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주제의 글
  • 2024년 3월 5일. 습관처럼 익숙한 것 너머를 쳐다볼 때 비로소 보이는 것

    인류는 수없이 많은 문제를 안고 살아갑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끔찍한 문제를 제대로 문제로 인식하지도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쩌다 우리는 이토록 주변의 문제에 둔감해진 걸까요? 신경과학자 탈리 샤롯과 “넛지”를 쓴 법학자 캐스 선스타인이 우리 뇌가 작동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설득력 있는 가설을 제기했습니다. 때로는 무언가에 너무 쉽게 익숙해지고 길들여지기를 거부할 수 있어야 문제를 풀어내는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전문 번역: 사람들은 왜 눈앞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일에 둔감한 걸까? 해설: 습관처럼 익숙한 것 너머를 쳐다볼 때 더 보기

  • 2022년 4월 14일. [필진 칼럼] 호전적인 우리 뇌와 인간의 약점

    브랜다이스 대학의 석좌교수인 마리 피츠더프의 새 책 “전쟁하는 뇌(Our Brains at War)”는 인간의 본성인 자기 집단을 위한 이기심이 상상 이상으로 매우 강력하다는 사실을 여러 최신 연구 결과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피츠더프 교수는 이를 바탕으로 국민이 자신들을 대표할 정치인을 고르는 방법과 또 국가 간의 전쟁이 시작되는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인간의 본성이란, 인간의 생리적, 유전적 특징들이 다른 집단에 대한 반감을 매우 쉽게 가지도록 만들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우리의 본성은 우리가 더 보기

  • 2022년 3월 28일. [필진 칼럼] 귀신을 보게 되는 이유

    할로윈 데이가 지난 뒤 11월 초에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썼던 글입니다.   세상의 많은 일은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따라서 어떤 현상의 원인을 딱 하나만 꼽기는 쉽지 않습니다. 우리 마음과 관련된 현상이라면 더 그럴 것입니다. 그리고 그 마음이 조금 이상한 상태라면 더욱더 그렇겠지요. 사람들은 귀신을 봅니다. 아마 인류의 조상이 언어를 사용하고 자연 현상의 이유를 생각하기 시작한 이래 사람들은 우리가 알 수 없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해답으로 귀신을 더 보기

  • 2021년 9월 7일. 10년 넘게 말 못 하던 환자,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말하기에 성공하다

    말하는 능력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연구진은 사람의 뇌에 전극을 부착해 뇌 신호를 컴퓨터 화면에 표현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15년 전부터 말을 못 하게 된 참가자의 두뇌 활동을 컴퓨터에 기록해 이 남성이 말하려는 단어의 47%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단어 자동 교정 기능과 비슷한 알고리듬을 활용하면 정확도가 76%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번 연구에 자금을 지원한 페이스북은 모자나 옷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로 우리의 생각을 화면에 표현하는 최종 목표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과연 텔레파시의 꿈이 이뤄질까요?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8월 8일. 뇌의 성차를 발견하는 연구들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2/2)

    (Grace Huckins, 와이어드) 원문 보기 그러나 회백질의 크기가 어떤 의미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이를 지지하는 증거들도 있습니다. 20여년 전, 런던대학의 과학자들은 당시 크게 인기를 끈 런던의 택시 운전사에 대한 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런던의 택시 운전사들은 복잡한 도시의 수많은 길을 자신의 기억력에 의존해 찾아가야 했는데, 이들의 해마가 남들보다 확실하게 더 컸던 것입니다. 해마는 공간기억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뇌 영역의 크기가 그 영역이 관련된 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음을 보인 것으로 더 보기

  • 2020년 8월 8일. 뇌의 성차를 발견하는 연구들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1/2)

    (Grace Huckins, 와이어드) 원문 보기 아민 라즈나한은 성차에 관한 연구를 택한 것이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NIH의 발달뇌유전학 부서장인 그는 성차에 관한 연구는 의도치 않은 반향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일찌감치 배웠습니다. “시작부터 호된 신고식을 치렀죠.” 그는 박사과정때 남자와 여자의 뇌가 가진 구조적 차이와 이 차이가 성장 과정에서 어떻게 바뀌는지를 연구했습니다. “우리는 분명한 차이를 보았지만, 이 차이가 어떤 기능적 차이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매우 조심스럽게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시 월스트리트 저널에는 더 보기

  • 2019년 8월 2일. 약속을 지키지 못한 인간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

    2009년 7월 22일, 영국 옥스포드에서 열린 TED글로벌 행사에서 뇌과학자 헨리 마크람은 청중들에게 엄청나게 복잡한 인간의 뇌를 컴퓨터에서 시뮬레이션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커다란 목표를 정했습니다. “어쩌면 이를 통해 우리는 인식을 이해하고, 실재를 이해할 뿐 아니라, 물리적 실재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가 정한 기한 또한 대담했습니다. “우리는 이를 10년 안에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성공한다면, 우리는 이 인공 뇌를 TED에 등장시켜 여러분과 이야기하게 만들겠습니다.” 이제 그가 말한 10년이 지났습니다. 더 보기

  • 2019년 7월 9일. [책] 무의식은 없다(“The Mind Is Flat”) (2/2)

    Q: 무슨 말인지 알겠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당신이 왜 그렇게 무의식에 대해 비판적인지를 잘 이해하지 못하겠네요. 우리의 의식적인 생각과 행동은 과거의 기억과 오래된 습관의 영향을 받지 않나요? 그런데 어떻게 무의식을 위험한 환상이라고만 말할 수 있나요? A: 내가 무의식을 위험한 비유라 생각하는 것은 이 비유가 마치 무의식의 정신 상태가 의식을 통해 드러나게 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무의식에 속한 무언가를 밝혀 의식으로 끌어 올린다는 생각에는 무의식과 의식이 같은 형태의 무엇이라는 가정이 포함되어 더 보기

  • 2019년 7월 9일. [책] 무의식은 없다(“The Mind Is Flat”) (1/2)

    오늘날 하루가 멀다하고 뇌에 관한 책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책들을 다 읽다가는 혼수상태에 빠지게 될 정도지요. 영국의 행동과학자 닉 채터의 “무의식은 없다(The Mind Is Flat)” 또한 그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집어 들었습니다. 적어도 제목은 흥미롭기는 했지요. 하지만 첫 페이지를 펼치자마자 나는 이 책에 빠져들기 시작했습니다. 어쩌면 서두에 소개된, 안나카레니나의 마지막 부분과 그녀가 왜 자살했는지 묻는 질문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 만약 열차가 급 브레이크를 밟아서 안나가 더 보기

  • 2019년 5월 1일. 뇌의 성차를 부정하는 이들 – 지나 리폰의 “The Gendered Brain”에 대해 (2/2)

    리폰은 2014년 PNAS에 실린 펜실베니아 대학의 마두라 잉갈리카와 라켈, 루벤 거 등이 수행한 인간 뇌 연결성에 대한 기념비적인 연구를 완전히 잘못 해석했습니다. 그들은 표준적인, 매우 확실한 분석 방법을 사용해 뇌량에 관한 발견을 포함한 다른 이들의 초기 연구를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리폰은 그들의 성과를 묘사하는 방식을 비판하지만, 사실 잉갈리카가 사용한 방식은 매우 적절하며, 어떠한 맥락에서도 문제가 될 수 없는, 명확한 정의에 의한 것입니다. 잉갈리카 등은 자신들이 발견한 해부학적 결과가 행동적인 측면에서 더 보기

  • 2019년 5월 1일. 뇌의 성차를 부정하는 이들 – 지나 리폰의 “The Gendered Brain”에 대해 (1/2)

    어느날 네이처 지의 표지에 이런 말이 써 있었다고 해봅시다. “인간이 진화의 산물이라는 그릇된 믿음”. 지난 15-20년 동안의 뇌 기능에 대한 성차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은 최근 네이처에 실린 한 기사의 제목을 보고 같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바로 “뇌성차별주의: 남자와 여자의 뇌가 다르다는 그릇된 믿음”이라는 제목과 “뇌의 남녀 차이를 찾는 것은 나쁜 연구의 전형이다”라는 부제였습니다. 이 기사는 알고보니 뇌의 성차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파헤친다고 주장하는 책에 대해 맞장구를 치는 내용의 더 보기

  • 2019년 3월 8일.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 것이 당기는 이유

    뇌의 무게는 체중의 2% 밖에 되지 않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필요로하는 탄수화물의 절반을 소비하며 그 중에서도 포도당은 가장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스트레스가 심할때 뇌는 12%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하며 사람들이 단 것을 찾는 이유는 바로 이때문입니다. 탄수화물은 인체가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입니다. 실제로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들은 음식을 먹기 전의 인지능력 테스트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음식을 먹은 뒤에는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왔습니다. 배가 고플 경우 뇌 전체가 활성화 됩니다. 그 중심에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