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4월 1일
    “지구온난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육식을 반드시 줄여야 합니다.”

    인류가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줄이지 않는 이상 지구 온난화 현상을 막기는 어려울 것이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들 중의 하나인 농업 영역에서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줄이지 못하면, UN이 상정하고 있는 ‘2도 제한’ 목표를 도달 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기 때문입니다. UN은 기후 변화로 인한 대재앙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산업혁명 이전 시기를 기준으로 지구 평균 온도가 섭씨 2도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경고해왔습니다. 이 2도 제한 기준을 더 보기

  • 2014년 4월 1일
    전성전(電聖戦, Electronic Holy War): 컴퓨터와 인간의 바둑대결

    1997년 IBM 의 딥블루는 체스 세계 챔피언이었던 개리 카스파로프를 물리쳤습니다. 그로 부터 두 달 후 뉴욕 타임즈는 동양에서 보다 인기있는 게임인 바둑을 이야기하며 “바둑에서 컴퓨터가 사람을 이기기 위해서는 100년 이상이 걸릴 지 모릅니다” 라고 적었습니다. 작년 3월, 일본에서는 컴퓨터와 사람의 첫 번째 공식 기전인 전성전(電聖戦, Electronic Holy War)이 열렸습니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크레이지 스톤(Crazy Stone)”은 70년대 ‘컴퓨터’라는 별명을 가졌었고 일본 챔피언을 5차례 지냈던 이시다 요시오를 물리쳤습니다. 물론 이 승리는 딥 더 보기

  • 2014년 3월 31일
    세상이 멸망하고 문명을 재건해야 한다면?

    -저서 <지식: 무의 상태에서 다시 세상을 만든다면(“The Knowledge: How to Rebuild Our World From Scratch)>의 출판을 앞두고 있는 루이스 다트넬(Lewis Dartnell)이 NYT에 기고한 글입니다.  저는 우주생물학이라는 거창한 학문을 전공했고 학위가 세 개나 있지만, 실생활에 쓸모있는 재주와는 거리가 먼 사람입니다. 고장난 수도꼭지를 고칠 줄도, 빵을 구울줄도 모르죠. 아마 저 같은 분들이 많을 겁니다. 무슨 물건을 사더라도 작동 메뉴얼 자체가 딸려오지 않고, 고장이 나면 버리고 새 제품을 사는 것이 훨씬 빠른 세상이니까요. 가끔 더 보기

  • 2014년 3월 31일
    기후변화와 니카라과 커피농장 노동자들의 보릿고개

    보릿고개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말이 아닙니다. 커피의 세계적인 생산지 가운데 하나인 중앙아메리카의 2백만 커피농장 노동자들에게도 3, 4월 두 달은 보릿고개라 불러도 좋을 만큼 먹을 게 부족한 시기입니다. 겨우내 자란 커피를 수확하는 동안 번 돈으로 가지치기나 비료를 주기 시작하는 5월에 다시 일감이 생길 때까지 버티는 게 보통이지만, 3년 전부터 심각한 흉년이 계속되면서 커피 작황이 너무 안 좋아 일거리를 잃은 노동자, 농민들은 수확하다 떨어진 커피 열매들을 주워모아 이 가운데 쓸만한 것들을 내다 팔며 보릿고개를 더 보기

  • 2014년 3월 31일
    27세 미국인의 자화상: 교육, 직장, 그리고 결혼

    미국 노동통계청(Bureau of Lator Statistics)은 1980~1984년 사이에 태어난 미국인 9000명을 시계열로 관찰한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이 통계는 (만) 27세 평균 미국인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알려주는 스냅샷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우선 미국 통계청이 조사한 모든 성인들에 비해 27세의 미국인들은 더 많은 교육을 받았습니다. 어떠한 형태로든 대학 교육을 경험한 비율이 전체 성인 평균치보다 높고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비율은 비슷했습니다. 27세 여성의 32%가 4년제 대학을 졸업했고 남성의 경우는 24%가 대학 학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성인 전체와 더 보기

  • 2014년 3월 31일
    기업이사회 여성 채용 의무화 제도

    지난 3월 8일 여성의 날을 맞아 이코노미스트가 국가별 유리천장 지수를 발표하였습니다. 한국은 최하위권을 차지하였는데, 지표 계산에 사용된 ‘기업이사회의 여성 비율’은 OECD 평균 12.5% 대비 1.9%로 특히 낮았습니다. (관련뉴스페퍼민트 기사) 이에 비해 노르웨이는 기업 이사회에 여성 비율이 40%에 다다르는데, 법으로 쿼터(Quota:할당량) 을 못박았기 때문입니다. 노르웨이에서 2006년 법안이 발의되고 2008년 효력을 발휘할 때만 해도 전세계에서 처음 시도된 법안에 부작용이 있을까 지켜보는 눈이 많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쿼터제는 역효과를 낳을 수도 있도 위험한 정책입니다. 그러나 더 보기

  • 2014년 3월 31일
    자폐증(Autism)을 고용 조건으로 내건 기업, 그 속내는?

    자폐증 환자는 줄곧 취업 시장에서 외면 받아왔습니다. 자선 산업이 아니면 이들이 고용 기회를 찾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와도 같았습니다. 기업들은 이들이 보여주는 반복적인 행동패턴과 사회적 기능의 손상(Social Deficit) 증상이 일터의 결속력을 와해하고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시각을 뒤엎고 자폐 환자들을 적극적으로 고용하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폐 증상 또한 활용 방식에 따라 기업의 유용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독일에 소재하는 소프트웨어 회사 더 보기

  • 2014년 3월 31일
    드림 온(Dream On):소리로 꿈을 조절하는 앱의 효과

    소리를 이용해 꿈의 내용에 영향을 주겠다는 아이디어는 2010년 에딘버러 과학축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2012년 앱으로 출시된 “드림 온(Dream On)”은 기상시간을 설정하면, 그보다 몇 분 먼저 사용자가 정한 특정 환경의 소리를 냄으로써 사용자의 꿈에 영향을 주도록 만들어졌습니다. 하트포드샤이어 대학의 리처드 와이즈먼(Richard Wiseman)은 8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이 앱이 실제로 사람들의 기분을 즐겁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험의 참가자들은 이 앱과 도시와 자연의 두가지 소리를 다운받았습니다. 첫번째 도시 소리는 자동차와 사람들의 소리로, 더 보기

  • 2014년 3월 28일
    [책] 중국과 미국, 왜 충돌할 수 밖에 없나

    “친구도, 적도 아니다.” 지난 20년 간 미중 관계를 묘사해온 표현으로, 이제는 일종의 클리셰가 되었습니다. 정제된 표현은 아니지만, 그 속에는 일말의 진실이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은 중요한 안보 이해를 공유하고 있지도 않고, 정치 이념이나 세계관도 다릅니다. 하지만 동시에 서로를 이념, 안보면에서 직접적인 위협이라고까지는 여기지 않고, 경제적으로도 꽤나 단단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충돌을 피하려고 노력할 수 밖에 없죠 그러나 이 표현이 처음으로 사용된 때와 비교해 세상은 크게 달라졌습니다. 중국 경제가 엄청나게 성장한데다, 금융위기로 유럽과 더 보기

  • 2014년 3월 28일
    “나는 덴마크 동물원의 결정을 이해합니다.”

    *역자 주: 지난달 생후 18개월 된 건강한 기린을 “근친 교배를 막는다”는 이유로 죽인 뒤 다리를 비롯한 몸뚱이의 일부를 사자에게 먹이로 줬던 덴마크 코펜하겐의 동물원이 사자 네 마리를 안락사시켰다고 발표했습니다. 동물원 측은 더 이상 무리를 이끌 기력이 없는, 그래서 자연에서라면 이미 우두머리 자리에서 쫓겨났을 법한 늙은 숫사자 두 마리와 새로운 우두머리 숫사자가 무리를 장악하고 나면 가장 먼저 죽일 게 뻔한 어린 사자 두 마리를 죽였다고 밝혔습니다. 관련 뉴스는 국내 언론에도 여러 더 보기

  • 2014년 3월 28일
    어떻게 현금 사용 감소가 범죄를 줄였는가?

    1990년 이후로 왜 미국에서는 범죄가 급격히 줄어들었을까요? 이에 대해 경제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은 경찰력 증가, 보안 기술의 발전, 경제 성장 등 다양한 답을 내놓습니다. 물론 범죄가 줄어든 건 어느 특정한 이유 하나 때문이 아니라 앞서 언급한 모든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발표된 논문은 놀라운 원인을 하나 더 추가합니다. 바로 미국에서 현금 사용이 줄어든 것이 범죄율 감소와 연관이 있다는 것입니다. 현금은 지하 경제의 활성화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왜냐면 현금은 쉽게 훔칠 수 있고 더 보기

  • 2014년 3월 28일
    미국 패스트패션을 이끄는 LA의 한국계 이민자들 이야기

    지금 전 세계에서는 2주에 한 번씩 매장 디스플레이가 바뀌는 이른바 ‘패스트패션’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파리 패션쇼에서 히트친 옷이 한 달만 지나면 저렴한 가격에 팔려나가죠. 그렇다면 패스트패션은 어떻게 시작했을까요? 스페인 기업 ‘자라’의 프로세스 혁신을 거론하는 사람도 있지만 의류산업은 인터넷산업처럼 하루 아침의 혁신으로 탄생할 수 있는 산업이 아닙니다. 디자인, 제조, 유통 등 수많은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죠. 제가 찾은 대답은 이 곳, “또감사 교회”입니다. 또감사 교회는 L.A에 있는 대형 한인 교회로, 포에버 21을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