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페@스프] 기후변화로 인한 ‘변화’가 이 정도였어? 뜻밖의 결과들
2024년 6월 17일  |  By:   |  SBS 프리미엄  |  No Comment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4월 29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주말 내내 세계 각지의 이상기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에콰도르에서는 극심한 가뭄으로 에너지 비상사태가 선포되었고, 파키스탄과 두바이, 카자흐스탄에서는 이례적인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해수면 상승으로 삶의 터전이 눈앞에서 사라지는 바닷가나 폭우로 매년 여름 피해를 보는 강가, 더욱 빈번해진 초대형 태풍의 경로 한복판에 사는 사람이 아니라면 기후변화는 아직 크게 와닿지 않는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그야말로 가랑비에 옷 젖듯 세계 어디에서나 조금씩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문 번역: 우리는 기후변화의 영향력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나

환경 및 노동경제학을 연구하는 박지성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지난 16일 뉴욕타임스에 쓴 칼럼에서 바로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재난적인 피해 사례만큼이나, 서서히 누적되어 가는 작은 피해들로 인한 기후변화의 ‘숨겨진 비용’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죠.

박 교수가 칼럼에서 소개한 연구에 따르면 조금 더 더운 날이 며칠만 이어져도 산업재해 발생 건수가 늘어나고, 학생들의 학업 성적이 낮아집니다. 간담을 서늘케 하는 극적인 효과를 내는 재앙은 아니라도 모두 무시할 수 없는 기후변화의 위협입니다. 기록적인 폭염이나 태풍, 산불로 발생하는 직접적인 사망 건수만 기후변화의 피해가 아니라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박 교수는 역설합니다.

 

기후변화의 피해는 고루 미치지 않는다

또 다른 문제는 이처럼 “소소한” 기후변화의 피해마저 불평등하게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기후변화가 인류 전체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국제적인 논의가 시작되자, 지금까지 탄소를 마음껏 배출하며 기후변화 문제에 더 크게 기여한 국가와 기후변화 기여도가 낮음에도 처한 환경이나 낮은 경제력으로 인해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하는 국가 간의 불평등 문제는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비재난적 피해”는 같은 국가 안에서도 지역별로, 또 사회경제적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폭염이 며칠간 이어질 때 에어컨이 돌아가는 실내에서 일하는 사무직 노동자와 야외에서 일하는 육체 노동자의 피해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폭우가 쏟아질 때 집에 머물 수 있는, 혹은 집에 있어도 되는 사람과 생계를 위해 폭우를 헤치고 오토바이를 몰고 나서야 하는 사람이 체감하는 피해도 다르겠죠.

원래 더운 지역에 사는 사람과 서늘한 지역에 사는 사람은 더위를 느끼는 정도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더운 지역 사람들은 여름 기온이 1도(칼럼 원문에서 기온의 기준으로 삼은 화씨는 대략 섭씨 0.5도 정도니까 더 미세한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올라도 별 차이를 못 느낄지 모르지만, 서늘한 데 살던 사람은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겁니다.

영화 “기생충”은 이런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줬습니다. 지대가 낮고 배수시설이 열악해 비만 오면 침수되는 지역에 사는 주인공의 가족에게 폭우는 일상을 완전히 파괴하는 재난이었지만, 언덕 위 고급 주택가 주민들에게 평소보다 조금 많이 내린 비는 미세먼지를 씻어 내려주는, 고맙기까지 한 기상 현상일 뿐이었죠.

박지성 교수는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복잡한 피해 양상을 다면적으로 이해하고, 맞춤형 대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특히 기온이 오르는 건 피할 수 없는 미래이므로, 다양한 개인과 집단이 이에 효과적으로 적응해 갈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를 최소화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기후변화를 아예 되돌리고, 원천적으로 막기엔 이미 늦은 만큼 기후변화와 현명하게 공존하는, 기후변화를 살아내는 법을 익혀야 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올해도 유난히 변덕스러운 봄 날씨를 경험 중인 우리 사회는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장기적이고 미묘한 변화에 얼마나 잘 대비하고 있을까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첨단 기술에 대한 투자만큼이나 여름철 한낮 시간 야외 작업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정책을 입안하는 등 대비책을 미리 세워두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상기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