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5월 21일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노인 고아들

    ‘고아(orphan)’라는 단어는 부모나 다른 가까운 친지들이 없는 아이들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늘어가는 또 다른 종류의 고아가 있습니다. 바로 자신을 돌봐줄 자녀, 배우자, 가까운 친지가 없는 노인들이 그들입니다. (고아라는 한자에는 ‘어린아이’라는 의미가 이미 들어가있어 노인을 지칭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 있지만, 원문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독거노인이라는 표현보다는 고아라는 단어를 쓰겠습니다.) 이와 같은 노인 고아들은 대부분이 베이비붐 세대입니다. 현재 65세 이상인 미국인들 중에서 22%는 이미 노인 고아이거나, 노인 고아가 될 가능성이 더 보기

  • 2015년 5월 21일
    남성의 자살: 어떻게 사회적 완벽주의는 남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가(3/4)

    남자들이 더 많이 자살하는 이유에는 '사회적 완벽주의'라는 것이 있습니다. 남자들은 더 완벽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이런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했을 때 이를 해소하는 방법 또한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자신이 약하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 자체가 남자답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20일
    인종 간 불평등이 심할수록 경제 발전에 걸림돌이 됩니다

    경제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불평등과 경제 발전 간 관계에 인식해 왔습니다. 곧 발표될 한 연구는 이 주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했습니다. 불평등 자체보다 더 큰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한 국가 내 인종 간 격차라는 주장을 펼친 것이죠.
    더 보기

  • 2015년 5월 20일
    수렵채집인들의 독특한 사회구조가 만들어지는 이유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거주지에 대한 의사결정의 성평등이 수렵채집인들의 독특한 사회구조를 설명해준다고 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20일
    뉴욕타임즈의 “네일 살롱” 기사, 그 이후

    뉴욕타임즈가 네일살롱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현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한 이래 다양한 논란과 반응이 뒤따랐습니다. 본 기사는 뉴욕타임즈가 번역판을 준비하는 과정 및 보도 후 독자의 반응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간략하게 보여 주는 글입니다. 이는 미디어가 디지털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거듭하는 한 사례일 것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20일
    남성의 자살: 어떻게 사회적 완벽주의는 남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가(2/4)

    자살을 이야기하기위해서는 한국의 경우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인하대학교 김의철 교수는 한국의 높은 자살률의 이면에는 급격한 도시화가 낳은 문화적 충격이 존재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치열한 경쟁에 의한 젊은이들의 자살 충동도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19일
    아빠가 육아 휴직을 하면 무엇이 좋을까요?

    대부분의 국가에서 여성에게 3개월 이상의 출산 휴가를 주지만, 남성에게 2주 이상의 출산 휴가를 주는 나라는 열 손가락에 꼽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아빠가 아기와 많은 시간을 보내면 여러 가지 좋은 점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아빠에게 출산 휴가/육아 휴직을 허용하면 무엇이 좋을까요?
    더 보기

  • 2015년 5월 19일
    어느 지역에서 자랐는지가 결혼을 할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미국의 경우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와 같이 진보적인 도시 지역에서 유년기를 보낸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서 결혼할 확률이 미국 전체 평균에 비해서 10%가 낮았습니다. 이는 단순히 상관관계가 아닙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19일
    일하는 엄마 아래서 자라면 무엇이 좋을까요?

    직장에 다닌 엄마를 둔 여성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교육 성취가 높고 더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는 집안일과 육아에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19일
    뇌가 나빠질 것처럼 겁주는 언론보도에 속지 마세요

    "성인물을 보면 뇌가 수축한다"라든지 "스마트폰을 보면 뇌가 수축한다"와 같이 뭔가를 하면 뇌가 수축하기 때문에 그런 행동을 하면 안 좋다는 뉘앙스를 풍기는 과학 기사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뇌가 수축한다는 것이 꼭 뇌가 나빠진다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부분적인 뇌 수축은 신경 효율성이 증가했다는 징후일 수 있습니다. 또 인간의 뇌는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오히려 부피를 줄이며 다듬는 작업을 계속 합니다. 이런 사례는 프로 체스 선수의 뇌 연구에서도 발견됩니다. 체스 선수는 지능이 높은 사람들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 선수가 아마추어 선수보다 오히려 뇌가 더 작아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그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 좌우간 뇌 수축은 나쁘고, 뇌 확장은 좋은 것이라는 언론 보도는 지나치게 단순한 것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19일
    남성의 자살: 어떻게 사회적 완벽주의는 남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가(1/4)

    지구상의 모든 나라에서 남자는 여자보다 더 많이 자살합니다. 남자라는 사실과 자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왜 특히 중년의 남성들이 자살을 택하는 것일까요? 이들의 자살률이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보기

  • 2015년 5월 18일
    상위 1% 그룹에 가입하는 법

    경영 컨설팅, 투자 은행, 대형 법무법인은 화이트칼라 직의 3대 꽃으로 꼽힙니다. 이 회사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엘리트 대학의 졸업장은 물론 기업 고유의 내부 문화와 적합한 성향을 갖추어야 합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