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감(Truthiness)의 심리학
2012년 11월 1일  |  By:   |  과학  |  No Comment

대통령 후보토론이 끝날때마다 언론은 누가 더 진실을 말했는지를 보도합니다. ‘사실확인전담반’은 오바마와 롬니의 한마디 한마디를 검증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음날 뉴스를 보기전에 이미 어떤 후보가 더 진실해 보였는지 알고 있습니다. 이런 판단은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요?

미국의 정치프로그램 진행자 스티븐 콜베르가 고안해 낸 ‘진실감(truthiness)’이라는 단어는 2006년, 웹스터 사전이 매년 선정하는 그해의 단어에 선정됩니다. 사전은 이 단어를 “사실이나 논리가 아닌 직감에 의해 진실로 느껴지는 정도”라고 정의했습니다. 비록 이 단어는 콜베르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이 개념은 심리학자들이 오랫동안 연구해오던 주제입니다.

빅토리아 대학의 한 연구는 어떤 진술이 사진과 같이 주어졌을 때 사람들이 그 진술을 참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은 유명인의 이름과 함께 “이 사람은 죽었습니다.” 또는 “이 사람은 살아 있습니다.”라는 진술을 보고 이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답했습니다. 그 결과 진술의 내용에 상관없이, 그 사람의 사진이 진술과 같이 주어졌을 때, 더 많은 사람들이 그 진술이 참이라고 생각한다는 답을 하였습니다.

이 결과는 땅콩 사진과 함께 “땅콩은 복숭아와 같은 진화를 겪었다”, 타조의 사진과 함께 “타조의 눈은 뇌보다 크다”가 주어졌을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저자들은 이런 결과를 사람들이 새로운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서 기존의 기억정보에 접속하며, 접속이 쉬울 때 우리가 그것을 진실이라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추정합니다. 이 접속이 쉬움(ease-of-recall)은 익숙함(fluency)이라고 불리며, 사람들의 판단에 커다란 영향을 끼칩니다. 사람들은 익숙한 얼굴을 더 매력적으로 느끼며 익숙한 이름에 신뢰를 가집니다.

어떤 진술이 사진이나, 판단에 도움이되는 다른 정보와 같이 주어질 때, 우리는 그것을 생각보다 쉽게 믿게 됩니다.

“어떤 것이 너무 그럴듯 하다면, 그 때가 그것을 의심해 볼 때입니다.” (Scientific American)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