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ingppoo
  • 2016년 6월 1일. [뉴욕타임스] 소셜미디어에 노출되는 아이의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에 대해 생각해보셨나요?

    어린이들의 사진, 어린이들이 한 말은 수많은 사람에게 노출돼 어른들의 이미지 관리나 홍보에 동원되곤 한다. 문제는 어린이들이 이런 내용을 온라인상에 올려도 되는지 동의 여부를 표현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30일. “페페 규정 제정이 시급하다”

    손가락이 스쳤을 뿐인데 핵주먹으로 얼굴을 얻어맞기라도 한 듯 데굴데굴 구르던 페페의 모습은 전 세계 축구팬들의 짜증을 유발했습니다. 가디언의 션 잉글 기자는 칼럼에서 이번 기회에 심판을 속이려 아프지도 않은 데 아픈 척하는 선수들을 엄히 처벌하는 '페페 룰'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27일. [이코노미스트] 반기문 UN 사무총장 후임은 어떻게 뽑아야 할까? (1)

    회원국들의 투표로 차기 사무총장을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높지만, 이번에도 능력보다는 안보리 상임이사국 누구도 반대하지 않는 인물이 추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27일. [이코노미스트] 반기문 UN 사무총장 후임은 어떻게 뽑아야 할까? (2)

    1부 보기 사무총장의 역량 차이에 목숨이 달려 있다 (The margins matter) 사무총장은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다. 반기문 총장이 아니라 누구였더라도 반 총장 임기 중에 발발한 분쟁을 사전에 막을 수는 없었다. 최근 브룬디나 콩고 동부에서 발생한 분쟁 등에 UN 사무총장 혼자 힘으로 마침표를 찍어주기를 바라는 것도 이뤄질 수 없는 바람이다. 그럼에도 사무총장의 역량은 대단히 중요하다. 아무리 UN이 결함이 많은 조직이라도 여전히 내전이 일어나고 정세가 혼란할 때 우리가 믿고 기댈 수 있는 최후의 더 보기

  • 2016년 5월 27일. 스웨덴 예테보리 시의 실험: 하루 6시간 근무

    노동자들은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충분히 쉬고 일터로 오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집중해서 일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입을 모읍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24일. 유럽은 정말 정치적으로 우경화되었나? (2)

    1부 보기 그리스 1980년에 설립된 네오파시스트 정당 황금새벽당은 2012년 처음 18석을 차지해 원내 정당으로 발돋움 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당시 선거는 그리스 채무 위기가 불거지면서 유럽의 채권국이 강력한 긴축 정책을 요구하던 가운데 치러져 전 세계의 이목이 더욱 집중됐습니다. 유럽 회의(Council of Europe)의 인권위원장은 2013년 황금새벽당을 가리켜 “폭력적인 네오나치 정당”이라며 극단적인 반이민주의, 러시아와의 군사조약 체결, 유로화가 우리의 삶을 파괴했다는 주장 등을 내세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13년 9월 그리스 검찰은 황금새벽당 당수인 니코스 미할로리아코스(Nikos 더 보기

  • 2016년 5월 24일. 유럽은 정말 정치적으로 우경화되었나? (1)

    뉴욕타임스가 유럽 각국의 선거 결과를 한데 모아 그래프를 그렸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20일. 커피숍 옆자리에 앉은 사람은 도대체 무슨 일을 저렇게 열심히 하고 있는 걸까?

    궁금하세요? 직접 자리를 돌며 물어봤습니다. 여러분도 이 실험에 동참하고 싶지 않으신가요? 관심 있으신 분들 중에 영어로 답변을 정리하기 어려우신 분들이 있다면, 번역은 뉴스페퍼민트가 해드리겠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19일. 포르투갈, “오직 청정 에너지로만 107시간 전력 공급” 신기록

    풍력, 태양, 그리고 수력. 포르투갈이 이달 초 나흘이 넘도록 나라 전체의 전력을 공급하는 데 쓴 에너지원입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16일. 부자들은 혼자만의 시간을 더 보낸다?

    또한, 가난한 사람들은 가족이나 이웃과 더 많이 어울리는 반면 부자들이 더 많이 어울리는 사람 중엔 친구나 동료가 많았습니다. 미국이라는 사회의 맥락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여전히 우리에게도 흥미로운 시사점을 던져주는 연구입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13일. 사디크 칸과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보다 런던에서 버스 기사로 일하는 아버지 밑에서 나고 자란 최초의 무슬림 런던 시장 사디크 칸의 당선이 더 중요한 사건입니다.
    더 보기

  • 2016년 5월 11일. [뉴욕타임스] 크리스티 야마구치와 나의 어린 시절: 왜 피부색이 다양한 영웅이 필요한가?

    나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의 백인 가족에 입양됐다. 내 어린 시절은 혼란과 소외감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꼭 나처럼 생긴 아시아계 미국인이 빙판 위 무대를 장악하고 갈채를 받는 모습을 본 뒤 내 삶은 완전히 달라졌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