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분류의 글
-
2020년 12월 15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자본주의, 더 나은 회복을 위하여 (2/2)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각국은 천문학적인 금액을 위기 대응과 경기 부양에 쏟아붓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의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과연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 목표가 돼야 할까요?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세계는 위기를 촉발한 금융시스템에 3조 달러가 넘는 금액을 지원했습니다. 그 결과 위기에 책임이 있던 금융기관들이 살아남았고 경제 회복의 과실을 오롯이 누렸습니다. 하지만 정작 세금으로 금융시스템을 떠받친 국민들에게는 아무런 이익이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이번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기를 기회로 활용해 자본주의를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할 수는 없을까요? 자본주의 개조를 주장하는 포린 어페어스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2월 8일. 성큼 다가온 자율주행차 시대, 상용화는 아직
자율주행 기술이 발달하면서 무인 자동차의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최근에는 인간 보조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는 진정한 무인 자동차가 실전 테스트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아마존, 테슬라, 구글 등 빅테크 기업과 오로라, 앱티브 등 자율주행 분야 스타트업은 물론, 현대자동차, GM, 폭스바겐을 비롯한 자동차 회사도 자율주행 개발 경쟁에 참전하며 치열한 주도권 다툼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가 대규모로 상용화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의 개발 현황과 미래 전망은 어떨까요?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2월 1일. 아시아의 자유무역협정 RCEP 체결, 수혜국은 어디일까?
전 세계 인구의 30%와 글로벌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FTA인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이 체결됐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국가연합, 호주, 뉴질랜드 등 15개국이 지난 15일 화상 회의를 통해 협정에 서명하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각국의 비준을 거쳐 RCEP이 발효되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제와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이 주도한 RCEP 타결로 중국의 영향력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과연 이번 협상으로 어느 나라가 이익을 얻게 될까요? 이코노미스트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1월 24일. 글로벌 에너지 메이저 기업, 수소에 통 큰 배팅
글로벌 탈 탄소 흐름과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화석연료 산업이 쇠퇴기에 접어들면서 에너지 분야의 기존 대기업들이 수소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아직 수소 산업이 넘어야 할 장애물이 적지 않지만, 탄소배출을 줄이는 미래의 유망 에너지원으로 잠재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한 에너지 전문가의 평가입니다. “수소를 대량으로 이용하려면 생산시설뿐만 아니라 압축, 수송, 유통, 전환 시설도 필수입니다. 석유, 가스 분야의 메이저 기업은 이러한 인프라에 강점이 있으며, 기존 자원을 활용하여 수소 산업에서 우위에 설 수 있습니다.” 과연 에너지 기업들의 배팅이 성공할 수 있을까요?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1월 10일. 월가를 흔드는 밀레니얼 투자자의 등장
우리나라에 “동학개미”가 있다면 미국에는 “밀레니얼 투자자”가 있습니다. 20대와 30대 젊은 투자자들은 말쑥한 정장을 차려입고 자산운용사에 방문해서 상담을 받는 대신, 스마트폰과 주식 영상으로 주식투자에 뛰어들었습니다. 해외에서도 월가의 밀레니얼 투자자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아직 자산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미래의 큰 손이 될지도 모르는 젊은 세대 투자자들의 투자 방식에 따라 월가의 미래가 바뀔 수도 있으니까요. 밀레니얼 투자자에 대한 이코노미스트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1월 3일. 글로벌 100대 지속가능 기업 선정
월스트리트저널이 글로벌 100대 지속가능 기업을 발표했습니다. 지속가능 기업이란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등을 추구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단기적인 재무 성과로 기업을 분석하는 과거의 평가 방식과 달리, 기업이 중시하는 사회적 가치와 장기적 주주가치를 평가하는 것이죠. 일본의 소니가 1위에 오른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 중에서는 LG전자와 삼성전자가 100대 기업에 뽑혔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어떤 분야의 기업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는지, 지속가능 기업이 되기 위한 요소가 무엇인지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를 통해 알아봅시다. 더 보기 -
2020년 10월 27일. AI에서 얼굴인식까지: 중국은 어떻게 신기술의 글로벌 표준을 선점하려 하는가?
(파이낸셜 타임스, James Kynge and Nian Liu) 미국과 중국 사이의 갈등이 첨예한 가운데, 새로운 산업의 패권을 둘러싸고 글로벌 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한창입니다. “표준을 장악하는 자가 시장을 지배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산업 표준은 시장의 진입과 퇴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중국은 일대일로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자국의 표준을 전 세계로 확산하려 합니다. 또한,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기술 표준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미-중 표준 경쟁의 양상과 전망에 대한 파이낸셜 타임스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0월 25일. 노동의 가치가 인정받지 못하는 나라일수록 코로나19에 취약하다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특히 큰 이유도 노동자가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노동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더 보기 -
2020년 10월 20일. 미국 도시들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녹색 회복”에 주목하는 이유
(가디언, Oliver Milman) 로스앤젤레스, 시애틀, 뉴올리언스와 같은 미국의 주요 도시들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 회복을 통해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인간 중심의 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녹색 회복의 개념은 무엇이며, 세계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요? 과연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요? 가디언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20년 10월 7일. 에너지 전환 시대의 새로운 지정학
(월스트리트 저널, Daniel Yergin)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에너지 전환 시대의 글로벌 권력이 어떻게 이동할까요? 러시아와 중동의 산유국은 현재의 글로벌 파워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과연 어떤 나라가 새로운 변화의 주도권을 쥐게 될까요? 퓰리처상 수상자인 대니얼 예긴이 에너지 전환 시대의 글로벌 권력 지형의 변화를 다룬 신간을 출간했습니다. 더 보기 -
2020년 9월 30일. 세계 경제가 정말로 회복되고 있는 걸까요?
코로나 팬데믹이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각국의 봉쇄조치가 해제되면서 경제회복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죠. 과연 세계 경제는 회복기에 진입한 것일까요? 아니면 앞으로도 혹독한 시련의 경제가 이어질까요? 이코노미스트지에서 세계 경제 전망과 함께 글로벌 경제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세가지 요인을 소개했습니다. 더 보기 -
2020년 9월 22일. 미-중 기술 냉전의 도래
트럼프 정부의 중국 때리기가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단지 공화당 정부, 트럼프 대통령이기 때문일까요? 미국에서는 오는 11월 대선에서 누가 승리하든 중국과의 경쟁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미-중은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이어진 경제적 협력·의존 관계를 벗어던지고 본격적인 경쟁으로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외교협회의 중국 정책 전문가 아담 시걸이 미-중 경쟁의 핵심 분야인 기술 분쟁과 관련해 포린 어페이스에 기고한 글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