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3월 29일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 “동성결혼을 지지하지 않는다면 주식을 팔아도 좋아요.”

    지난 수요일 스타벅스의 연례 주주총회에서 스타벅스 회장 하워드 슐츠의 적극적인 동성결혼 지지가 소비자들을 떠나게 만들었다는 불만이 제기됐습니다. 작년 스타벅스가 워싱턴의 동성결혼 법안 추진에 지지를 선언한 이후 반대 업체 NOM(National Organization for Marriage) 등에서 스타벅스 불매운동을 시작했고, 한 분기가 지난 지금 매출이 줄었다는 겁니다. 그러나 하워드 슐츠는 한 발자국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경제적인 동기에서 시작한 결정이 아닙니다. 우리는 작년 주주들에게 38% 이윤을 돌려줬고, 이는 어떤 기업도 기록하지 못한 실적입니다. 동성결혼 지지는 20만 더 보기

  • 2013년 3월 29일
    바이오 시밀러가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을까요?

    1984년 해치-왁스만 법안(Hatch-Waxman Act) 이후로 복제 약품 사용이 늘어나면서 의료비용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복제 약품은 신약을 개발하는 것과 달리 임상시험이 필요 없는 등 제품 인증기간이 매우 짧아 개발비가 적게 들고 이 때문에 가격을 낮게 책정할 수 있습니다. 2011년에는 전체 처방약 중 약 80%가 복제 약품이었고 이를 통해서 미국에서만 약 210조 원($193 billions)의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 복제 약품이 시장에 출시되면 약값이 30%가량 인하되고, 추가적인 복제 약품들이 출시되면 그 인하 더 보기

  • 2013년 3월 29일
    브라질리언 왁싱은 성병의 가능성을 높입니다

    브라질리언 왁싱 및 다른 제모방법들을 택한 사람에게 특정 피부병이 더 잘 옮겨질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Molluscum contagioum 이라는 피부병은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주로 아이들에게 발견되는 병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프랑스 니체에서는 성행위를 통해 이 병이 퍼지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니체의 한 병원은 지난 2년간 성행위를 통해 이 병이 전염된 30명 중 93%가 어떤 형태로든 성기제모를 하고 있었으며, 그 중 10명은 또다른 박테리아에 의한 성병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아직 우리는 상관관계만을 보고 더 보기

  • 2013년 3월 29일
    고대 로마의 예술작품에 빠져있는 것

    베수비오 화산에 의해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이 덮인 것은 기원후 79년의 일입니다. 그리고 폼페이가 발굴되기 시작한 18세기 부터 당시의 생활과 문화는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발굴된 많은 예술작품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었고, 곧 런던 대영박물관의 깊숙한 곳에 감추어졌습니다. 이 작품들은 21세기가 되어서야 사람들에게 공개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낀 이유는 그것들이 너무나 야했기 때문입니다.” 런던 대영박물관에서 열리는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에서의 삶과 죽음”전에서 성(sex)은 가장 중요한 주제입니다. 폼페이의 별장과 매음굴은 에로틱한 그림, 조각과 도구들로 가득차 있었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영국 주요 일간지들의 온라인 유료화 전략

    영국 최대의 일간지 <더 선>의 온라인판이 2013년 하반기부터 유료화될 예정입니다. <더 선> 온라인판의 독자는 월 3천만 명 수준으로, 종이신문 발행 부수인 240만의 10배 이상입니다. 또 다른 대형 일간지 <데일리 텔레그래프> 역시 영국의 종합 일간지로서는 처음으로 계량 방식 유료화(metered paywall)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 시스템에 따라 독자들은 <데일리 텔레그래프> 웹사이트 기사를 월 20편까지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그 이상 보려면 월 1.99파운드(약 3,400원)를 내야 합니다.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일간지와 주말판 <선데이 텔레그래프>의 모든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스리랑카의 난데없는 선군정치

    스리랑카에서는 교육, 경제 활동을 비롯해 사회 전체가 점차 군대의 손아귀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2009년, 수십 년에 걸친 타밀 반군과의 내전을 무력으로 진압한 스리랑카 군부는 정권의 비호 아래 온갖 사업에 손을 대기 시작했습니다. 육군은 수도 콜롬보를 비롯한 도시 곳곳에 공원과 도로, 다리를 짓는 건설사업을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 농장에서 기른 채소를 팔아 이윤을 남기기도 하고 호텔 체인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군은 이에 뒤질세라 바닷가에 휴양지를 지어 운영하고 운하 건설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공군은 헬리콥터를 활용한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의사표현, 효과가 있을까?

      며칠 전부터 이렇게 생긴 문양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대문사진, 블로그를 통해 보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미국 최대의 동성애 지지단체인 휴먼라이츠캠페인(HRC)는 미국 대법원이 동성결혼 문제에 관한 공청회를 여는 시기에 맞춰 동성애자들이 차별 받지 않고 기본적인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보여달라며 이 로고를 가능한 한 많이 유포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수천, 수만 명이 저 로고를 채택했고, 미국 온라인 매체인 허핑턴포스트는 아예 자신들의 로고에 성적 소수자를 상징하는 무지개색을 집어넣어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여러분이 페이스북에서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CNN 앤더슨 쿠퍼, NBC로 옮기나?

    이달 초 미국 NBC 방송국의 경영진은 CNN의 간판 앵커 앤더슨 쿠퍼(Anderson Cooper)에게 NBC의 아침 뉴스인 투데이쇼(Today Show) 앵커를 맡을 의향이 있는지 물었습니다. NBC는 최근 시청률 하락으로 고전하고 있는 아침 뉴스쇼의 메인 앵커 맷 라우어(Matt Lauer)를 교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6년간 1위 자리를 유지하던 투데이쇼는 지난해 동시간대 ABC 방송의 뉴스쇼에 1위 자리를 내 주었습니다. NBC 경영진 중에서 누가 쿠퍼에게 전화를 했고 쿠퍼가 어떤 대답을 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앵커를 물색하고 있는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도요타, 엔 약세로 큰 이득 봐

    지난해 10월 31일 이후 엔화의 달러 대비 가치는 16%나 하락했습니다. 이는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의 자동차 생산 기업들에는 큰 호재입니다. 모건스탠리는 엔화 약세가 차 한 대당 1,500달러의 추가 이윤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고 미국 자동차 업계는 도요타가 차 한 대당  5,700달러 이윤을 더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도요타는 지난해 4월 1일부터 1년 동안 발생한 이윤의 예상치를 최근 10% 올려 90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2011년 일본 대지진과 리콜 사태 이후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기술의 발전은 빈곤을 퇴치할 수 있을 것인가

    기술의 발전이 전세계 빈곤을 퇴치할 것이라는 믿음에는 회의적인 반응이 많습니다. 버클리의 연구자 켄타로 토야먀는 최근 ICT4D(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nology for Development) 대신 ICT4D jester (ICT for disaster) 라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아프리카의 교실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는 컴퓨터나, 가축의 상태를 문자로 보내주는 시스템의 무용성을 비판하는 것이죠. BRAC은 그래서 이른바 low-tech,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확산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에 집중합니다. 예를 들어, 500원도 안되는 출산 보조 상자 보급은 건강상태를 체크해주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보다 훨씬 크고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페이스북 ‘좋아요’가 많으면 좋은 병원일까요?

    뉴욕에 있는 의료 혁신 및 기술 연구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페이스북의 ‘좋아요(like)’ 수가 많은 것이 병원의 환자 사망률이 낮은 것과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이 조사는 뉴욕 지역의 40개 병원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좋아요’ 숫자가 환자의 만족도와 병원의 우수함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30일 이내에 심장마비에 의한 사망률을 1%의 낮추는 것이 페이스북의 ‘좋아요’를 93개 더 얻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환자가 병원을 추천하는 것과 ‘좋아요’ 수도 연관관계가 약하기는 하지만 더 보기

  • 2013년 3월 28일
    운동에 적합한 음악

    운동을 할 때 듣기 좋은 음악은 다음 기준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박자: 많은 사람들이 빠른 곡을 선호합니다. 120-145 bpm을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songbpm.com 이나 google을 통해 노래의 박자를 알 수 있습니다.  리듬: 당신을 일어나서 움직이게 하는 곡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강한 비트를 가진 곡들이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익숙함, 문화적 연관성: 당신이 늘 좋아하던 곡이나 현재 유행하는 곡도 좋은 선택입니다. 특히 운동을 찬양하는 내용이나 역경을 극복하는 내용을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