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3월 25일
미국의 대형 화장품 회사인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가 소유하고 있는 맥(M.A.C.) 브랜드의 모토는 “모든 인종, 모든 성별, 모든 연령 (All Races, All Sexes, All Ages)”입니다. 맥은 이 모토처럼 유색 인종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화장품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고 터키에서 고급 화장품 브랜드 중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리는 브랜드가 되었고, 최근 진출한 나이지리아에서도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처럼 맥의 인기가 뜨겁자 에스티 로더는 신흥 시장을 개척할 때 우선 맥 전용 매장을 열어 → 더 보기
-
2013년 3월 25일
알리바바는 매출로 보면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상거래 기업입니다. 작년 알리바바 산하 두 쇼핑몰이 1.1조 위안(190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아마존과 이베이를 합친 것보다도 큰 숫자입니다. 이 거대한 기업이 곧 기업공개를 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전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창업자 잭 마(Jack Ma)가 현 수석부회장 조나단 루(Janathan Lu)에게 CEO 자리를 넘겨주는 5월, IPO 세부 계획도 공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초대형 IPO는 작년의 페이스북 IPO에 비교되고 있는데, 페이스북이 상장가치 1,040억 달러로 → 더 보기
-
2013년 3월 25일
사람들은 누구나 건강한 치아를 갖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구강 내의 위험 요소와 질병을 발견하는 방법은 잘 모릅니다. 미국 최대의 치과 전문 보험회사인 델타 덴탈(Delta Dental)에서는 회원들에게 구강 질병의 위험요소를 가늠하고, 예방 및 치료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나의 치아 점수’라는 이 프로그램은 웹사이트에 있는 몇 가지의 간단한 질문에 대답함으로써 충치, 치주염, 구강암의 위험요소를 수치화해주며, 다음 치과 진료 시 의사에게 그 결과를 보여주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구강 질병을 예방하고, 치아 건강을 → 더 보기
-
2013년 3월 25일
Q: 양손잡이 훈련이 두뇌에 도움이 될까요? A: 사람들은 양손을 사용하는 것이 두뇌에 이로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연구결과는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합니다. 양손훈련이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19세기 말부터였습니다. 20세기 초, 영국의 존 잭슨은 사람들에게 양손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양손잡이문화협회(Ambidextral Culture Society)”를 만들었습니다. 이 유행은 20세기 중반, 양손잡이가 분명한 이득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지 못하면서 사그라들었습니다. 오히려 최근의 연구는 양손잡이로 태어나는 것이 독서장애 및 말더듬기 증상 등의 발달장애와 관련이 → 더 보기
-
2013년 3월 25일
2012년에 출간된 타일러 해밀턴의 책 “비밀의 경주(The Secret Race)”는 사이클선수들의 약물사용이 어떻게 “침묵의 규약(Omerta Rule)”에 의해 유지되어 왔는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서 침묵의 규약이란 곧 선수들로 하여금 다른 모든 선수들도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고 믿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현상, 즉 다수의 의견을 실제와 다르게 생각함으로써 자신이 소수에 속한다고 믿는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다원적 무지(pluralistic ignorance)”라고 부릅니다. 대학에서의 폭음과 난잡한 생활, 중세의 마녀사냥과 20세기 초반의 치명적 이데올로기들은 이런 현상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1988년의 연구는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지난해 말 코네티컷주 뉴타운의 초등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일어난 이후 오바마 대통령은 공격용 총기와 대용량 탄창을 금지하고 총기를 사는 사람의 신원 확인을 강화하는 총기 규제안을 제안했지만, 고작 서너 달이 지난 현시점에 총기 규제 찬성론자들이 규제안을 관철할 가능성은 작아 보입니다. 총기 규제에 반대하는 로비 단체들의 적극적인 활동 때문입니다.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당당하게 여론과 동떨어진 의견을 내세우는 전미총기협회(NRA, National Rifle Association)는 어떻게 한결같은 영향력을 자랑하는 것일까요? 3월 11일 코네티컷주의 주도 하트포드에서 열린 총기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1980년 12월 8일, 존 레논이 총에 맞아 숨진 뒤 미국에서만 지금까지 1백 5만 7천 명이 총에 맞아 목숨을 잃었습니다. 매년 31,537명이 총에 맞아 숨지고 있어요.” 여기까지는 단순한 사실을 담담히 나열한 문장입니다. “우리는 이 아름다운 나라가 끔찍한 전쟁터로 변하고 있는 걸 방치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다함께 미국을 다시 평화로운 곳으로 만듭시다.” 여기까지는 사실에 더한 총기 규제 활동가의 주장 정도로 보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건 가족과 친구 모두에게 끔찍한 일입니다. (존 레논이 죽은지) 33년이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최근 들어 전 세계 호텔업계가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고객층은 인구의 절반인 여성 고객들입니다. 사업차 출장을 가는 여성들의 숫자는 어느덧 남성들과 엇비슷해졌습니다. 그만큼 여성들이 편안해 하고, 더 찾고 싶은 숙소를 제공하는 것이 업계의 화두가 된 겁니다. 세계 각지에 있는 호텔들의 여성친화 점수를 매겨 온라인(Maiden-Voyage.com)에 공개하는 사이트가 성업 중입니다. “객실에 구비된 각종 물품들은 기본이죠. 객실을 안내하는 프론트 직원들이 친절한지부터 여자 직원이 룸서비스로 음식을 갖다주는 걸 아무래도 선호하는 여성 고객들이 많아요. 남자 고객들보다 안전에도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MIT 경제학과의 노동 경제학자 데이비드 오터(David Autor) 교수는 최근 연구결과 한부모 가정의 증가가 남성 노동자들이 받는 임금의 지속적인 하락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1970년에 82%의 어린이가 양쪽 부모와 함께 살았지만 2010년에 이 비율은 63%로 떨어졌습니다. 한부모 중에서 아이를 키우는 쪽은 대부분이 여성인데, 한부모 엄마가 키우는 남자 아이들이 특히 교육 성취나 임금에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노동 시장에서 남성의 추락은 경제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미국의 노동 시장에서 대학 졸업장이 없는 사람들은 해외 시장과의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NBC의 간판 프로그램인 스탠딩 코미디 투나잇쇼(The Tonight Show)가 이르면 내년에 새로운 진행자를 맞이할 계획입니다. NBC는 제이 레노(Jay Reno)가 이끌고 있는 투나잇쇼의 진행자를 지미 펠론(Jimmy Fellon)으로 교체하고, 현재 캘리포니아에 있는 스튜디오를 처음 투나잇쇼가 진행되었던 뉴욕으로 옮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954년 시작된 투나잇쇼는 밤 시간대 스탠딩 코미디 부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지미 펠론을 새로운 진행자로 내세우는 것은 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의미합니다. 현재 진행자인 63세의 레노는 전통적인 라스베가스 스타일의 코미디를 구사하는 반면 38세의 펠론은 인터넷을 이용해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앱은 이제 큰 돈이 오가는 사업입니다.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앱 사업은 62% 성장하여 250억 달러 수익을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2012년 영화관 티켓 판매 수익의 두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애플에 80만개, 구글에 70만개, 마이크로소프트 12.5만개, 아마존 7만개의 어플이 존재합니다.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앱은 8개 정도로 63%의 응답자가 일년전과 다른 앱을 쓰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앱은 쉽게 다운받고 또 쉽게 버려지는 짧은 싸이클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사용자가 앱사용에 보내는 시간은 하루 평균 120분으로 웹에 → 더 보기
-
2013년 3월 22일
미국 질병 관리 및 예방 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취학 아동 50명 중 1명이 자폐증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이 숫자는 최근에 정부의 추정치인 88명당 1명 꼴보다 높습니다. 새로운 조사는 전국의 9만 5천 명이 넘는 부모들에게 전화 조사로 시행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자폐증 자체가 증가했다기보다는 의사들이 가벼운 증상이 있는 높은 연령대의 어린이들에 대한 진단을 더 자주 하기 때문에 숫자가 높아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주장합니다. 자폐증을 진단하는 능력이 향상되긴 했지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