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7월 14일
    볼? 스트라이크? 투수가 올스타전에 선발된 적이 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콜럼비아 대학의 제리 킴(Jerry W. Kim) 교수와 노스웨스턴 대학의 브래이든 킹(Brayden G. King) 교수는 야구 심판들이 올스타전에 선발된 경험이 있는 투수에게 더 호의적인 판정을 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모든 메이저리그 경기장에는 투구 측정 장치(the Pitch f/x system)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장비는 모든 투구 기록을 저장합니다. 이 장비를 통해 심판의 판정이 정확했는지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2008년과 2009년 시즌 치러진 4,914 경기에서 발생한 총 756,848회의 투구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어떤 심판들은 다른 심판들에 비해 더 보기

  • 2014년 7월 14일
    우크라이나 사태, 이라크 내전, 중국 분쟁의 공통점

    요즘 뉴스를 보노라면 우크라이나 사태, 이라크 내전, 남중국해 분쟁 관련 기사가 국제면을 뒤덮고 있습니다. 이 세 이슈는 언뜻 연관성이 없어 보입니다만, 혹시 공통점은 없을까요? 미국 바드칼리지의 월터 러셀 미드 교수는 최근 <포린 어페어>에 기고한 글 ‘지정학의 귀환’에서 위의 세 사건에 공통점이 있다고 말합니다. 미국 중심 국제 질서에 대한 도전입니다. 소련 붕괴 이후 자리 잡은 세계 질서엔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경제 체제 세계화, 다자간 기구의 등장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특징으로 더 보기

  • 2014년 7월 14일
    [데이빗 브룩스 칼럼] 삶은 야구일까, 축구일까?

    삶은 야구일까요, 축구일까요? 야구는 팀 스포츠라고 하지만 사실 마운드에 선 투수와 타석에 선 타자의 대결은 전형적인 1:1 싸움입니다. 개인의 성취를 더해 가장 많은 점수를 기록한 팀이 이기죠. 그에 비해 축구는 페널티킥 외에는 개인 활동이 거의 없습니다. 축구는 공간을 차지하고 호령하는 쪽이 이기는 게임입니다. 팀이 제대로 대형을 이루고 있을 때, 그리고 그 대형이 유기적으로 흐트러짐 없이 움직일 때 선수는 패스할 수 있는 서너 가지 옵션을 갖고 경기를 할 수 있게 되죠. 더 보기

  • 2014년 7월 14일
    붉은 옷의 효과

    서양 문화에서 붉은색은 연애와 사랑을 상징합니다. 발렌타인데이의 하트, 립스틱, 그리고 홍등가(red-light districts)의 조명이 붉은색을 띱니다. 심리학자들은 여성의 의도와 무관하게 남성은 여성의 붉은 옷에 반응한다고 말합니다. 지난 11일, “인격과 사회심리학(Journ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지에는 여성 역시 자신의 남자친구가 붉은 옷을 입은 여성과 덜 가까이 지내기를 바란다는 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남자들이 붉은 옷을 입은 여성을 더 매력적으로 느낀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붉은 옷을 입은 여성과 데이트할 때 더 많은 돈을 쓰며, 더 보기

  • 2014년 7월 11일
    자신을 사회주의자라고 부르는 미국 상원의원, 인기 비결은?

    미국 상원이 참전용사들을 위한 의료보험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입법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를 주도하고 있는 한 인물이 눈에 띕니다. 바로 버몬트 주의 무소속 상원의원인 버니 샌더스(Bernie Sanders)입니다. 1970년대에 버몬트 주 지방 선거에 처음 출마했을 때 고작 2%의 표를 얻은 그가 이제는 2016년 대선주자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을 사회주의자라고 소개하는 미국 유일의 상원의원입니다. 뉴욕 브루클린에서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낸 샌더스는 빈부격차라는 사회 문제가 자신의 DNA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고 말합니다. 버몬트 주 벌링턴의 더 보기

  • 2014년 7월 11일
    (WSJ) 1차 세계대전의 유산 (5)

    옮긴이: 올해는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아직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1차 세계대전의 유산을 꼽아 정리했습니다. 무기나 전쟁사에 관련된 유산뿐 아니라 세계 질서와 경제 동향, 그리고 우리 삶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들로 20세기 세계사를 관통하는 인물, 사건들이 망라돼 있습니다. 원문의 인포그래픽은 월스트리트저널이 매긴 중요한 순서에 따라 정리돼 있습니다. 오늘은 이 가운데 무기와 관련된 유산을 정리해 소개드립니다. * 잠수함(Submarines) 1차 세계대전은 잠수함이 처음으로 큰 역할을 한 더 보기

  • 2014년 7월 11일
    (WSJ) 1차 세계대전의 유산 (4)

    옮긴이: 올해는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아직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1차 세계대전의 유산을 꼽아 정리했습니다. 무기나 전쟁사에 관련된 유산뿐 아니라 세계 질서와 경제 동향, 그리고 우리 삶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들로 20세기 세계사를 관통하는 인물, 사건들이 망라돼 있습니다. 원문의 인포그래픽은 월스트리트저널이 매긴 중요한 순서에 따라 정리돼 있습니다. 오늘은 이 가운데 무기와 관련된 유산을 정리해 소개해 드립니다. * 탱크(Tanks) 오늘날 육군 전력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더 보기

  • 2014년 7월 11일
    실업이 불법인 나라 스발바르(Svalbard) 제도

    노르웨이령 최북단에 위치한 스발바르(Svalbard) 제도에서는 실업이 불법입니다. 실직자와 은퇴자들은 재고용에 대한 사실을 소명하지 않는 이상 이 제도에 더는 합법적으로 거주할 수 없습니다. 거주민이 되기 위한 유일한 조건이 바로 ‘고용’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독특한 규율 탓인지, 기초생활수당, 은퇴수당과 같은 사회보장 시스템 또한 스발바르 제도에서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정부는 그저 몇몇 학교와 병원, 광산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을 뿐입니다. 결과는 꽤 흥미롭습니다. 지구 상에서는 유일무이하게 범죄율이 0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죠. 부주의한 운전이나 쓰레기를 무단 더 보기

  • 2014년 7월 11일
    음식 주문에 있어서 일행의 영향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할 때 같은 일행은 비슷한 음식을 주문한다는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음식의 질과 선호(Food Quality and Preference)”지 10월호에 실릴 예정인 이 연구에서 일리노이 어바나 샴페인 대학(UIUC)의 연구진은 오클라호마 한 식당의 19주 동안의 영수증 1,459건을 분석했습니다. 이 식당에는 8개의 카테고리(수프/샐러드, 버거/샌드위치, 정식(combo meals), 파스타, 채식 메뉴, 중급 스테이크, 고급 스테이크, 오늘의 음식)에 속한 51개의 메뉴가 있었습니다. 영수증을 분석한 결과, 사람들은 같은 일행이 주문한 바로 그 음식을 주문하지는 않았지만, 같은 카테고리 더 보기

  • 2014년 7월 10일
    미국의 이민 문제, 해결이 어려운 까닭은?

    현재 미국에는 1100만에서 1200만에 달하는 불법 이민자들이 살고 있습니다. 그 중 다수가 라티노로, 미국에서 가정을 꾸리고 일을 하며 재산을 소유한 채 살아온지 오래라 떠나온 모국보다 미국을 훨씬 가깝게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죠. 부시 대통령 당시에도 이들의 지위를 합법화하기 위한 법 제정이 시도되었으나 무산되었고, 오바마 정부 들어와서도 좀처럼 입법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마침내 대통령이 화를 내며, 대통령권을 사용해서라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미국에서 불법 이민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2012년 미트 롬니가 더 보기

  • 2014년 7월 10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는 서방 언론

    옮긴이: 이스라엘 군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보복공격의 수위를 연일 높여가고 있습니다. 양측의 분쟁과 갈등은 힘이 엇비슷한 세력 사이의 충돌이라기보다는 한쪽의 일방적인 공격이라는 걸 각종 수치와 역사가 말해주고 있지만,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서방 언론들은 ‘균형 보도’라는 이름 하에 계속해 온 이스라엘 편들기를 이번에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관해 오웬 존스(Owen Jones)가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쓴 칼럼을 소개합니다. “우리(이스라엘)에게 날라오는 하마스의 로켓은 정확도도 한참 부족한 고물입니다. 우리에겐 대피소와 잘 정비된 더 보기

  • 2014년 7월 10일
    미국 금융 분야의 회전문 인사, 얼마나 되나?

    2008년 발생한 금융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것이 바로 느슨한 은행 규제입니다. 특히 많은 사람이 은행을 규제해야 할 금융 규제 당국이 공직에서 물러난 뒤 회전문 인사로 금융권에 일자리를 잡을 것을 고려해 제대로 금융 분야를 규제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해 왔습니다. 이 논문은 데이터를 통해서 실제로 은행 규제 당국과 사기업 은행 사이에 얼마만큼의 회전문 인사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이 논문에서 활용된 데이터는 지난 25년간 미국 연방금융 당국인 금융 감독 위원회(SEC)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