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주제의 글
  • 2015년 4월 27일. 사람들이 “바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진정한 이유

    20세기가 끝날 즈음, “바쁨(busyness)”은 삶의 훈장 같은 것으로 여겨지기 시작했습니다. 언제부턴가 일상은 마라톤이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너무나 바빠서 투표를 할 시간도, 데이트를 할 시간도, 사무실 바깥에서 친구를 사귀거나 휴가를 가거나 잠을 자거나 섹스할 시간조차 없습니다. 2012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3천 8백만 명에 이르는 미국인이 멀티태스킹의 일환(!)으로 변기에 앉아 스마트폰으로 쇼핑을 한다고 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멀티태스킹에 대한 강박은 우리를 돌처럼 멍청하게 만든다고도 합니다. 사람들은 바빠 ‘보이기’ 위해 경쟁합니다. “바쁠수록 더 보기

  • 2015년 4월 10일. 지난해 가장 빠른 경기회복을 보인 나라는 영국일까요?

    파이를 지금 나눌 것인가 좀더 키울 것인가는 늘 어려운 문제입니다.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올바른 데이터가 필요하며, 그 데이터를 수치화한 자료(혹은 도표)를 정확히 해석해야 합니다. 이 기사는 영국 경제의 현재 상황을 예로 들며 도표를 인용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을 반박하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11월 18일. 경제학 박사 학위자들의 논문 생산성

    프로그램 순위가 높은 학교 출신 중 상위 1%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제학 박사 학위 소지자들의 학문적 연구 생산성은 매우 낮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9월 26일. 직원들이 최고의 성과물을 오히려 숨기는 까닭은?

    조직의 투명성 재고는 직원들의 생산성 향상에 항상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5일. 사람들은 화상통화 때 뭘하고 있을까?

    원격 근무가 많은 미국 기업에서는 전화로 하는 회의, 이른바 '컨퍼런스콜'이 많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정말 '컨퍼런스콜' 중에 정말 열심히 집중하고 있을까요? 대부분의 전화회의 참가자들은 화장실에 가고 다른 일을 하는 등 딴짓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11일. 페이스북 10분만 하는 게 아예 안 하는 것보다 낫다

    업무 중 웹서핑을 금지하는 회사가 많습니다. 과도하게 웹서핑은 분명 개인과 조직 모두에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 10분 정도의 적당한 웹서핑은 오히려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8일. 에티오피아, ‘중국의 중국’이 되다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이 점점 활발해지는 추세입니다. 원자재 개발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현지의 임금경쟁력을 활용할 수 있는 제조업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요.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 있는 중국인 공장 화지안을 소개합니다. "딱 30년 전 중국이에요."
    더 보기

  • 2014년 7월 2일. 좀더 생산적인 하루를 보내려면?

    사람의 인지 기능이 시간별로 변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오전 9~11시에 인지 능력이 최고조에 이르렀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기상 후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정보를 흡수하는 능력은 물론 계획 및 집중력과 같은 인지 기능 전반에서 능력이 감퇴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죠. 이처럼 시간에 따라 인지 능력이 변화하는 것은 다분히 생물학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호르몬 생성과 뇌파 활동, 체온의 변화를 유발하는 생물학적 주기가 우리의 집중력과 생산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더 보기

  • 2014년 3월 21일. “데스크탑 모니터 2개 쓰는 게 생산성에 별 도움이 안돼요”

    정말 모니터를 두 개 쓰면 하나로 일할 때보다 더 효과적일까요? 더 크고 더 많은 모니터가 당신의 업무를 향상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일을 방해하고 있지는 않나요?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기 보다는 오히려 트위터나 이메일, 혹은 채팅을 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확보한 것은 아닐까요?
    더 보기

  • 2014년 1월 16일. 생산성 위기가 세계 경제 성장의 발목을 붙잡는다

    각국과 기업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3년 글로벌 생산성의 성장률이 삼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2014년 세계 경제 전망에도 어두운 그늘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제조사기관인 컨퍼런스보드(the Conference Board)는 이와 같은 생산성 위기가 유발된 원인으로 전반적인 글로벌 수요약세를 지목했습니다. 생산성은 노동과 자본을 투입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해내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흔히 생산효율성과 큰 구분없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생산성의 증가는 선진국과 개도국을 가릴 것 없이 모두에게 물질적 번영을 가져다주며, 생산성이 감소하면 감소할수록 삶의 수준을 높이려는 더 보기

  • 2013년 11월 6일. 근무시간과 생산성

    영국의 철학자인 버트렌드 러셀은 1932년 “게으름에 대한 찬양” 에서 사람들은 하루 네시간 일하는 게 가장 적정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하루 생활에 필요한 일들을 그 네시간 내에 끝내고 나머지 시간을 과학, 그림, 글쓰기에 보내야한다고 주장했죠. 러셀과 당시 철학자들은 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삶에 필수적인 업무시간을 줄여줄 거라 믿었습니다. 존 메이너드 케인즈도 1930년에 2030년이 되면 인류는 주 15시간만 일하면 될 것이라 예측했지요. 그러나 80년이 지난 지금, 사람들은 그 어느때보다 많이 일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워커홀릭 더 보기

  • 2013년 10월 10일. 미국에서 뜨는 도시와 지는 도시

    미국 경제 지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미국에는 350개 이상의 도심 경제권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어떤 지역이 뜨고 지는지를 측정하는 데는 인구 성장률, 일자리 성장률, 주택 가격, 그리고 실업률과 같은 지표들이 쓰입니다. 이 지표들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긴 하지만 이 지표들이 말해주지 않는 정보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인구 성장률은 유입되는 인구의 기술 수준이나 교육 수준에 대해서 말해 주지 않습니다. 저는 언론에서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우리에게 도시의 흥망성쇄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려줄 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