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10월 8일
    영화 “마션”은 과학적으로 얼마나 정확할까요

    영화 마션은 처음으로 제대로 된 화성영화입니다. 과학자이자 화성탐사 지지자인 로버트 주브린은 가디언에 영화 마션의 허구와 현실에 대해 기고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8일
    나의 의사, 나의 친구

    나의 항암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가 그녀의 스카우트 제안에 관해 이야기할 때, 그녀는 웃으며 다이애나 공주의 이름을 딴 교수직이 아니고서야 자신이 직장을 옮기는 일은 없을 거라며 나를 안심시켰습니다. 물론 나는 그녀가 장난으로 하는 말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다니앨라 마테이(Daniela Matei) 박사는 그녀가 천직으로 삼는 의학자로서의 직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상 다른 병원으로 직장을 옮기지 않을 것입니다. 그녀의 이직에 대한 협상들에 대해 듣기 시작한 이후 몇 개월 동안, 오래된 컨트리음악 한 곡의 노랫말이 더 보기

  • 2015년 10월 7일
    조력 자살에 대한 이코노미스트의 입장

    불치병에 걸린 환자에게 의사는 죽음을 재촉할 약을 처방할 수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한 이코노미스트의 입장은 명확합니다. 국가가 개인의 삶에 최대한 개입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이 삶을 마무리하는 시점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더 보기

  • 2015년 10월 7일
    당신의 뒷주머니에 스마트폰을 두어서는 안 되는 3가지 이유

    # 문제 1 경찰 당국은 뒷주머니에 스마트폰을 넣는 것을 곧 금지할까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이루어진 구글의 새로운 연구는 긴급전화(911)의 1/3이 바지 뒷주머니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이를 “butt dials”, 즉 “엉덩이의 전화”, 혹은 “바지 주머니의 호출”이라고 합니다. 연구는 이러한 우발적인 통화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단말기가 잠긴 상태에서도 주머니에 접촉하며 화면에 긴급 번호가 입력될 수 있는 것입니다(유럽 긴급번호 112). 무엇보다도 문제는 걸려온 전화가 긴급전화가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을 수신자가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긴급통화의 더 보기

  • 2015년 10월 7일
    사상 최대의 공룡 군집 성장 연구를 통해 마이아사우라가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었는지가 밝혀졌습니다

    몬태나 주 서부의 광대한 뼈층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알려진 공룡에 대한 것 중 가장 완전한 생활사가 밝혀졌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6일
    호주의 총기 규제 정책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미국에도 적용될 수 없습니다

    오바마 대통령과 총기 규제론자들은 호주의 총기 규제를 성공 사례로 자주 언급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총기 규제 반대론자들과 보수 언론은 상반된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6일
    “다시 위대한 미국을 만들자”는 구호를 외치는 당신, 미국이 잘 나가던 시절 어땠는지 아시나요?

    도널드 트럼프의 선거 구호는 "다시 위대한 미국을 만들자" 혹은 "잘 나가던 미국으로 돌아가자"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Make America Great Again!"입니다. <아틀란틱>이 실제로 미국이 잘 나가던 시절에는 지금과 무엇이 달랐는지, 트럼프의 정책은 잘 나가던 시절 미국으로 되돌아가는 데 어떤 면에서 잘못됐는지를 꼬집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6일
    혼자 지하철을 타는 일본 어린이들과 사회적 신뢰

    코흘리개 어린이들에게 찬거리를 사오라는 심부름을 시킬 수 있는 것도, 교복을 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하철을 타고 도시 여기저기를 다닐 수 있는 것도 모르는 이들이라도 서로를 도와줄 것이라는 사회적인 신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게 문화인류학자 드웨인 딕슨의 분석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에서도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더 보기

  • 2015년 10월 6일
    저자, 감독, 자문위원이 말하는 영화 <마션>의 과학

    영화 <마션(Martian)>을 볼 계획이 있다고요? 당신은 사랑에 빠지게 될 겁니다. 아, 난 와트니 역의 맷 데이먼을 말하는 게 아니에요. 이 영화의 진짜 주인공은 바로 과학입니다. 화성탐사계획에 사용되는 멋진 헤르메스 우주선,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해 분투하는 와트니의 기발한 아이디어들, 그리고 그를 돕는 지구 과학자들의 창의성 등, 이 이야기는 그 자체로 과학에 대한 연서처럼 보입니다. 우리는 이 영화가 어떻게 현실과 상상 사이의 균형을 잡았는지 알기 위해 감독인 리들리 스콧, 원작자인 앤디 위어, 그리고 더 보기

  • 2015년 10월 5일
    소행성 충돌과 화산활동이 공룡들에게는 원투 펀치였습니다

    6,600만 년 전의 대량 멸종을 일으킨 것이 소행성 충돌이었는지 인도에서 있었던 화산활동인지에 대한 논쟁이 갈수록 무의미해지고 있습니다. 화산 분출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 결과 이 두 가지의 재난이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과학자들은 소행성 충돌이 있은 후 5만 년 내에 화산 분출이 가속화되었으며, 이것이 전 세계에 걸쳐 진도 9, 혹은 그보다 더 큰 지진을 일으켰을 소행성 충돌에 의해 재점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5일
    관리자가 되기 전에 생각해봐야 할 것들

    저명한 레스토랑 사업가 대니 마이어는 갓 관리자가 된 이들을 일컬어 “불의 재능”을 얻었다고 말하길 좋아합니다. 그는 이 새로운 힘을 사용하는 올바른(혹은 올바르지 않은) 방법을 관리자들이 확실히 깨닫길 바랍니다. 마이어에 따르면, 불은 온기와 편안함을 주며 어둠을 밝힙니다. 먹을거리를 보다 맛있고 영양이 풍부하게 바꿔주죠. 지펴지는 화톳불은 화합의 장을 열어줍니다. 가끔은 횃불로 쓰이기도 하는데, 리더가 어려운 진실을 다른 이들에게 토로할 때가 그렇습니다. 새롭게 선출된 관리자와 CEO들, 정치지도자들은 종종 그 자리를 맡는다는 게 어떤 더 보기

  • 2015년 10월 5일
    페이스북, 인터넷닷오그(Internet.org)와 망 중립성에 대한 두려움

    페이스북이 개발도상국에 무료로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취지에서 시작한 인터넷닷오그(internet.org)가 망 중립성 논란으로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100여 개 인터넷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 실어 무료 과금하는 형태가 완전히 열린 웹이 아니라는 것이죠.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