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로 판단하는 시대는 끝났다
학위는 고등교육의 주된 목표가 된지 오래되었습니다. 미국인들은 더 좋은 학교의 더 많은 학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해왔고, 아시아에서는 학위 숭상 현상이 더욱 심합니다. 인재를 채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학위는 지원자의 잠재적 능력을 가장 빨리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졸업 예정자나 그들의 부모도 학위가 추후 얼마나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지 보여주는 신호라고 생각해왔죠. 완벽한 지표는 아니지만, 딱히 다른 측정 방법이 없었으니까요. 최상위대학 졸업장은 한 사람의 능력, 인맥, 업무 습관을 보여준다고 간주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고등교육 시스템은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연구자들 표현에 따르면 교육수준과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 분리(unbundle)되고 있죠. 그에 따라 학위장이 갖는 의미도 적어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고등교육이 가져다주던 가치가 별 필요 없게된 거죠.
지원자들의 능력과 소질을 가늠할 수 있는 방법도 많아졌습니다. 일했던 샘플, 자기 소개, 동료와 상사의 평가, 웹상에 공유된 자료들, 시험 점수와 자격증 등이 있죠. 먼저 텀블러나 워드프레스처럼 온라인 포트폴리오를 보여줄 수 있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수학과 물리학에서는 관련 커뮤니티 Brilliant가 있고, 업무 적성이나 태도를 게임을 통해 측정하는 Knack, Pymetrics, Kalibrr 등의 프로그램도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HireArt 는 일에 관련된 과제를 내주고 지원자들이 직접 수행해보도록 하죠. 프로그래머들은 GitHub 라는 웹커뮤니티에서 그들의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다른 프로그래머들과 함께 코드를 평가, 개선해 나갑니다.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에서의 평판이 쌓여가죠.
혁신의 경제에서는 학위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거추장스러워질 우려도 있습니다. 한 소프트웨어 회사의 CEO는 가능한 한 학위가 높은 프로그래머 고용을 피하는 이유로 실력대비 보수가 높고 오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 설명했습니다. MBA 학위도 같은 이유로 안좋은 평판을 얻죠. 오늘날 학위는 너무나 20세기적인 아이디어입니다. (Harvard Business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