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그램의 복종실험의 의미:II
2012년 12월 19일  |  By:   |  과학  |  No Comment

밀그램은 자신의 실험결과를 인간이 위계질서하에서는 “도덕적 주체”에서 “복종의 객체”로 전환된다는 방식으로 설명했고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나는 내가 이 이야기를 강연에서 꺼낼 때마다 젊은이들이 자신은 절대 그 실험의 지원자처럼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몇달 뒤, 나는 그들이 전쟁터에서 피해자에게 가하는 행위를 보게 되고, 이것은 나를 항상 놀라게 합니다.”

밀그램의 이 말은 매우 예리한 관찰입니다. 2009년 데이브 그로스만의 “살인의 심리학(On Killing)”은 병사의 가장 큰 동기는 정치나 이데올로기가 아닌 동료애임을 말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영장류로 진화해 왔고, 진화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도덕을 가족, 친구, 그리고 우리가 속한 사회와 일치시켜 왔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권위에 복종하지 않으며 자신이 속한 도덕적 공동체가 가리키는 바를 따르게 됩니다.

올해 “심리과학의 시각(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지”에 실린 “밀그램 실험의 재해석 연구”역시 여기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그들은 인간이 “일체감에 의한 복종(identification-based followership)”에 따라 움직인다고 보았고 지원자가 “지시자 및 과학자 집단”과 일체감을 느끼는가 또는 “피해자 및 일반대중”과 일체감을 느끼는가에 따라 지원자의 복종의 정도가 달라지며, 이를 통해 밀그램의 실험을 성공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밀그램 모델의 또 다른 단점은 아렌트가 “악의 평범성”에서 보여준 아돌프 아이히만과 그 집단의 악행을 단순히 위계질서하에서 복종하는 인간으로 묘사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2002년 역사학자 야코프 로조윅이 “히틀러의 관료들”에서 설명했듯이 아이히만과 그의 수하들은 오랜 시간동안 유대인을 학살하기위해 치밀하게 준비했습니다.

독일 비밀경찰(SS) 중의 한 명인 칼 크레츠머가 1992년 쓴 “좋았던 날들(The Good Old Days)”에서 남긴 이 말은 그들이 악인들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또 하나의 증거입니다.

“인간은 약하기때문에 사람들을 죽이는 것은 쉽지 않다. 이것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더 자주 죽이는 것이다. 그러면 이것은 습관이 된다.”

다행히, 인류가 가진 도덕성은 그 사람들의 나쁜 습관을 다시 고칠 수 있었습니다. (Scientific American)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