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주제의 글
  • 2020년 8월 25일. 호주의 태양광으로 아시아에 전력을 공급하는 160억 달러(19조 원) 규모 프로젝트

    호주에서 대규모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해저 케이블로 싱가포르까지 전기를 전송하려는 프로젝트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과연 재생에너지가 대륙을 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될까요?
    더 보기

  • 2019년 9월 23일. 기후변화, 민주주의보다 독재 체제가 더 잘 대응할 수 있을까?

    아시아는 현재 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지역입니다. 1위 배출 국가인 중국과 3위인 인도를 비롯, 일본, 한국, 인도네시아 등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죠. 아시아는 또한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티벳의 빙하가 녹고 있고, 강우가 불규칙해진데다, 태풍은 거세지고, 자카르타, 마닐라, 샹하이 같은 거대 도시들이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받고 있으니까요. 보수 정권이 들어선 호주 정도를 제외하면, 아시아 국가의 정부들은 대체로 기후 변화라는 도전 과제를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호주의 케이스는 아시아의 권위주의 정부는 더 보기

  • 2017년 12월 11일. [칼럼] 호주의 정치 지형, 기존의 진보 대 보수 구도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호주 동성 결혼 법제화는 총리를 지낸 토니 애벗의 정치 인생에서 큰 패배의 순간이었습니다. 적극적으로 동성 결혼 법제화 반대편에 섰던 인물 중 가장 무게감 있는 인물이었으니까요. 그는 총리 임기 중에도 관련 법안을 막기 위해 갖은 애를 썼습니다. 현 총리인 맬컴 턴불 역시 애벗의 전략을 그대로 계승했습니다. 자발적이고 구속력 없는 여론조사를 실시했죠. 그 결과는 수년간 각종 여론조사가 보여주었던 결과를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60% 안팎의 호주 시민들이 동성 결혼 법제화에 찬성한다는 결과였죠. 곧바로 의회에서 더 보기

  • 2017년 5월 17일. 호주 부동산 재벌, “내 집 마련하고 싶으면 아보카도 바른 토스트 사 먹지 마”

    백만장자(millionaire)가 요즘 젊은 세대(millennial)에게 건넨 조언치고는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조언이었고, 즉각 엄청난 비난이 봇물 이루듯 쏟아졌습니다.
    더 보기

  • 2017년 1월 10일. [칼럼] 역사를 인정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소설가 앤젤라 플러노이(Angela Flournoy)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입니다. 호주에서 열린 세계작가회의 참석을 계기로 저는 호주의 행사 시작 의례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패널 토론에 앞서, 긴 비행과 시차로 지친 200여 명의 참석자 앞에 등장한 자원봉사자는 “원래는 호주 원주민들의 땅이었던 이곳에 오신 것을 환영한다”는 말로 운을 뗐습니다. 단숨에 우리가 서 있는 공간의 시간을 제국주의 이전으로 되돌리는 인사말로, 제게는 아주 생소한 경험이었습니다. 호주에서는 이 의례를 “국가의 인정(acknowledgement of country)”이라고 부른다고 했습니다. 호주에 머무른 더 보기

  • 2016년 5월 24일. 안전한 여행지로 알려진 한국, 여성 여행자에게는 다릅니다

    23일 호주 TV 채널인 나이네트워크(Nine Network)에서 방송된 시사 프로그램 <60분(60 Minutes)>에서는 휴가 차 한국을 방문했다가 끔찍한 일을 겪은 호주 여성의 이야기를 다루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10월 6일. 호주의 총기 규제 정책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미국에도 적용될 수 없습니다

    오바마 대통령과 총기 규제론자들은 호주의 총기 규제를 성공 사례로 자주 언급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총기 규제 반대론자들과 보수 언론은 상반된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30일. 호주 법조계에는 ‘유리천장’ 아닌 ‘대나무천장’이 있습니다

    호주 법조계에는 아시아계 변호사들이 고위직에 오를 수 없는 환경, 이른바 '대나무 천장'이 존재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16일. 호주, 파력발전(Wave power)의 미래

    수 세기 동안, 위도 40~50도에서 부는 편서풍은 유럽에서 아시아로 향하는 수많은 항해에 사용되었습니다. 호주의 한 기업은 이 편서풍을 이용해서 미래의 에너지 지도를 통째로 바꾸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카네기 웨이브 에너지(Carnegie Wave Energy) 사는 편서풍이 만들어내는 파도를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회사가 개발한 CETO라는 시스템은 수면 1~2m 아래에 부표를 띄우고 이 부표의 상하 움직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11미터 크기의 부표는 더 보기

  • 2014년 12월 16일. 테러에 대한 과잉반응은 바로 테러범이 원하는 것입니다

    테러범은 공포를 조장하고, 과잉반응을 불러일으키려는 목적으로 테러를 일으킵니다. 과잉반응은 테러범에게 성공의 지표입니다.
    더 보기

  • 2014년 11월 5일. G20 앞둔 호주, 공항 광고 선별 규제로 논란

    이번 달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브리즈번에서는 벌써 세 건의 공항 옥외 광고가 정치색을 띤다는 이유로 게재를 거절당했습니다. 그런데 거대 에너지 기업인 셰브론과 퀸즐랜드 주정부의 광고는 "정치색"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통과되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9월 24일. 투표, 선택인가 의무인가

    서구에서 투표율이 떨어지는 것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닙니다. 미국에서는 1968년 이후 투표율이 60%를 넘긴 대선이 없고, 영국에서도 60년 전보다 총선 투표율이 20%p나 떨어졌죠. 하지만 호주에서는 지난 9월 7일 총선 투표율이 91%에 달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호주에서는 투표가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투표 참여가 의무이거나 의무였던 나라는 호주를 비롯해 38개국에 달합니다. 미국 조지아 주도 1777년에 “합당한 이유” 없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법을 만들었지만, 실제로 엄격하게 집행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 법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곳도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