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의료 정보 시스템
2013년 1월 28일  |  By:   |  과학  |  No Comment

2005년도에 발간된 랜드보고서 (RAND report)에는 전자차트가 정착되면, 이에 따른 잠재적 비용 감소가 약 90조 원($81 billions)에 이를 것으로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추정되어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전자차트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제네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과 서너(Cerner)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일으켰습니다. 최근에 같은 기관(RAND)에서 발간된 보고서는 현 상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 현재 의료정보 시스템은 같은 제품끼리의 연결도 잘 되지 않고, 다른 제품 간 호환성도 떨어집니다. 어디서나 개인의 재무정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현금 카드 서비스와 비교하면 수준이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전자차트의 보급률도 아직 높지 않습니다. 미국 병원의 27%만이 전차차트를 보유하고 있으니 상호 호환성을 논의할 단계도 아닙니다.
  • 전자차트를 통한 의료 서비스 품질이 좋아졌다는 어떠한 증거도 아직 없습니다. 이는 정부재정 지원만을 노리고 병원들이 앞다투어 전자차트의 도입에만 신경을 썼기 때문입니다.
  • 전자차트의 도입만이 아닌 새로운 수준의 노력이 있어야 의료 서비스의 품질이 올라갈 것입니다.

의료정보시장의 주요한 단체를 의료정보 서비스 업체, 병원과 의원, 정부, 환자로 분류했을 때, 각각 어떤 점들을 앞으로 고민해야 할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 의료정보 서비스 업체: 정말 의사가 쓰고 싶은 것을 만들어야 합니다. 각자의 포맷들이 달라서 호환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극복할 기술 표준을 확립해야 합니다.
  • 병원과 의원: 행위별 진료비제를 시행하는 한 큰 변화를 가져오기 어렵습니다. 진료 항목에 따른 비용 청구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전자차트를 활용하여 환자를 잘 관리하고,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해야 합니다.
  • 정부: 전차차트 도입을 위한 재정적 지원에는 근본적으로 찬성합니다. 정부 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있기 전까지는 미국 의사협회, 미국 병원협회의 어떤 시도도 지금처럼 의료정보 시스템의 확산을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이제는 전자차트의 단순 확산이 아닌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부 차원의 또 다른 시도가 필요할 때입니다.
  • 환자: 개인 의료정보를 찾아보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의료서비스의 소비자로서 권리를 스스로 찾아야 합니다. 당신이 방문하는 병원이 환자 개인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지, 혹시 아직 종이 차트를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변화를 요구하십시오. (The Health Care Blog)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