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eyesopen1
  • 2015년 1월 28일. 2014 올해의 단어에 해시태그가 등장했습니다

    매년 유명 영어사전 출판사와 미국방언학회는 올해의 단어를 선정합니다. 하지만 한 해의 시대정신을 대변할 만한 단어가 언제나 딱 떨어지는 것은 아니어서, 2014년의 선택도 제각각이었죠. 우선 옥스포드가 꼽은 단어는 “전자담배를 피우다”라는 뜻의 동사 “vape”였습니다. 실제 신조어이자, 그 해 급부상한 단어가 선정된 드문 경우입니다. 신조어가 만들어진 것은 전자담배는 실제로 담뱃잎을 태우지 않으니 “담배 피우다”를 의미하는 기존의 동사(smoke)와 함께 쓸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2014년에는 전자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논란이 이어졌기 때문에, 올해의 단어에 등극할 더 보기

  • 2015년 1월 27일. 미국 대선, 문제는 좋은 슬로건 찾기야

    미국 대통령 선거의 역사에서 슬로건은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2016년 대선을 앞두고 미국 정치사에 길이 남은 슬로건들을 살펴봤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월 23일. 사우디 블로거를 대신해 매를 맞겠다고 나선 사람들

    미국 유수의 대학에 소속되어있는 지식인들이 태형을 선고받고 수감된 블로거를 대신해 100대씩을 맞겠다고 나섰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월 22일. 상사가 나눠준 기독교 서적, 부적절한 리더십인가 표현의 자유인가

    이브가 뱀의 유혹에 곧장 넘어가는 대신 “남편에게 한 번 물어볼게요”하고 말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생각해 보신 적이 있나요? 남편과 상의했다면 뱀에게 속아넘어가진 않았을텐데, 하고 생각한 적이 있다면 애틀란타 시의 전 소방청장 캘빈 코크란과 코드가 맞는 분일 겁니다. 코크란은 2013년에 이런 내용이 담긴 책 “네가 알몸인 것을 누가 말해 주었느냐?(Who Told You That You Were Naked?)”를 집필하고 자비로 출판했습니다. 보수적 기독교 시각이 담긴 이 책은 “부정(uncleanness)”의 정의로 “소도미, 남색, 동성애, 수간 등 더 보기

  • 2015년 1월 21일. 지역의 공공서비스 유지를 위해 아기를 낳는다?

    당신이라면 사는 동네에서 공공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편의를 누리기 위해 아이를 낳을 수 있습니까? 최근 덴마크의 한 지역이 학교와 어린이집, 여가 시설 등을 계속해서 운영하는 조건으로 출산률 상승을 내걸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시골 마을이 이례적인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가 개인의 성생활에 간섭한 것은 역사상 새로운 일이 아닙니다. 1,2차 대전 직후에도 세계 각 국은 인구수를 늘이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와 징벌적 조치들을 도입했습니다. 임신 중절을 더 보기

  • 2015년 1월 20일. 5세 어린이가 이해하는 마틴 루터 킹과 인종주의란?

    워싱턴DC의 존 이튼 초등학교는 아주 특수한 곳입니다. 도시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각 지역의 학생들을 받아들여, 시내 어떤 학교보다도 인종, 경제적으로 다양성을 자랑하고 있죠. 이곳에서 25년째 유아 과정을 가르치고 있는 캐롤린 반하트 선생님은 학교의 모습이 전혀 달랐던 시절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저는 마틴 루터 킹의 시절을 경험한 세대입니다. 백인 전용 식수대, 버스 정류장의 흑인 구역도 기억나고요, 학교도 백인들과 함께 다니지 못했죠. 로자 파크스 사건이 있었을 때 6살이었으니까, 민권 운동의 초기를 더 보기

  • 2015년 1월 16일. (작성중) The problem with being ‘badass’

    http://www.theguardian.com/lifeandstyle/2015/dec/07/problem-being-badass-feminism-women-behave-like-men

  • 2015년 1월 16일. [톰행크스 기고문] 오늘의 나를 만든 커뮤니티 칼리지

    오바마 대통령이 무료 2년제 커뮤니티 칼리지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후, 커뮤니티 칼리지 졸업생인 배우 톰 행크스가 이를 지지하는 글을 뉴욕타임즈에 기고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월 15일. 파리에 모인 세계 지도자들의 언행 불일치

    세계 각 국의 지도자들이 샤를리 엡도 공격을 규탄했고, 몇몇은 파리에서 열린 집회에 직접 참여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이 실제로 자국에서도 언론의 자유를 수호하고 테러에 강력대응하는지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1월 14일. 이슬람 율법과 언론의 자유는 사이좋게 공존할 수 없을까?

    언론의 자유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리버럴한 현대인이 동시에 전통적인 이슬람교인으로 살아갈 수는 없는 것일까요?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것이 꼭 샤를리 엡도 사건 때문만은 아닙니다. 바로 지난주에만해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블로그에 불경스러운 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태형 1000대와 10년 징역형을 선고받은 블로거에 대한 첫 집행이 이뤄졌으니까요.
    더 보기

  • 2015년 1월 13일. 샤를리 엡도 관련 기사에서 문제의 만화를 구경하기 어려운 이유는?

    샤를리 엡도 공격이 연일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지만, 해당 만화를 직접 본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보기

  • 2015년 1월 9일. 이슬람교에도 마틴 루터식 종교 개혁이 가능할까

    마틴 루터식의 종교 개혁이 이슬람교에서도 가능할까요? "이슬람교의 마틴 루터론"이 갖는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