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4월 15일
수면 부족이 비만을 유발한다는 사실은 이미 많은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 검증되었습니다. 수면 부족이 흔히 공복 호르몬(hunger hormone)이라고 불리는 그렐린(Ghrelin)의 분비를 촉진시켜 식욕을 왕성하게 만들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여기에 한 가지 사실을 더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수면의 양 뿐만 아니라 기상 시간까지 체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요. 지난주 풀로스원(PLos one)에 게재된 한 편의 논문은 수면 시간이 체중의 증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고했습니다. 연구진은 성인 54명을 대상으로 식생활과 수면 패턴, 빛에 대한 → 더 보기
-
2014년 4월 15일
말레이시아 여객기 MH370 이 사라진지 13일째 되었던 날, 미국의 텔레비전 생존전문가 EJ “스컬크러셔” 스나이더는 CNN에 나와 우리는 절대 희망을 버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진행자가 그에게 왜 가족들이 희망을 가져야 하는지 묻자 그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 우리는 절대 희망을 포기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스나이더의 직업은 맨손으로 거친 자연과의 사투를 벌이는 것입니다. 그를 도와주는 것은 자신의 지혜와 디스커버리 채널의 제작진밖에 없습니다. 그는 승객들이 살아있을지 모른다고 말하며, “희망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 더 보기
-
2014년 4월 14일
-지난주 국내 언론에서 간략하게 소개된 미국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APARC)의 신기욱 소장과 대니얼 스나이더 부소장의 포린어페어스지 칼럼의 확장 요약본입니다. 최근 2차대전 당시의 역사 문제를 둘러싸고 동아시아의 분위기가 악화되면서, 역내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 사이는 멀어지고 중국과 미국의 라이벌 관계는 격화되고 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작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예고 없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일이었습니다. 주변국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뻔히 알면서 강행한 일인데다가,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과 만나 도발적인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한지 수주 만이어서 → 더 보기
-
2014년 4월 14일
옮긴이: 미국 최대의 공적 연금인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California Public Employees’ Retirement System, CalPERS)은 그 규모만으로도 늘 세간의 주목을 끌어 왔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이 좋은 점은 본보기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며 국내 언론에 종종 소개되기도 합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사설을 통해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 공단의 최근 발표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연금 운용의 비효율성을 지적했습니다. “공무원 연금이 캘리포니아 주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입니다. 일자리 창출의 일등 공신이기도 합니다.” 이런 자신감 넘치는 연금 공단의 주장에 고개를 → 더 보기
-
2014년 4월 14일
하버드 대학의 크리스토퍼 젠크스(Christopher Jencks) 교수는 오랫동안 소득 불평등을 연구해 온 학자입니다. 하지만 그는 최근 지난 10년간 공들여 온 프로젝트를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프로젝트는 소득 불평등이 국민들의 건강이나 경제적 기회, 정치, 그리고 범죄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였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는 말합니다. “책의 6개 혹은 7개 챕터의 결론이 모두 ‘정확히 소득 불평등의 결과를 알기 어렵다’라고 쓴 것을 발견했죠.” 미국에서 소득 불평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그리고 역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 더 보기
-
2014년 4월 14일
지난 8일 옥스포드에서 열린 스콜세계포럼(Skoll World Forum)에는 매년 사회적 기업(Social Entrepreneurship) 전문가들이 모입니다.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인 이곳에서 사회적 진보지수(SPI: Social Progress Index)를 개발했습니다. 이 지수는 작년 베타 버전을 개선해 정식으로 발표한 것으로 54개 지표를 기준으로 132개국의 삶의 질을 진단합니다. 각 국가의 경제수준이 평가 과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소비 수준 등 투입 가치(input)가 아니라 문맹률 등 산출물(output)에 기반해 지표를 산정하는 점이 특징이죠 . 그러나 계산 과정에서 경제적 → 더 보기
-
2014년 4월 14일
훌륭한 연설이란 무엇일까요? 전세계인들로부터 널리 사랑받는 강연 프로그램인 테드(TED)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훌륭한 연설은 적어도 다음 세가지 특징을 지닌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1. 감정을 설득의 도구로 사용한다. 브라이언 스티븐슨(Bryan Stevenson)의 우리는 불의에 대해 얘기할 필요가 있다는 테드 역사상 가장 오랜 시간 동안 기립박수를 받은 강의입니다. 시민권 변호사로서의 그의 경험담은 많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데 성공했습니다. 스티븐슨은 이 연설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감성적인 호소에 사용했습니다. 설득력과 탄탄한 논리구성을 동일시하는 기존 관념과는 사뭇 다른 접근 → 더 보기
-
2014년 4월 14일
1913년 4월 18일은 월요일이었습니다. 당신은 몬테 카를로의 르 그랑데 카지노에서 멋진 정장을 입고 유리잔에 담긴 샴페인을 맛보고 있습니다. 당신은 룰렛 테이블에서 들리는 환호성을 듣고, 그리로 향합니다. 그리고 당신은 방금까지 스무 번 연속 블랙이 나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는 동전이 20번 연속 앞면이 나올 확률보다 좀 더 작은 값입니다.) 당신은 흥미를 가지고 룰렛을 바라봅니다. 이번에도 블랙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다시, 또 다시, 또 다시 블랙이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모두 스물 네번 블랙이 나온 → 더 보기
-
2014년 4월 11일
이제 한국에서는 북한 접경 산악지대를 뒤지고 다니면 쏠쏠한 수입이 생길지도 모릅니다. 지난 몇 주간에 걸쳐 북한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 석 대가 발견되자, 한국 군 당국이 적의 무인기를 찾아오면 보상하겠다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비록 그 모양은 취미생활용 모형 비행기같지만 이 무인기들은 상당한 패닉을 초래했습니다. 특히 군 레이더망이 무인기의 침입을 포착하지 못했고 청와대 상공에서까지 사진을 촬영했다는 사실을 한국 정부는 상당히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죠. 일부 전쟁광들은 이번 무인기 침투를 1968년 북한 무장 공비에 의한 → 더 보기
-
2014년 4월 11일
매년 유엔(U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기후변화에 관한 심각성을 경고하는 보고서를 발간할 즈음에 맞춰 언론의 주목을 받으려 안간힘을 쓰는 단체가 하나 있습니다. 하트랜드 인스티튜트(Heartland Institute). 과학자들이 모여 연구를 하는 연구소라고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이 기관이 말하는 과학은 사이비 과학이라고 폄하합니다. 하트랜드 인스티튜트를 운영하는 자금을 대는 이들은 억만장자 코크(Koch) 형제를 비롯해 티파티, 공화당 강경파 의원, 보수주의자들을 지원하는 이들로 알려졌습니다. 얼마 전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정도가 더욱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경고한 유엔의 보고서가 → 더 보기
-
2014년 4월 11일
사람들은 자신과 반대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끌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한 연구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6%는 자신과 닮은 사람보다 자신을 보완해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나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믿음이나 대답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사실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온라인 데이팅 웹사이트 이하모니(eHarmony)에서 이뤄진 데이트 자료 백만 건을 분석해 본 결과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과 훨씬 더 자주 데이트를 했습니다. 이하모니에 등록을 하려면 102가지 질문에 답을 해야 합니다. 이 질문을 → 더 보기
-
2014년 4월 11일
우리는 다른 이의 거짓말을 그의 행동으로 눈치챌 수 있을까요? 미국 운수 보안국(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은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의 표정이나 행동으로부터 테러리스트를 식별하는 수천명의 “행동탐지요원(behavior detection officer)”을 양성하는 데 1조원의 돈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비판자들은 이들의 이런 노력이 매년 수 만 명의 여행객에게 불편만을 줄 뿐, 한 명의 테러리스트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주장합니다. 곧, 운수보안국 역시 우리가 흔히 빠지는 오류인, 다른 이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그들이 거짓말을 하는지를 알 수 있다는 믿음에 빠졌다는 것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