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4월 10일
    美 신문들 판매 수입은 ↑, 광고 수입은 ↓

    미국신문협회(NAA, Newspaper Association of America)는 지난해 미국 신문사들이 거둔 판매수입이 총 104억 달러(11조 8천억 원)로 2011년보다 5% 늘어났다고 발표했습니다. 구독료 수입이 늘어난 건 지난 2003년 이후 10년만에 처음 있는 일로, 디지털 구독료 수입이 크게 늘어난 덕분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오프라인 종이신문 판매 수입은 14% 감소했지만, 디지털 구독료 수입은 275%, 디지털과 종이신문을 함께 묶는 번들형 상품 판매수입이 499%나 늘어났습니다. 미국 신문들은 저마다 디지털 구독료 사업에 힘을 쏟고 있는데, 워싱턴포스트가 지난달 유료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중국의 인터넷(3): 모두 다 ‘우리 것’으로

    중국의 온라인게임 산업을 들여다보면 두 가지 놀라운 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첫째, 역시나 엄청난 성장률입니다. 2003년 1억 6천만 달러가 채 안 되던 시장규모가 2012년에는 90억 달러로 전세계의 1/3을 차지하게 되었고, 2020년이면 2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 중국 인터넷 사업의 규모는 미국보다도 커지고 있습니다. 둘째, 외산 서비스가 중국 국내 서비스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10년 전 시장점유율 70%를 자랑하던 한국의 “미르의 전설 2” 점유율은 30%로 줄어들고 중국산 게임인 ‘몽환서유’ ‘몽삼국’ 등이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아이패드를 활용한 신생아와 산모의 대화

    분만 이후 신생아가 합병증, 조산, 수술 등의 이유로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되면 산모들은 아이와 떨어져 있게 됩니다. 출산의 고통을 겪자 마자 피붙이와 떨어지게 되는 건 산모에게 상당히 괴로운 순간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세다 사이나이 병원(Cedars-Sinai Hospital)에서는 아이패드를 사용해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는 아이와 병실에 있는 산모 간에 화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베이비타임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프로그램은 신생아를 돌보고 있는 의사들과 산모가 대화하게 해줌으로써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신생아가 중환자실에 입원하면 아이패드를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책] 줄리안 반즈의 틀리지 않은 또 다른 예감

    저작권 대리인이던 팻 카바나가 뇌암으로 세상을 떠난 것은 5년 전입니다. 그 후 그녀의 남편이었던 줄리안 반즈는 단편집 하나, 수필집 하나, 그리고 2011년 부커상을 받은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The sense of ending)”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4일 영국에 출간된 반즈의 새 책, “삶의 균형(Levels of Life)”은 수필과 단편, 그리고 그녀에 대한 추억들이 쉽게 설명할 수 없는 방법으로 뒤섞여 있습니다. “슬픔은, 삶의 모든 형식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형식이 존재한다는 믿음마저 파괴하고 맙니다.” “삶의 균형”은 더 보기

  • 2013년 4월 10일
    [책] “섹스 그리고 시타델(Sex and the Citadel)”

    “이집트와 걸프만 아랍 국가의 남자들은 언제나 잘못된 곳에서 성적 만족을 찾고 있어요.” 위의 말은 한 이집트 여성이 쉬린 엘 페키에게 아랍 세계의 성문화가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알려주기 위해 한 말입니다. 첫 번째 문장의 ‘곳’이 의미하는 바는 지리적 위치가 아닌 해부학적 위치입니다. 엘 페키는 무슬림 사회의 성문화를 알기 위해 민감한 질문들을 아랍인들에게 던졌고, 적지 않은 사람들이 처녀성을 파괴하지 않기 위해 항문성교를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엘 페키는 UN의 “법과 에이즈에 관한 국제위원회(Global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마거릿 대처 영국 전 총리 사망

    윈스턴 처칠 이후 가장 유명한 영국의 수상이자, 20세기 후반 자유시장 경제의 부활을 이끈 마거릿 대처 영국 전 총리가 뇌졸중으로 투병하던 중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떴습니다. 현지 시각으로 월요일, 대처의 대변인으로부터 사망소식이 전해지자 영국 총리와 영국 왕실도 곧바로 애도를 표했습니다. 마거릿 대처는 서방 강대국들에서 집권한 첫 여성 지도자였으며 11년 동안 장기 집권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집권 당시 ‘철의 여인’은 소련의 붕괴를 이끌어낸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의 든든한 동지였으며, 그 결과 여러 옛 소련 국가의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美 2012 대선 때 인종에 따라 투표하는 데 걸린 시간 달랐다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 지난 11월 미국 대선에서 길게 늘어선 투표소의 줄은 큰 문제로 여겨졌고 오바마 대통령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위원회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문제는 얼마나 심각했던 걸까요? MIT 교수인 찰스 스튜어트(Charles Stewart)의 연구에 따르면 투표하는 데 걸린 시간은 유권자가 사는 지역과 인종에 따라 크게 달랐습니다. 전체 유권자 중 66%는 투표를 하는 데 10분도 채 안 걸렸습니다. 투표를 끝마치는 데 한 시간 이상 걸린 유권자들은 전체의 3%에 불과합니다.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철권통치자의 말년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람 카리모프(Islam Karimov) 대통령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Nursultan Nazarbayev)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각각 소련이 무너진 뒤 20년 넘게 나라를 통치해 왔습니다. 중앙아시아의 라이벌 관계인 두 나라는 권력자의 철권통치 속에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두 대통령이 모두 70대로 노쇠해지면서 민주적인 선거제도를 통해 권력을 바꿔본 경험이 부족한 나라에서 어떻게 권력이 승계되고 이양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나토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하면서 두 나라의 정국이 혼란에 빠질 경우 지역 정세가 덩달아 불안해질 수 있다는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대학의 지리적 분포는 어떻게 경제 성장을 방해하는가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기업들 가운데 하나인 아마존, 구글, 애플, 코스트코, 홈디포, 페덱스는 50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100년간 연방정부 역시 큰 변화를 겪었는데 메디케어(Medicare)나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 제도를 정립했고, 증권거래위원회를 만들었으며 다른 연방 프로그램이나 정부 기관들이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대학들은 비교적 오랜 세월 동안 위치나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1890년대에 문을 연 시카고대학이나 스탠포드 대학은 상대적으로 역사가 가장 짧은 대학으로 여겨집니다. ‘새로운(New)’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대학들도 실제 역사를 보면 그리 짧지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美 국내선 항공기에 대한 소비자 불만 날로 높아져

    미국 퍼듀 대학과 위치타 대학이 공동으로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선 항공기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만은 전년도보다 무려 20%나 증가했습니다. 미국 교통부에 접수된 민원 데이터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정시도착률이 높아지고 수하물 분실률은 줄어드는 등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은 개선되고 있지만 승객들은 점점 비행기를 탈 때마다 짜증을 느낍니다. 연구팀이 꼽은 이유는 간단합니다. 항공사들이 더 많은 승객을 태워 이윤을 내기 위해 좌석 크기를 줄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130석이던 비행기 좌석 수를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중국의 인터넷(2): 중국의 인터넷 정책이 세계 각국에 미친 영향

    지난해 12월, UN 통신 거버넌스 콘퍼런스에서는 정부의 인터넷 통제를 두고 격론이 벌어졌습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언론의 자유를 지지했고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등의 권위주의 국가들은 인터넷으로 인한 경제적 효용은 취하면서도 컨텐츠는 검열하는 중국식 모델을 선호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인터넷 통제가 성공하자 세계 각지의 개발도상국들이 인터넷을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북한처럼 완전히 인터넷을 차단해버리는 국가는 투르크메니스탄 정도 뿐입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은 중국의 인터넷 시스템을, 중앙아시아는 러시아의 시스템을 수입하면서 감시 기술도 같이 가져옵니다. 아제르바이잔의 더 보기

  • 2013년 4월 9일
    의료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 혁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제약회사들은 연구개발 자료를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며 보험회사와 병원들은 환자의 정보를 디지털로 저장해왔습니다. 또한 미국 정부와 공공 기관에서는 방대한 양의 임상시험 결과를 비롯한 의료 지식을 개방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보험회사와 병원, 실험실, 개인 의원 등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기가 쉬워졌습니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의료비용에 대한 우려가 빅데이터를 통한 의료비 절감을 시도하고 있는 원동력입니다. 개인적인 경험이 아닌 임상데이터에 기초해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려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