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posts by ingppoo
  • 2016년 10월 5일. [뉴욕타임스] 중성적인 아이 이름이 뜬다

    이름만 들어서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분간이 잘 안 되는 이름, 중성적인 이름이 미국에서도 유행입니다. 할리우드에서 부는 반짝 유행을 넘어 많은 사람들이 자녀에게 찰리(Charlie)나 에머슨(Emerson) 같은 이름을 지어주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뉴욕타임스 기사를 한글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읽기 Read in English: Is Hayden a Boy or Girl? Both. ‘Post-Gender’ Baby Names Are on the Rise.  

  • 2016년 9월 30일. “테크 업계의 여성 차별에 대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미봉책”

    쿼츠(Quartz)의 앨리슨 그리스월드(Alison Griswold)는 "여성 때문에 일어나지 않은 문제를 여성성을 억지로 감추며 해결하라는 건 다분히 남성 중심적인 시각(mansplain)"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9월 30일. [뉴욕타임스] 미국 첫 대선 토론 팩트첵크

    지난 26일 열린 미국 첫 대선 TV토론에서 언론들의 팩트체크 기능은 단연 돋보였습니다. 후보자들의 말 한 마디 한 마디는 곧바로 사실인지 아닌지 검증 대상이 됐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토론 중 실시간으로 팩트체크 페이지에 주요 쟁점에 관한 데이터나 과거 후보들의 발언을 소개했습니다. 이 가운데 몇 가지를 추려 소개합니다. 한국어로 읽기 Read in English: Our Fact Checks of the First Debate

  • 2016년 9월 29일. 팬들이 직접 감독이 되는 축구팀, 유나이티드 런던 FC

    얼핏 보면 평범한 다른 아마추어 축구팀의 주말리그 경기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런던의 한적한 공터 잔디밭을 빌려 축구 골대를 가져다 놓고 펼쳐지는 경기. 필드 주변에는 여느 게임에서도 볼 수 있는 물병, 여분의 축구공, 몸을 풀고 있는 교체명단에 든 선수들이 있습니다. 경기 전에 골대에 그물을 묶는 것도 선수들이 직접 합니다. 아마추어 리그니까요. 관중이라고 해봤자 구단 관계자와 개 한 마리 정도가 다입니다. 그런데 어느 축구팀에나 당연히 있어야 할 사람이 한 명 보이지 더 보기

  • 2016년 9월 26일. 뉴욕타임스, “미국 대통령으로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한다.”

    옮긴이: 미국 언론은 주요 선거를 앞두고 대개 지지 후보를 밝힙니다. 뉴욕타임스가 민주당 경선에 이어 대통령선거 본선에서도 민주당 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한다고 사설을 통해 밝혔습니다. —– 대통령 선거가 있는 여느 해였다면 우리는 사안별로 두 후보의 정책을 띄워놓고 비교, 분석해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는 여느 선거와 같다고 볼 수 없다. (우리가 오늘 이 사설을 통해 공개적으로 지지를 밝히는) 힐러리 클린턴은 그동안 공공의 이익에 복무한 기록과 이력에 더해 미국이 당면한 여러 문제에 더 보기

  • 2016년 9월 24일. 헨리 키신저가 비호한 독재자의 손에 40년 전 아버지를 잃은 예술가의 인터뷰

    "매번 외교 문서의 기밀이 해제될 때마다 헨리 키신저는 치부가 드러나 불편할 겁니다. 하지만 제가 40년 전 아버지를 잃었을 때 느꼈던 절망감에 비할 수 있을까요? 제 바람은 키신저가 좀 더 많이, 자주 죄책감을 느끼고 불편해하는 겁니다."
    더 보기

  • 2016년 9월 23일. 뉴욕 폭탄 테러로 부각되는 클린턴과 트럼프의 대테러 정책 차이

    용의자 아흐마드 칸 라하미가 뉴욕, 뉴저지 일대에서 일으킨 폭탄 테러를 트럼프가 대통령이었다면, 클린턴이 대통령이었다면 사전에 막을 수 있었을까요? 아마도 그러지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이번 테러로 오는 26일 펼쳐지는 두 후보의 첫 번째 TV 토론에서 가장 치열한 공방이 벌어질 주제는 자연스레 정해진 것이나 다름없게 됐습니다. 트럼프, 클린턴 두 후보는 테러 예방법에 관해 뚜렷이 다른 해결책을 제시해 왔습니다. 문제는 이번 테러를 일으킨 것으로 지목된 라하미 같은 사례에 대한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데 더 보기

  • 2016년 9월 21일. 내 친구들도 나를 친구로 생각할까?

    다른 사람을 친구로 생각하는 마음은 절반 정도만 ‘상호적’이라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이전에도 비슷한 연구가 여러 차례 소개된 적이 있습니다. 친구라고 생각했던 이의 친구로 포함되지 않은 데 서운해하기에 앞서 우리의 사회적인 관계, 그로 인한 심리적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우정이란 무엇인가에 관해서부터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연구 결과입니다.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이 글은 지난달 카카오 스토리펀딩에도 후보로 소개했던 글입니다. —– 오늘 하루, 이번 한 주, 아니 지난 한 달 동안 마주쳤던 모든 이들을 더 보기

  • 2016년 9월 19일. 예비경선에서 클린턴, 트럼프를 지지한 사람들은 미국 인구의 9%

    미국 대통령 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의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두 후보는 대단히 치열한 경선 과정을 거쳐 대선 후보가 되었지만, 오늘 소개하는 글을 보면 이들이 경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얻은 표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 보이기도 합니다. —– 모두 알다시피 미국 인구는 약 3억 2천4백만 명입니다. 이 가운데 어린이 등 선거권이 없는 인구를 뺀 유권자 숫자도 약 2억 2천1백만 명에 이릅니다. 2012년 대선을 기준으로 보면 더 보기

  • 2016년 9월 15일. [뉴욕타임스] 다이어트에 관한 과학적 답변

    체중을 줄이는 법, 줄인 체중을 유지하는 법에 관한 어떤 질문들은 끊임없이 나오고 또 나온다. 그에 대한 답변을 정리했다.
    더 보기

  • 2016년 9월 13일. [칼럼] 북한은 미치지 않았다. 지극히 합리적이다.

    옮긴이: 박근혜 대통령은 다섯 번째 핵실험을 감행한 북한에 대해 “김정은의 정신상태는 통제 불능”이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고립을 자초하며 아슬아슬한 외줄 타기식 벼랑 끝 전술을 고집하는 북한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체제 보장을 가장 우선으로 여겨 온 북한 정권이 그간 택한 전략은 지극히 합리적이라고 말하는 학자들이 많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뉴욕타임스의 막스 피셔(Max Fisher) 기자가 쓴 칼럼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앞서 지난 1월, 4차 핵실험 이후 존스홉킨스대학 한미 연구소 선임연구원인 조엘 더 보기

  • 2016년 9월 12일. [뉴욕타임스] 더 나은 내가 되는 15가지 방법

    뉴욕타임스 에디터들이 스타일 섹션을 샅샅이 훑어 추린 더 나은 삶을 사는, 더 나은 내가 되는 팁 15가지를 추렸습니다. 무엇을 입느냐부터 무엇을 소비하고 어떻게 사랑하느냐에 이르기까지, 당신의 삶을, 당신이라는 존재를 더 훌륭한 사람으로 만들어줄 지침들을 모아 정리했습니다. 한국어로 읽기 Read in English: 15 Ways to Be a Better Pe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