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이들이 투표하지 않는 이유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낮은 청년 투표율, 이유는 무엇일까요? 젊은 사람들이 게을러서 투표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무리봐도 부족한 설명입니다. 더 보기 -
베를린장벽 붕괴 25년, 아직 온전히 하나가 되지 못한 독일
워싱턴포스트가 정리한 사진, 그래프, 지도를 소개합니다. 통일 후 25년이 지난 지금 동독, 서독이었던 곳에서 사는 것이 각각 어떻게 다를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더 보기
-
한국의 스킨 케어 화장품, 미국 주류 사회 인기
한국 화장품은 이미 동남아시아에서 새로운 한류 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주 지역은 어떨까요? 2011년 BB크림이 히트 친 이후 미국에서도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첨단 기술을 사용하는 한국의 뷰티 문화를 뉴욕타임즈가 소개했습니다. 더 보기
-
페이스북이 온라인에서 보고 듣는 모든 걸 통제하는 세상이 올까요?
온라인 콘텐츠를 삼키려는 페이스북의 행보는 무시무시할 정도입니다. "라이크잇"이 가져다주는 조회수와 파급력을 생각할 때 그리 상상하기 어려운 미래는 아닙니다. 더 보기 -
동물들은 거울에 어떻게 반응할까요?
거울은 어떤 동물들의 고립감을 줄여줍니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거울 속 이미지가 자신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듯 합니다. 더 보기 -
놓쳤다면 안타까울 뉴스페퍼민트 10월 기사 10선
지난 10월 한 달 간 뉴스페퍼민트가 번역한 기사 가운데, 놓치셨다면 아까웠을 기사 10개를 뽑아봤습니다. 더 보기 -
미성년 범죄자를 어른처럼 취급해야 할까?
최근 미국에서 일어난 두 건의 미성년자 범죄로 인해, 미국에서는 미성년 범죄자를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재점화 되었습니다. 더 보기 -
넓은 축구장에선 공격 축구가 통한다?
피치의 길이, 넓이는 각 구장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그 차이가 크지 않아 경기력에 대단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대체로 넓은 경기장은 공격진에, 좁은 경기장은 수비진에 유리하다는 게 정설입니다. 공격적인 성향의 팀을 이끄는 감독이 좁은 경기장을 부진의 원인으로 꼽는다면 이는 정당한 불만일까요? 아니면 근거 없는 투정일까요? 더 보기 -
덴마크 버거킹 직원의 시간당 임금은 20달러, 미국 버거킹 직원의 임금은 9달러
덴마크에 최저임금이 없습니다. 법으로 정해진 것도 아니지만, 기업은 노사단체협약을 통해서 만들어진 임금 기준을 지키고 있습니다. 더 보기 -
GDP대신 행복 지수를 정책 결정 근거로 써야 하는 이유
정책 결정을 할 때 GDP 못지않게 SWB(주관적 행복지수)도 비중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 보기 -
애플CEO 팀 쿡: 내가 게이라고 밝히는 이유[전문]
애플 CEO가 자신이 게이라고 자랑스럽게 밝혔습니다. 더 보기
-
인간에게는 마법을 믿는 본능이 있습니다
인간의 본능에는 비이성적인 사실을 믿게 만드는 요소가 있습니다.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