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주제의 글
  • 2023년 9월 13일. 노인이 대세가 되는 ‘정해진 미래’, 발상을 바꿔본다면?

    인구 구조의 고령화는 흔히 문제로 여겨지곤 하지만, 과학기술과 의술이 발달해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레 나타난 현상이기도 합니다. 노화를 막거나 늦추는 일이 사업 기회가 되기도 하지만, 또한 점점 늘어나는 장년,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업에도 고령화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뉴욕타임스 IT 칼럼니스트 파라드 만주가 지적한 바에 따르면, 미국 실리콘밸리의 테크 기업들은 나이 든 소비자를 상당히 등한시합니다. 만주의 칼럼을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였습니다. 전문 번역: 테크 사랑하고 돈도 있지만 실리콘밸리가 외면하는 고객층 해설: 노인이 더 보기

  • 2015년 2월 24일. 줄 서서 기다리는 것의 경제학

    상점 주인들을 줄이 길다고 해서 바로 가격을 올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것이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더 보기

  • 2015년 1월 7일. 온디맨드(On-Demand) 경제학

    기술의 확산과 사람들의 사회적 습관 변화가 온디맨드 경제의 확산을 가속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와 공급자를 연결해주는 중간자 역할을 하는 기업이 성행하면서 평생 고용이나 직업의 안정성과 같은 개념은 점점 약화할 것이며 기업이 담당하는 책임이 개인으로 전가되는 현상도 가속화될 것입니다.
    더 보기

  • 2014년 12월 17일. 아베크롬비앤피치의 실적 부진, 인종차별 때문만이 아닙니다

    소수자와 뚱뚱한 사람들은 브랜드가 추구하는 "쿨함"에 어울리지 않는다고해 논란을 빚었던 CEO 마이크 제프리스가 20년만에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아베크롬비앤피치의 고민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올해 3분기에만해도 매출이 12%나 떨어졌으니까요.
    더 보기

  • 2014년 12월 4일. 우리가 알던 소셜미디어는 이미 과거형입니다

    새로운 소셜미디어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급변하는 소셜미디어 환경과 그 변화를 이끄는 추세에 대해 MIT Sloan Management Review가 분석한 글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4년 6월 26일. 소셜미디어에서의 광고는 과연 효과가 있을까?

    소셜미디어 광고 시장은 지난해 미국에서만 5조 원 이상의 규모를 자랑할 만큼 가파른 성장세에 있습니다. 이 추세대로라면 2018년까지 미국 내 소셜미디어 광고 시장은 현재보다 3배 신장한 15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 하지만, 이처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광고 집행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다는 설문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세계 최대의 조사네트워크 갤럽(Gallop)은 얼마전 ‘미국 소비자 동향(State of the American Consumer)’이라는 주제로 소셜미디어 광고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소비자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5월 16일. 명품 가게에서는 손님한테 좀 쌀쌀맞아야 물건이 더 잘 팔린다?

    이른바 명품점이라 불리는 비싼 사치재 가게에서 점원에게 (여기서 물건을 살 만한 돈도 없어 보이는데 왜 오셨냐는 표정과 말투로) 은근히 무시를 당하면 소비자들은 어떤 기분이 들까요? 화를 내거나 속으로 발끈하며 분해 하겠죠. 그리고 나서는 욕을 내뱉으며 가게를 박차고 나올까요? 아니면 점원에게 과시라도 하듯이 물건을 사며 재력을 과시할까요? 최근 발표된 한 연구 결과, 해당 브랜드를 동경하고 어떤 물건이 마음에 들어 사고 싶던 손님의 경우에는 명품 가게에서 무시를 당했을 때 후자의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더 보기

  • 2014년 2월 26일. 익명 SNS 위스퍼, 소비자 조사 도구로 안성맞춤

    소비자 조사란 어려운 일입니다. 연구자와 소비자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적 역학관계 때문이죠. 사람들은 질문을 받으면 자신이 정말로 생각하는 것을 말하기 보다는 상대가 듣고 싶어하는 것, 또는 스스로 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늘 소비자 조사처럼 보이지 않는 조사 방식을 만들어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이고요. 하지만 최근 떠오르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위스퍼(Whisper)를 활용하면, 이런 어려움 없이 의미있는 소비자 연구가 가능합니다. 위스퍼는 간단히 말해 익명 트위터, 익명 페이스북입니다. 이 익명의 더 보기

  • 2013년 10월 22일. 와이파이는 당신이 마트에서 한 일을 알고 있다

    “(손님들은) 보통 계산대에서 2분 정도를 보냅니다. 전체 고객의 절반 정도는 평균 일주일에 두 번 장을 보러 오죠. 10%는 아무 것도 안 사고 빈 손으로 나갑니다. 사려던 물건을 못 찾았기 때문일 거예요. 마트 오른편에 마련한 세일 코너가 왼편에 마련한 코너보다 훨씬 좋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여기 보시면 고객들이 어디에 오래 머무는 지 알 수 있어요.” 한 마트 점장이 가게의 도면과 함께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을 줄줄이 읊어줍니다. 도대체 점장은 이렇게 상세한 정보를 어떻게 더 보기

  • 2013년 8월 29일. 아디다스와 ReD의 실험과 도전

    “새로 나온 휴대폰에 70개가 넘는 많은 기능이 있다고 칩시다. 소비자들이 정말로 그 기능을 전부 100% 활용할까요? 아니, 무슨 기능이 있는지 정확히 알기나 할까요? 스포츠용품도 마찬가집니다. 신기술을 접목하는 데 그렇게 온 힘을 쏟아부을 필요는 없어요.” 2004년 오슬로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덴마크 출신의 컨설턴트 라스무센(Mikkel Rasmussen)을 만난 아디다스의 창의 개발 업무 담당자(Creative Director) 칸즈(James Carnes)는 그의 말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디다스는 이내 라스무센이 세운 컨설팅회사 ReD와 지속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했고, 업계 1위 나이키를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