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veritaholic
-
2022년 7월 29일. [필진 칼럼] 인간의 사춘기가 빨라지고 있다
진화론은 생명 현상을 생존과 번식의 두 관점으로 설명합니다. 곧 특정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특성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개체군 내에서 지배적인 특성이 됩니다. 이 가운데 더 중요한 것을 굳이 고르자면 바로 번식일 것입니다. 생존 역시 번식을 위해 필요한 것이고, 이는 번식 이후 심지어 자신을 영양분으로 제공하는 생명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로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생명체의 생애 주기 중 번식 가능한 시기에 변화가 생기는 것은 그들이 속한 생태계에 매우 큰 변화가 있음을 더 보기 -
2022년 7월 26일. [필진 칼럼] 탄수화물과 두통의 관계
우리가 체온을 유지하고 신체를 움직이려면 열량이라 불리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를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의 세 가지 형태로 섭취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배고픔을 없애고 비만을 더 큰 사회적 문제로 만든 이후 이 3대 에너지원 중 지방은 오랫동안 공공의 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점점 더 많은 발견과 설명을 통해 지방의 누명이 벗겨지고 있으며, 반대로 탄수화물이 가진 위험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곧 탄수화물 덩어리인 설탕이나 밀가루와 같은 정제된 곡물이 혈당 조절 시스템에 지나친 부하를 가하며, 그 결과 더 보기 -
2022년 7월 21일. [필진 칼럼] 로 대 웨이드와 과학적 사실들
로 대 웨이드(Roe v. Wade) 판결은 1973년 미국 대법원이 임신을 중단할 권리를 여성의 권리로 인정한 판례로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판결 중 하나일 것입니다. 임신중단권을 지지하는 이들을 여성의 결정을 우선한다는 의미에서 ‘pro-choice’로, 태아의 생존권을 지지하는 이들을 ‘pro-life’라 부릅니다. 제가 미국에 있던 2010년경에도 이 주제는 캠퍼스와 정치권에서 중요한 이슈였고, 2022년 임신중단권의 금지 여부를 (연방정부가 아닌) 주정부가 판단하게 하려는 대법원의 판결이 예상됨에 따라 다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과학자라면, 아니 이 문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더 보기 -
2022년 7월 18일. [필진 칼럼] 항우울제의 장기적 효과에 대한 의문
우리의 생각이 뇌 속 화학물질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됐습니다. 이는 세로토닌, 멜라토닌, 도파민 등 뇌 내 호르몬을 조절함으로써 우울한 기분을 없애주는, 곧 우울증 증상을 완화해주는 항우울제의 인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18세 이상 성인 8명 중 한 명이 우울증 약을 처방받은 적이 있다고 할 정도로 항우울제는 많이 처방됩니다. 하지만 대부분 약들은 8~12주 정도의 투약 기간을 기준으로 임상시험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 약을 몇 달에서 몇 년씩 투약할 때 어떤 더 보기 -
2022년 7월 13일. [필진 칼럼] 세상을 떠나는 다른 방식
탄생과 죽음은 한 인간에게 일어나는 가장 큰 사건이자 주변 사람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사건입니다. 그리고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중에서도 죽음은 인간이 어떻게 자연으로 돌아갈지를 우리가 선택한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한 사건입니다. 미국의 온라인 과학잡지 언다크는 지난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데스몬드 투투 주교가 자신의 장례 방법으로 선택해 널리 알려진 수분해장(수화장)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수분해장이란 시신을 화장하는 대신 강알칼리 용액에 넣고 열을 가해 녹이는 방법입니다. 대략 서너 시간 뒤에는 뼈를 제외한 부위가 모두 더 보기 -
2022년 7월 8일. [필진 칼럼] 무척추동물도 감정을 느낄까요?
인간의 삶은 모순으로 점철돼 있습니다. 말하는 것과 생각하는 것이 다르고, 어떤 일이 닥치기 전과 닥쳤을 때가 다릅니다. 자신의 입장에 따라 말이 달라지는 것은 애교로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 여러 모순 중에서 동물이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그 동물을 먹는 것은 인간이 가진 여러 모순 중에도 상당히 큰 모순일 것입니다. 지난 3월 24일, 저명한 영장류 학자인 프란스 드발과 철학자인 크리스틴 앤드류스는 사이언스에 인간과 유사한 포유류와 척추동물을 넘어, 곤충과 두족류, 더 보기 -
2022년 7월 5일. [필진 칼럼] 바닷속을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지난 몇 년 사이 기후변화만큼이나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미세먼지입니다. 최근 그 관심은 미세플라스틱으로 옮겨지고 있습니다. 물론 사람들의 관심과 연구비는 한정돼 있고, 따라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알리는 것은 오히려 권장해야 할 일입니다. 미세플라스틱은 미세먼지에 속하기는 하지만, 그 절대적 양은 (미세먼지의) 수천분의 일도 되지 않습니다. 미세먼지는 대체로 여러 이온과 같은 화학물질과 탄소 화합물, 중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반면 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의 플라스틱 조각을 말하며, 우리가 흔히 쓰는 플라스틱 용기의 조각 더 보기 -
2022년 6월 29일. [필진 칼럼] 코로나 시대 넛지의 한계
1970년대 심리학자 다니엘 카네만은 아모스 트버스키와 같이 인간의 행동을 연구합니다. 카네만은 이 연구로 2002년 심리학자로는 최초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습니다. 연구를 경제학에 적용한 행동경제학은 학문의 현실적 적용이란 점에서 21세기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일 것입니다. 그리고 팔꿈치로 쿡 찌르는 행동을 뜻하는 넛지(nudge)는 그 결정판입니다. 경제학자 리처드 세일러와 법학자 캐스 선스타인은 2008년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가된 “넛지”를 출판했고 선스타인은 2009년 백악관의 부름을 받아 미국 정부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6년 후 당시 대통령이었던 바락 오바마는 정부 정책에 더 보기 -
2022년 6월 22일. [필진 칼럼] 인간만이 기하학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인간과 다른 동물의 차이는 영원한 떡밥일 것입니다. 아니, 사실 이 문제가 떡밥이 된 것 자체가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인류가 문명을 이룩한 뒤 지난 수천 년 동안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 문화에서 인간과 동물은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인류가 여기에 의문을 던지게 된 된 것은 겨우 150년 전입니다. 찰스 다윈은 진화론을 통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의 조상이 하나라는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150년은 그 이론이 얼마나 더 보기 -
2022년 6월 17일. [필진 칼럼] 가상화폐의 중립성이란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3월 18일에 쓴 글입니다. 21세기에 사람들을 한껏 들뜨게 했고, 또 한숨 짓게 만든 단어들을 꼽는다면 비트코인은 반드시 한 자리를 차지할 것입니다. 장류진의 장편소설 “달까지 가자”에는 가상화폐를 통해 꿈꾸던 조기퇴직을 이룬 이들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반면 어떤 이들은 가상화폐 투자에 실패해 오랜 기간 저축한 돈을 잃었습니다. 이는 가상화폐의 가격 변동성 때문이며, 거래하기 쉽다는 특징 때문에 변동성이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떤 이는 가상화폐를 버블의 상징인 17세기 네덜란드의 튤립에 더 보기 -
2022년 6월 14일. [필진 칼럼] 바이고렉시아: 자신의 몸에 만족하지 못하는 남자들
지난 3월, 뉴욕타임스는 바이고렉시아(bigorexia)라는 새로운 정신장애를 소개했습니다. 남성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바이고렉시아는 자신의 몸에 불만을 가지는 신체이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의 하나로, 자신의 몸에 근육이 부족하며 더 많은 근육을 원하는 것이 특징인 정신질환입니다. 기사는 40만 팔로워를 가진 틱토커 바비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바비는 겨우 16살의 고등학생이지만, 몇 년째 단백질 식단과 운동을 통해 근육질 몸매를 만들었습니다. 그는 몸 관리에 신경을 쓰는 나머지 때로 학교 숙제를 내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을 따르는 수많은 ‘제자’와 팬을 거느린 어엿한 더 보기 -
2022년 6월 9일. [필진 칼럼] 불편함이 당신을 성장시킨다
내면의 소리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는 인간이 평생을 고민해야 할 근본적인 질문 중 하나일 것입니다. 시시각각 변하는 느낌, 충동, 판단, 선택 등을 행동으로 옮길 때 우리는 가능한 한 이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려 하지만 대부분 우리는 그저 자동인형처럼 무의식적으로 이를 따릅니다. 때로는 이를 감정과 이성으로 구분하고 자신이 왜 그런 감정을 느꼈고 왜 그런 판단을 내렸는지 회고할 때도 있지만 그런 일은 아주 드뭅니다. 언젠가 몇 편의 영화를 연출한 감독님 한 분과 만나 그분이 쓰고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