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8월 19일
과학자들이 검치묘, 털매머드, 털코뿔소와 대형 아르마딜로 등이 살던 시절 거대한 동물들이 쇠락하게 된 주 요인이 인간이었는지 기후변화였는지에 대한 오래된 논쟁을 매듭지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8월 19일
마취와 잠은 여러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마취제를 통해 수면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 더 보기
-
2015년 8월 18일
최근 미국증권거래위원회가 기업 CEO와 일반 직원의 급여 차이를 공개하도록 하는 규정을 통과시키면서, 소득불평등이라는 주제가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공개되어야 할 임금 격차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성별 간 임금 격차죠. → 더 보기
-
2015년 8월 18일
물건보다 경험에 돈을 쓰는 것이 밀레니얼 세대의 중요한 소비 패턴으로 자리 잡으면서 백화점과 오프라인 매장들은 큰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을 상대로 한 매출도 정체돼 있고, 온라인 쇼핑의 급성장, 아울렛형 할인 매장의 성장세는 기존의 백화점들을 위협하는 요소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8월 18일
오티즈의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이 시리즈는 뉴요커에서 3부작으로 다룬 '무혈의학'의 1부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8월 18일
여호와의 증인은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그리고 피가 곧 자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수혈을 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피를 많이 흘린 상황에서 수혈은 사람을 죽음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8월 18일
뉴스에서는 매일 새로운 건강 관련 연구들이 소개됩니다. 커피를 마시면 건강에 좋다거나 나쁘다는 상반되는 연구들도 소개되죠. 어떻게 하면 건강 관련 연구들이 제대로 된 것인지 구별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
2015년 8월 17일
'루시에게(Dear Lucy)'는 기업 문화 전문가 루시 캘러웨이가 직장인의 고민에 대답해주는 파이낸셜 타임스의 상담 코너입니다. 동료들의 눈치를 받지 않고 하루 8시간을 일하고 싶다는 직장인에게 루시가 대답합니다. “불규칙한 시간에 일하고, 늦게 출근하고, 항상 투덜대세요.” → 더 보기
-
2015년 8월 17일
매운 음식을 섭취하면 장수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하버드 보건대학원의 루치 박사(Dr. Lu Qi)는 2004년에서 2008년까지 약 50만 명을 대상으로 매운 음식과 질병으로 인한 사망과의 관계를 연구했습니다. 루치 박사는 질병의 가족력, 나이, 교육 수준, 당뇨 및 흡연 등 다른 변인들을 일괄 통제한 뒤, 매운 음식의 섭취가 사망 위험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1주나 2주에 한 번 이상 칠레 고추를 섭취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사망할 위험이 10% 낮게 나타났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8월 17일
뉴질랜드의 언론인 마이크 호스킹(Mike Hosking)이 페이스북 페이지에 다시 올린 소 두 마리로 알아보는 경제 체제 / 각 나라의 경제에는 뻔한 고정관념, 선입관도 있지만 반대로 뛰어난 통찰과 신랄한 풍자가 담겨있기도 합니다. 한국 경제를 어떻게 표현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달아주세요. → 더 보기
-
2015년 8월 17일
스타벅스 정도 되는 대규모 체인은 당연히 커피콩의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해 연계매매(hedging)를 합니다. 그런데 커피콩 가격이 예상외로 폭락하면 그에 따라 가격을 내릴 수 없으니 스타벅스는 손해를 보는 셈이죠.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데 드는 전체 비용에서 커피가 차지하는 비율이 10%도 안 되는 것이 또 다른 이유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8월 17일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하느냐, 또는 저지방 다이어트를 하느냐가 아닙니다. 당신이 그 다이어트 방법을 꾸준히 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