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5월 28일
거리나 높이, 경사 같은 객관적인 물리적 현실에 대해서도 우리는 자신의 상황과 처지에 따라 다르게 판단합니다. 이는 진화적으로 그런 착각이 우리의 생존에 더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8일
시험관 시술은 많은 불임부부에게 가족의 기쁨을 알려준 혁명적인 기술입니다. 그러나 시험관 시술은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수정란을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남겨진 수정란의 처리와 같은 도덕적인 문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7일
새들은 사람의 엄지손가락처럼 다른 발가락과 마주 보고 있는 엄지발가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특하게 적응한 이 발가락을 이용해 새들은 물건을 집거나 횃대에 올라앉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새들의 조상인 공룡의 엄지발가락은 작고 다른 발가락들과 마주 보고 있지 않으며 개나 고양이의 며느리발톱과 비슷하게 바닥에 닿지도 않습니다. 재미있게도 새의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은 이 진화의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새의 발가락은 발생 초기에 공룡의 발가락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가 나중에 기저부, 즉 중족골이 틀어져서 발가락이 마주 보는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7일
프랑스 의회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방안으로 대형 슈퍼마켓들이 안 팔린 제품을 버리거나 파기시키는 것을 금지하고 대신 자선 단체에 기부하거나 동물들의 사료로 쓰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7일
효모는 인류 역사를 통틀어 지대한 공헌을 해온 미생물일 뿐 아니라, 인류와 유전적 조상을 공유하는 먼 사촌간이기도 합니다. 최근 텍사스 오스틴의 연구팀에서 인간의 유전자를 효모의 유전자와 바꿔치기한 후 그 기능을 시험해본 결과, 완벽하게 작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인간에게서 발견되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에 임상적인 문제가 있는지 시험해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7일
IoT 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7일
Io9 은 SF 같지 않은 SF 9권을 추천했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6일
결혼 평등의 실현은 동성애자들도 이와 같은 우정과 대화, 자녀 양육의 좋은 점들을 누리고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사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이기에 중요합니다. 동성 결혼 법제화는 모두에게 신뢰와 사랑을 허용하고 독려하는 길입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6일
지난 13일 발생한 필라델피아 암트랙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유럽이나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철도 안전 점검 예산을 유난히 낮게 편성해 온 암트랙임을 감안하면 이번 일은 어느 정도 예견된 사고였다고 입을 모읍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6일
미국은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을 통해서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기존의 무역 협정이 다루지 못한 서비스나 지적 재산권과 같은 문제들을 이번 협정에 포함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6일
에반 업튼의 라스베리 파이는 2만 원이면 살 수 있는 소형 컴퓨터입니다. 그러나 이 컴퓨터는 운영체제를 올릴 수 있고,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습니다. 주변기기를 연결해 컴퓨터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수 있습니다. 파퓰러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 라스베리 파이가 어떻게 아이들에게 직접 무언가를 만들게 하는지 설명했습니다. → 더 보기
-
2015년 5월 26일
봄날의 꽃가루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쾌한 반응을 일으킵니다. 사람들은 콧물을 흘리고 재채기를 하며 때로는 피부를 긁기도 합니다. 왜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꽃가루로부터 피해를 입는 것일까요? 라이브 사이언스가 이 문제에 대한 답변들을 소개했습니다. 우선 첫 번째 이론은, 우리가 어린 시절에 많이 노출된 어떤 대상에 대해 알러지를 가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알러지는 우리 몸에 해로운 대상을 퇴치하려는 면역 반응의 결과입니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는 해롭지 않은 대상을 적으로 삼게 될 수도 있지요.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에는 다시 두 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하나는 감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때 노출된 다른 무언가를 면역 시스템이 오인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위생 가설”이라는 것으로 너무 깨끗한 상황만을 겪으며 자란 이들의 면역 시스템이 충분한 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