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연구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1/2)
2017년 9월 7일  |  By:   |  과학  |  No Comment

생물학자 에릭 버딘은 노화를 질병으로 생각합니다.

그의 연구팀은 세포 내에서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의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시트루인을 포함해 여러 효소를 발견한 바 있습니다. 또한 쥐에게 열량을 제한했을 때 시트루인이 활성화되어 미토콘드리아를 자극하며 노화 과정이 느려진다는 사실도 보였습니다. 이는 쉽게 말해, 쥐에게 음식을 주지 않음으로써 더 오래 살게 만들었다는 뜻입니다. 그의 연구는 열량이나 영양소를 이용한 기법이나 간헐적 단식과 같은 다양한 미토콘드리아 자극술에 영향을 주었지만, 그런 방법이 인간에게도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버딘은 미국에서 가장 큰 독립 노화 연구기관인 버크 연구소의 의장이자 최고경영자로 선임되었습니다. 마린 카운티의 자선사업가 레오나르드 버크와 베릴 해밀턴 버크의 자산으로 1999년 세워진 버크 연구소에는 노화를 늦추는 방법을 연구하는 25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벨기에의 의사 출신인 버딘은 지난 20년 동안 선충과 쥐에게서 발견된 현상을 인간에게 적용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습니다. “질병 없는 노화가 우리의 궁극적 목표입니다!” 그는 취임사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노틸러스와의 최근 인터뷰에서 버딘은 미래에 대한 낙관을 표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점점 더 오래 살 것이며 천천히 늙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의사의 역할 역시 바뀌게 될 것이라 말합니다.

 

Q: 최근 노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A: 1990년대에 일어난 사건들 때문입니다. 당시, 설명이 어려운 실험 결과를 보고한 세 연구팀이 있었습니다. 콜로라도 볼더 캠퍼스의 톰 존슨이 처음이었고, MIT의 레니 과렌테, 그리고 UCSF의 수 신시아 키년이 각각 수명을 늘리는 돌연변이를 발견한 것입니다. 이는 그동안 우리가 생각하던 노화라는 개념을 완전히 뒤바꾸는 발견이었습니다.

그때까지 우리는 노화를 마치 차가 녹이 슬듯 모든 것이 낡아가는 엔트로피 문제의 일종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1억 개의 염기쌍을 가진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유전자 하나를 바꾸었을 때 그 수명이 두 배로 늘어난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이 예쁜꼬마선충은 생물학 연구에 모델 동물로 쓰입니다. 그 결과는 수많은 사람을 흥분시켰습니다. 노화를 조절하는 경로가 존재한다면, 이는 여기에 관련된 단백질이 있다는 뜻이며, 또한 노화를 막는 신약을 개발할 수도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15년에서 20년 사이, 우리는 노화의 속도를 조절하는 주요 경로들을 다수 발견했습니다. 이는 몇 개의 물질을 발견함으로써 이루어졌습니다. 특정한 물질을 이용해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보인 이는 버크 연구소의 고든 리스고우입니다. 이후 수많은 발견이 잇따랐습니다.

최근 이들에 대한 임상 시험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런 사실들이 최근 노화 연구에 열기가 뜨거운 이유입니다.

 

Q: 당신은 최근 건강기 증가(health span)를 목표로 하는 버크 노화연구소의 의장이자 최고경영자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건강기 증가는 어떤 뜻인가요?

A: 버크 연구소는 건강기 증가만이 아니라 수명 증가(lifespan) 또한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수명만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지는 않습니다. 지난 100년 동안 수명은 10년마다 2년씩 늘었습니다. 1900년 당시 평균 수명은 47세였지만 현재 평균 수명은 77세에 이릅니다.

이는 그 자체로 놀라운 일이지만, 이렇게 늘어난 수명이 무조건 긍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만성질환이라는 새로운 전염병이 문제로 떠올랐죠. 알츠하이머, 파킨슨, 황반 변성, 관절염, 심장병, 뇌졸중, 암 등의 병들을 들어보았을 겁니다. 오늘날 미국과 대부분의 서구에는 노인이 되어가는 수많은 사람이 있지만, 이들이 모두 높은 삶의 질을 누리는 것은 아닙니다.

 

Q: 이런 기적적인 수명의 증가가 계속될까요? 아니면 한계가 존재할까요?

A: 아직은 한계가 존재하며, 그 한계는 아마 115~120살 정도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지구상에 살았던 사람은 1천억 명에 달하지만, 그중 120살을 넘긴 사람은 122살까지 살았던 장 칼망 한 명입니다. 두 번째로 오래 산 사람은 119살까지 살았습니다. 이는 사람의 수명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뜻이겠죠. 어떤 연구는 우리가 지난 세기 동안 평균 수명을 계속 증가시켰지만, 115세를 넘긴 사람의 수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는 인류가 어떤 한계에 이미 도달해 있음을 말해줍니다. 물론 그 정도도 충분히 대단한 것이지요. 만약 모든 사람이 110살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고 마지막 5년만 질병으로 고생할 수 있다면 대부분 사람은 여기에 만족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한계가 미래에도 변치 않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나는 30년 동안 실험생물학을 연구해 왔습니다. 오늘날 생물학의 수준은 30년 전 내가 처음 생물학 연구를 시작할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우리가 30년, 50년, 100년 뒤에 어떤 것을 가능하게 만들지는 상상할 수 없습니다. 이 점 때문에 나는 인간은 절대 120살을 넘길 수 없다는 주장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 연구소와 나 개인의 목표는 10년마다 평균 수명을 2년씩 늘려 온 그 흐름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Q: 최근 실리콘밸리에서는 많은 이들이 수명 연장을 이야기합니다. 여러 스타트업들이 불사(immotality)의 약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런 수명 연장의 이득을 모두가 볼 수 있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우선 불사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믿지 마십시오. 어떤 약으로도 이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는 것입니다. 이는 젊음의 샘이나 성배(holy grail) 비슷한 것입니다. 영화 소재로는 적당하고, 재미있는 글도 쓸 수 있겠지만, 사실 우리는 1,000년 전과 비교해도 불사에 전혀 가까이 가지 못했습니다. 나는 이 개념은 말이 안 된다고 보며, 이런 단어는 배척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접근성의 문제는 수명 연장만이 아니라 모든 의료 기술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우선 안전한 약을 만드는 데는 극히 많은 돈이 듭니다. 대부분은 약 하나를 개발하는 데 1조 원가량이 필요합니다. 다행히 오늘날 특허 제도는 신약에 대한 특허를 15년만 인정합니다. 이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스타틴 같은 약에는 짧은 시간입니다. 처음에는 매우 고가로 시작하지만, 많은 사람이 쓰게 되고 곧 특허가 풀려 누구나 구할 수 있게 됩니다. 나는 의학의 비용에 관한 문제를 이해하지만, 이 때문에 이 분야를 연구해서는 안 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불평등에 대한 또 다른 사실은 수명을 줄이는 가장 큰 위험 요소가 바로 사회경제적 위치라는 것입니다. 가난 또한 매우 큰 위험 요소입니다. 전체 사회를 위해서라면 제약회사를 돈을 밝힌다고 비난하는 것은 답이 되지 않는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오히려 사회적으로 가난을 해결하는 데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것이 모두가 더 오래 살 수 있는 길입니다.

2부로

(노틸러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