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주제의 글
-
2017년 12월 15일. 예루살렘 이스라엘 수도 인정은 무모한 결정이다
예루살렘은 천상과 지상이 공존하는 신성하고도 죄악스러운 곳이다. 탈무드에는 “신이 아름다움의 척도 열 가지를 세상에 주었는데, 그중 아홉 가지를 예루살렘이 가졌다”는 구절이 있다. 그러나 때로는 신이 고통의 척도 열 가지를 세상에 주었는데 그중 아홉 가지를 예루살렘이 가진 것처럼 보인다. 중세시대의 아랍 지리학자 알 무카다시는 예루살렘을 “전갈이 득실거리는 황금빛 그릇”에 비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6일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공식 수도로 인정한다고 발표했고,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시작할 더 보기 -
2015년 7월 20일. 이스라엘 탱크를 향해 돌을 던지던 팔레스타인 소년, 비올라를 들고 평화를 연주하다
람지가 원하는 건 대단히 거창한 무언가가 아닙니다. 그가 처음 미국에 갔을 때, 프랑스에 갔을 때 목격했던 그저 평범한 삶과 일상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도 허락되는 것입니다. 그는 남들에겐 지극히 평범한 일상이 허락되지 않은 비정상적인 상태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저항의 뜻을 담았다는 데 있어서는 28년 전 손에 쥐었던 돌멩이와 지금 들고 있는 비올라가 다르지 않다고 말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21일. 이스라엘 불매 운동은 반유대주의인가?
우리가 경계해야 하는 맹목적인 반유대주의와 불매 운동(BDS)은 다릅니다. 하지만 타협의 여지가 부족한 불매 운동은 어느덧 반세기도 더 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별 도움이 안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보기 -
2014년 9월 18일.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주민의 성적 취향을 수집하는 이유
미국 NSA는 도청 대상자의 포르노 사이트 접속 내역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주민의 성적 취향과 신체 비밀을 수집했습니다. 무슨 목적이었을까요? 더 보기
-
2014년 8월 21일. 유대인 영화제를 거부해야 할까요?
최근 한국에서 이스라엘 영화 보이콧 논쟁이 있었습니다. 영국에서도 아주 비슷한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팔레스타인 학살 문제로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영국 유대인 영화제를 두고 벌어진 찬반 토론 내용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20일. 가자 지구 사태, UN의 침묵은 UN의 실패
냉전 종식 후 UN은 코소보, 소말리아, 시리아, 아프간 등 여러 지역의 분쟁에 개입했지만, 팔레스타인만은 예외였습니다. 알자지라의 선임 정치 분석가 마르완 비샤라(Marwan Bishara)는 팔레스타인 사태의 지속이 곧 국제 기구의 실패라고 지적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4일. 언론은, 기자는 어디까지 객관적일 수 있는가? 어디까지 객관적이어야 하는가?
가자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학살을 두고 객관적 보도,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은 어쩌면 우리 모두가 완전히 미쳐있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언론은 분노와 슬픔, 감정까지도 가감없이 전달해야 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4일. 왜 시리아는 놔두고 이스라엘만 욕하냐구요?
시리아 학살에는 무관심했던 사람들이 왜 팔레스타인 폭격 문제만 그토록 관심이 많냐? 이스라엘을 옹호하는 쪽에선 곧잘 이런 주장으로 상대를 공격합니다. 국제관계전략연구소 파스칼 보니파스 소장은 이런 인식에 큰 오류가 있다고 말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7월 29일. 이스라엘 정보국 전 국장과의 인터뷰 (슈피겔)
유발 디스킨은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이스라엘 국내정보국(신베트) 국장을 지냈습니다. 국내정보국은 국외정보국(모사드)과 함께 이스라엘 양대 정보기관으로 꼽힙니다. 그는 지난 7월 24일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 인터뷰에서 이스라엘 정부와 하마스 모두를 비판했습니다. 팔레스타인 사람은 동의하기 힘든 내용도 있지만, 온건파 이스라엘인의 생각을 듣는 차원에서 뉴스페퍼민트가 번역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7월 28일. 이스라엘판 괴벨스, 단어의 마술로 미디어를 속여라
이스라엘의 홍보 기술이 발전한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비밀리에 작성된 홍보 전략 문건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른바 '미디어 전쟁의 최전선에서 싸우는 사람을 위해' 제작된 이 홍보 전략 문건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단어를 골라 쓰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비밀 문건의 내용을 공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7월 25일. 전쟁 반대와 불매운동
“가자 지구를 위해 코카콜라(Coca Cola)를 마시지 맙시다. 우리는 전쟁(을 암묵적으로 지원하는 기업)에 힘을 보태지 말아야 합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폭격과 침공을 규탄하는 내용의 트윗입니다.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이스라엘이나 전쟁에 반대한다는 내용에 다국적 대기업인 코카콜라 불매운동을 연결시켰습니다. 이스라엘과 관련된 상품을 사지 말자는 “이스라엘 불매운동”은 꽤나 잘 정비된 조직으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공습이나 탄압 수위에 발맞춰 그 세가 불어났다 줄었다를 반복했습니다. 지난 2005년부터는 한 단계 더 나아간 조직이라 할 수 있는 “불매, 더 보기 -
2014년 7월 18일. 유독 그날 팔레스타인 아이의 죽음이 세상에 알려진 이유
알 데이라 호텔은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서 체류 중인 서양 기자가 늘 머무는 곳입니다. 특파원들이 이 호텔을 좋아하는 이유는 맛 좋은 식사와 원활한 와이파이 등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건 아무튼 지금 영업 중이라는 사실입니다. 다른 호텔은 최근 (이스라엘의 공습과 물자 차단 때문에) 문을 닫았습니다. 이 호텔은 전망도 멋져서 테라스에 서면 넓은 백사장과 푸른 지중해를 보게됩니다. 하지만 지난 수요일 오후, 기자들은 불행히도 전혀 다른 걸 봤습니다. 아이 넷이 해변에서 죽었습니다. 무함마드 바케르(9),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