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질서" 주제의 글
-
2025년 5월 9일. [뉴페@스프] “마시멜로 테스트에 막힌 78세 대통령”…되풀이되는 돌발행동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3월 18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지난주 아일랜드의 미할 마틴 총리를 백악관으로 초청해 정상회담을 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다 불편한 심기를 노골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영상 4분 11초부터) 이웃 나라에 대해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했다가 유예하는 등 이랬다저랬다 하는 관세 정책을 두고 일관성이 없다(inconsistent)는 지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질문하는 기자를 향해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말을 더 보기 -
2020년 6월 29일. 창설 75주년을 맞이한 유엔의 미래는? (1)
이코노미스트 원문보기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하기 몇 주 전, 윈스턴 처칠은 백악관을 방문 중이었습니다. 당시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이 새로운 국제안보기구의 이름으로 적당한 것이 떠올라 손님방으로 허둥지둥 달려갔고, 목욕 가운만 겨우 걸친 영국 수상을 만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옵니다. “유엔(United Nations)”이라는 명칭의 유래에 관한 이 이야기의 놀라운 점은 국가 정상들 간의 이례적인 소통 방식이 아니라 (현대의 미국 대통령이라면 자신이 떠올린 좋은 아이디어를 트위터에 올렸을지도 모르겠네요) 이 전쟁통에 정상들이 이미 평화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더 보기 -
2014년 7월 14일. 우크라이나 사태, 이라크 내전, 중국 분쟁의 공통점
요즘 뉴스를 보노라면 우크라이나 사태, 이라크 내전, 남중국해 분쟁 관련 기사가 국제면을 뒤덮고 있습니다. 이 세 이슈는 언뜻 연관성이 없어 보입니다만, 혹시 공통점은 없을까요? 미국 바드칼리지의 월터 러셀 미드 교수는 최근 <포린 어페어>에 기고한 글 ‘지정학의 귀환’에서 위의 세 사건에 공통점이 있다고 말합니다. 미국 중심 국제 질서에 대한 도전입니다. 소련 붕괴 이후 자리 잡은 세계 질서엔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경제 체제 세계화, 다자간 기구의 등장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특징으로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