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ingppoo
-
2016년 10월 13일. 비인간적인 영업 문화로 이룩한 웰스파고의 눈부신 성공 (1/2)
NPR의 팟캐스트 <플래닛 머니>가 최근 유령 계좌 스캔들이 불거진 웰스파고 문제를 다뤘습니다. 미국 금융감독 당국은 앞서 2백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령 계좌를 고객의 동의 없이 연 혐의로 웰스파고에 1억 8천5백만 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문제는 하루하루 정해진 계좌 개설 목표를 채우지 못하면 패배자로 낙인찍히는 비인간적인 영업 문화에 내던져진 웰스파고 노동자들입니다. 웰스파고의 CEO가 의회 청문회에서 그렇게 강제로 직원들에게 영업을 할당해서 시키지 않는다, 경영진은 전혀 모르는 이야기라고 증언하는 것을 보고 더 보기 -
2016년 10월 12일. 공화당 정치인들과 트럼프의 이별 일지
뉴욕타임스의 집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힌 공화당 정치인은 160명이 넘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10월 10일. 공화당, 이제 와서 트럼프를 내칠 수 있을까?
사과다운 사과 없이 대선을 완주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는 트럼프를 후보에서 끌어내리는 방법은 사실상 없어 보입니다. 대신 공화당 후보들은 '트럼프와 거리 두기'를 통해 각자도생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더 보기 -
2016년 10월 6일. “트럼프, 18년간 연방 소득세 한 푼도 안 냈을 수도” (2)
1부 보기 지난주 수요일 뉴욕타임스는 잭 밋닉을 만나 입수한 문서를 직접 보여줬다. 밋닉은 변호사이자 공인 회계사로 뉴저지주에서 세금 환급 업무를 맡아보며 1996년까지 30년 넘게 도널드 트럼프의 세금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장본인이다. 올해 나이 여든 살로 사실상 은퇴해 플로리다에 사는 밋닉은 자신을 찾아온 뉴욕타임스 기자들에게 현재 자신이 트럼프의 소득신고서와 세금 환급 신청서 원본을 볼 수는 없지만, 뉴욕타임스가 입수한 문서가 1995년 작성한 신고서의 사본이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뉴저지 세금 환급 서식에 더 보기 -
2016년 10월 6일. “트럼프, 18년간 연방 소득세 한 푼도 안 냈을 수도” (1)
옮긴이: 지난 1일, 뉴욕타임스는 트럼프가 20년 가까이 연방 소득세를 한 푼도 안 냈을 수도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세금을 내지 않았을 정황의 근거는 트럼프의 1995년 소득신고 및 세금 환급서(연말정산) 내용인데, 뉴욕타임스는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입수한 문서를 함께 공개했습니다. 이후 거의 모든 언론이 뉴욕타임스의 특종 보도를 인용하며 트럼프의 ‘편법 탈세 의혹’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트럼프 후보 측은 처음에는 세금 기록을 입수한 경위를 문제 삼아 뉴욕타임스를 고소하겠다는 위협 외에 보도와 관련해 별다른 논평이나 해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10월 5일. [뉴욕타임스] 중성적인 아이 이름이 뜬다
이름만 들어서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분간이 잘 안 되는 이름, 중성적인 이름이 미국에서도 유행입니다. 할리우드에서 부는 반짝 유행을 넘어 많은 사람들이 자녀에게 찰리(Charlie)나 에머슨(Emerson) 같은 이름을 지어주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뉴욕타임스 기사를 한글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읽기 Read in English: Is Hayden a Boy or Girl? Both. ‘Post-Gender’ Baby Names Are on the Rise. -
2016년 9월 30일. “테크 업계의 여성 차별에 대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미봉책”
쿼츠(Quartz)의 앨리슨 그리스월드(Alison Griswold)는 "여성 때문에 일어나지 않은 문제를 여성성을 억지로 감추며 해결하라는 건 다분히 남성 중심적인 시각(mansplain)"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9월 30일. [뉴욕타임스] 미국 첫 대선 토론 팩트첵크
지난 26일 열린 미국 첫 대선 TV토론에서 언론들의 팩트체크 기능은 단연 돋보였습니다. 후보자들의 말 한 마디 한 마디는 곧바로 사실인지 아닌지 검증 대상이 됐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토론 중 실시간으로 팩트체크 페이지에 주요 쟁점에 관한 데이터나 과거 후보들의 발언을 소개했습니다. 이 가운데 몇 가지를 추려 소개합니다. 한국어로 읽기 Read in English: Our Fact Checks of the First Debate -
2016년 9월 29일. 팬들이 직접 감독이 되는 축구팀, 유나이티드 런던 FC
얼핏 보면 평범한 다른 아마추어 축구팀의 주말리그 경기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런던의 한적한 공터 잔디밭을 빌려 축구 골대를 가져다 놓고 펼쳐지는 경기. 필드 주변에는 여느 게임에서도 볼 수 있는 물병, 여분의 축구공, 몸을 풀고 있는 교체명단에 든 선수들이 있습니다. 경기 전에 골대에 그물을 묶는 것도 선수들이 직접 합니다. 아마추어 리그니까요. 관중이라고 해봤자 구단 관계자와 개 한 마리 정도가 다입니다. 그런데 어느 축구팀에나 당연히 있어야 할 사람이 한 명 보이지 더 보기 -
2016년 9월 26일. 뉴욕타임스, “미국 대통령으로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한다.”
옮긴이: 미국 언론은 주요 선거를 앞두고 대개 지지 후보를 밝힙니다. 뉴욕타임스가 민주당 경선에 이어 대통령선거 본선에서도 민주당 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한다고 사설을 통해 밝혔습니다. —– 대통령 선거가 있는 여느 해였다면 우리는 사안별로 두 후보의 정책을 띄워놓고 비교, 분석해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는 여느 선거와 같다고 볼 수 없다. (우리가 오늘 이 사설을 통해 공개적으로 지지를 밝히는) 힐러리 클린턴은 그동안 공공의 이익에 복무한 기록과 이력에 더해 미국이 당면한 여러 문제에 더 보기 -
2016년 9월 24일. 헨리 키신저가 비호한 독재자의 손에 40년 전 아버지를 잃은 예술가의 인터뷰
"매번 외교 문서의 기밀이 해제될 때마다 헨리 키신저는 치부가 드러나 불편할 겁니다. 하지만 제가 40년 전 아버지를 잃었을 때 느꼈던 절망감에 비할 수 있을까요? 제 바람은 키신저가 좀 더 많이, 자주 죄책감을 느끼고 불편해하는 겁니다." 더 보기 -
2016년 9월 23일. 뉴욕 폭탄 테러로 부각되는 클린턴과 트럼프의 대테러 정책 차이
용의자 아흐마드 칸 라하미가 뉴욕, 뉴저지 일대에서 일으킨 폭탄 테러를 트럼프가 대통령이었다면, 클린턴이 대통령이었다면 사전에 막을 수 있었을까요? 아마도 그러지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이번 테러로 오는 26일 펼쳐지는 두 후보의 첫 번째 TV 토론에서 가장 치열한 공방이 벌어질 주제는 자연스레 정해진 것이나 다름없게 됐습니다. 트럼프, 클린턴 두 후보는 테러 예방법에 관해 뚜렷이 다른 해결책을 제시해 왔습니다. 문제는 이번 테러를 일으킨 것으로 지목된 라하미 같은 사례에 대한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데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