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4월 15일
뇌와 신체에 모두 존재하는 옥시토신의 양은 사랑과 관계된 행위가 있을 때 크게 증가합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이 옥시토신이 일상의 작은 행동들에 의해서도 조금씩 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4일
힐러리 클린턴이 공인으로 살아온 시절 동안 이른바 ‘젠더 카드’는 그녀에게 불리하게만 작용해 왔습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하기도 전에 그녀의 도전을 그저 “백악관에 여주인 앉히기”로 폄하하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고, “결국은 젠더 카드를 휘두를 것”이라는 비아냥도 들려옵니다. 저는 오히려 이번에야말로 클린턴이 보란듯이 젠더 카드를 제대로 활용했으면 합니다. 수 십 년 만에 페미니즘의 인기가 가장 높아진 이 역사적인 기회를 클린턴은 자신에게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또 그래야 합니다. 이미 그녀는 할머니로서의 정체성을 부각하고, 여권 → 더 보기
-
2015년 4월 14일
반 이민주의, 반 유대인, 인종차별주의를 맹신하며 극우정당 국민전선을 이끌어온 장마리 르펜, 그 국민전선을 물려받아 극단주의 색채를 지우고 대중정당으로 거듭나려는 장마리 르펜의 딸 마린 르펜. 둘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첨예한 갈등 과정을 뉴욕타임즈 파리특파원을 지냈던 앨런 라이딩(Alan Riding)이 칼럼으로 정리했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4일
금융 분야의 직업은 금전적 보상과 같이 사적인 혜택은 크지만 오늘날 금융 시장의 구조상 사회적 부를 창출하기보다는 지대추구 행위를 하도록 만듭니다. 하버드대학 경제학과의 뮬레이네이썬 교수는 많은 재능있는 학생들이 금융 분야의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전체 사회적인 관점에서 재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4일
Love 2.0 의 저자 바바라 프레데릭슨은 사랑이란 다른 이와의 순간적인, 긍정적인, 연결의 감정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 감정은 우리의 신체와 정신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킵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3일
"예루살렘의 아이히만"과 "인간의 조건"으로 잘 알려진 학자 한나 아렌트에게 우정이란, 단순한 관계를 넘어 삶을 삶답게 지탱하는 안전지대이자 파시즘에 저항하는 수단이었습니다. 존 닉슨의 최근 저서 "한나 아렌트와 우정의 정치학"에서 저자는 아렌트가 일생토록 맺었던 다양한 관계에 대해 조망함으로써 우정이 삶에서 무엇일 수 있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이야기합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3일
1997~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IMF는 서구식 처방을 내렸습니다. 아시아 특유의 대기업 체제가 주주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는 서구식 자본주의 체제로 변화해야 한다고요. 그러나 십수년이 지난 지금, 아시아의 재벌들은 더욱 번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이 정말 전통적인 재벌일까요? 이코노미스트 지는 보이는 것과 달리 아시아 재벌과 서구식 경영 체제가 합쳐진 모델이 될 것이라고 진단합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3일
미국에서의 중산층은 소유한 것이 무엇인지가 아니라 어떻게 자신을 느끼느냐의 문제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4월 13일
둘 중 어떤 사진이 진짜 웃음일까요? → 더 보기
-
2015년 4월 11일
[뉴요커] 아마존의 대쉬 버튼이 내게 연상시키는 악몽 뉴요커지의 4월 2일 컬처럴 데스크 칼럼에는 아마존의 대쉬버튼에 대한 작은 우려가 실렸습니다. 아마존의 대쉬 버튼은 세탁기나 종이타월같이 많이 사용하는 가정용품을 버튼 하나로 주문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제품입니다. 4월 1일 이 제품이 발표된 탓에 어떤 이들은 그저 이 제품을 아마존의 농담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아니었죠. 이 제품은 비효율이 악으로 취급받는 오늘날의 세상에서 매우 적절한 신제품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끊임없는 소비를 조장하고 소비의 순간에 우리 → 더 보기
-
2015년 4월 11일
창의력을 기르고 싶다면 여행을 떠나세요 지난달 31일 애틀란틱(The Atlantic)은 최근 발표된 신경과학, 심리학 연구를 한데 모아 낯선 환경과 마주하게 되는 여행이 평소에는 잘 쓰지 않던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해 활성화시키고, 신경가소성을 촉진시켜 창의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냥 여행을 떠나기만 한다고 해서 창의력이 길러지는 게 아니라 낯선 곳에 가서 그곳의 문화를 직접 겪어보고 현지인들과 부대끼며 소통하다 보면 그렇다는 겁니다. 나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이 스스로를 정확히 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반드시 → 더 보기
-
2015년 4월 11일
인도 어린이들은 왜 키가 작을까요? 지난달 미국 경제연구원(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이 발표한 연구 보고서 가운데 인도 어린이들이 특히 키가 작은 이유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전 세계에서 이른바 왜소 성장 증세를 보이는 어린이들은 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인도에 있는데, 이 두 지역의 어린이 17만 4천 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인도의 높은 남아선호사상이 키작은 어린이들을 양산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인도 어린이들이라고 다 키가 작지는 않았는데,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