다.
    더 보기

  • 2019년 11월 11일
    [칼럼] 인터넷 정치 광고의 전면 금지가 과연 답일까요?

    최근 트위터는 모든 정치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깜짝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페이스북 등 다른 IT 대기업들의 차후 행보도 주목을 받게 되었죠. 하지만 정치 광고를 허용하면서도 동시에 허위정보의 확산을 막고, 투명성을 강화하면서, 사상의 자유시장을 활성화할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정치 광고의 마이크로타겟팅(microtargeting) 관행을 없애는 것입니다. “마이크로타겟팅”이란 광고의 범위를 “아파트에 거주하며 워싱턴내셔널스 야구팀 페이지에 좋아요를 누른 25~35세 싱글 남성”과 같이 세분화된 특정 집단으로 한정하는 전략입니다. 하지만 데오도란트를 팔기에 좋은 광고 기법이 정치인 홍보에도 그대로 더 보기

  • 2019년 11월 7일
    “세상에는 더 많은 이야기꾼이 필요합니다”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미국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25.5%나 줄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문과 기피 현상과 비슷한 맥락에서 일어난 일로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예일대학교의 로버트 실러 교수는 지금 세상에 가장 필요한 건 이야기꾼(storyteller)이라고 말합니다.
    더 보기

  • 2019년 11월 4일
    글쓰는 기계가 인간과 경쟁할 날이 올까요?

    지메일(Gmail)의 두 가지 기능 덕분에 이제는 많은 이들이 자동 글쓰기(automated writing)라는 것에 익숙해졌습니다. “스마트 답장(Smart Reply)” 기능은 일상적인 이메일에 대한 간단한 답을 만들어 냅니다. “오후 3시에 만날까?” 같은 질문을 받는 경우, 클릭 한 번으로 “그래!”라는 답장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더 놀라운 건 “스마트 작문(Smart Compose)”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쓰는 글을 봐가면서 문장의 나머지 부분을 제안하죠. 두 기능 모두 문법적으로 흠 잡을 데 없는 영어임은 물론이고, 약간 무서울 정도로 내가 쓰려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