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6월 3일
    사람을 대하는 게 익숙치 않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법

    감성지능이 낮은 이들과 함께 일하는 건 쉽지 않지만, 그들이 보여주는 특성을 이해하고 알맞게 대처함으로써 인간관계를 잘 이끌어갈 수 있습니다. 친절하고, 직설적으로 말하고, 이성적으로 대하고, 기분 상하지 않는 것이 주된 방법입니다. 또한 감성지능이 낮다고 하여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그들 중 많은 수가 지적으로 뛰어나고 전문적인 이들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3일
    디아블로 3 아이템 절도 사건

    온라인 세상에서 소유, 재산, 절도, 사기는 어떻게 정의되는 것일까요? 3년 전 디아블로3가 출시되고 고가의 아이템들이 현실에서 거래되기 시작하자, 두 명의 젊은이가 사람들의 아이템을 훔쳐 이득을 취했습니다. 이들은 장난으로 그 일을 시작했을지 모르지만, 블리자드는 이 사건을 검찰로 가져갔고, 이들은 결국 유죄판결을 받았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2일
    고학력 여성들이 과거보다 아이를 더 많이 낳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출산율이 전체적으로는 떨어지는 가운데서도, 교육 수준이 높은 여성들은 과거보다 아이를 더 많이 낳고 있습니다. 출산이 사치재가 되어가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2일
    법 위에 군림하는 국제축구연맹(FIFA), 블래터를 사퇴시킨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5선에 성공한 국제축구연맹(FIFA)의 블래터 회장을 두고 연일 보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어떠한 견제도 받지 않는 조직을 이끌며 어마어마한 규모의 비리와 부정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할 인물이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영어권 언론에서 특히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블래터 뿐 아니라 국제축구연맹 자체에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논조의 가디언 사설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2일
    일반 사람들은 소득 불평등 정도를 제대로 알고 있을까요?

    최근 발표된 경제학 논문은 일반 사람들이 경제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통계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가정이나 기준이 달라지면 "정답"도 달라지기 때문에 섣불리 사람들이 제대로 된 지식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2일
    위기의 순간, 모든 것이 슬로우모션으로 보일 때(2/2)

    임계융합속도(CFF)가 이 문제의 답일 수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2일
    위기의 순간, 모든 것이 슬로우모션으로 보일 때(1/2)

    위기 순간에 우리의 집중력은 극대화됩니다. 사람들은 종종 어떤 사건에서 시간이 느려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1일
    왜 남성들은 섹스 직후 심각한 졸린 증상을 느끼는 걸까

    남성들은 대체로 성관계 직후 심각한 졸린 증상을 경험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보기

  • 2015년 6월 1일
    시간강사가 겪는 어려움은 결국 학생들에게 전가됩니다

    이 글은 미국 대학에서 시간 강사들이 늘어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짚은 글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현실에 비추어 보아도 들어맞는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1일
    한국의 버려지는 아이들과 입양특례법

    한국의 해외 입양은 한국 전쟁 이후 지난 몇십 년간 전 세계에 유래 없는 큰 규모로 이루어졌습니다. 경제가 발전하고 해외 입양의 부작용이 불거지면서 그 규모를 줄이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은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2012년 제정된 입양특례법은 아이의 알 권리를 보장하려는 원취지와 달리 비현실적인 출생신고 강제로 국내 입양 숫자 감소라는 부작용을 낳았습니다. 버려지는 아이들의 90% 가 미혼모의 아이인 상황에서, 기록을 공개하는 절차가 사회적 압박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은 셈이지요. 한국의 입양 역사를 이코노미스트 지가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1일
    나탈리 포트만이 고백하는 “사기꾼 신드롬”

    우리 모두는 살면서 이따금씩, 그간 이룬 성과가 올바르게 얻어진 게 아니라는 생각에 빠집니다. 최고로 성공한 사람들은 절대 그런 사기꾼 같은 기분을 느끼지 않을 거라는 믿음도 (위와 같은)“사기꾼 신드롬(impostor syndrome)의 영향 중 일부죠. 글쎄, 만일 다음 번에 당신이 비슷한 기분을 느낀다면 나탈리 포트만의 하버드 졸업식 연설을 떠올리세요. 지난달 27일, 포트만은 “스타워즈: 에피소드 1”의 개봉에 이어 하버드에 입학한 후 얼마나 오래 자기의심에 맞서 싸워야 했는지 고백했습니다. “오늘 나는 1999년 하버드 신입생으로 이 자리에 더 보기

  • 2015년 6월 1일
    최면술을 현대 의학이 이용할 수 있을까요?

    최면술이 과연 정신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지, 정확히 무엇이 최면술인지를 두고 논란이 남아있긴 하지만, 의학계의 최면술에 대한 관심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프랑스 파리의 피에르마리 퀴리 대학에서 열린 최면술 시연 강의는 많은 언론과 의학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최면을 건 사람, 최면을 받은 사람, 이를 지켜본 백 여명의 청중 모두가 의사였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