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순수주의" 주제의 글
  • 2013년 8월 14일. 소셜미디어가 프랑스어에 미치는 영향

    최근 프랑스 문화부 장관이 트위터에서 철자법 실수를 해 논란이 됐습니다. 장관은 보좌진의 실수였다며 곧바로 트윗을 삭제했지만, 소셜미디어가 언어파괴를 부추긴다며 걱정하는 프랑스의 언어순수주의자들에게 이번 일은 단순한 실수 이상이었습니다. (프랑스어의 발음 구분 기호인 악상accent을 모두 빼고 문장을 작성함-역자주) 프랑스는 외국어, 특히 영어의 침투를 막아내고 언어의 순수성을 지키는데 큰 힘을 쏟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의 광고 문구나 상품명, 음식점의 메뉴명까지도 프랑스어로 번역해서 사용하다보니 우습지만 웃지 못할 상황도 종종 벌어집니다. 프랑스어 문장은 같은 뜻의 영어문장보다 길이가 길기 때문에 게시물의 길이를 140자로 제한하는 트위터의 등장은 많은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문장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스펠링을 바꾸고, 신조어를 쓰고, 문법도 파괴합니다. 트위터 상의 “팔로우(follow)”의 경우, 영어 동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팔로우당하다”라고 쓸 때는 프랑스어식 수동태 변화를 적용해 followé라고 쓰는 식입니다. 영어에서 명사인 “트위터(twitter)”는 프랑스어에서 동사로 쓰이고, 프랑스어의 동사 변화 규칙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우리가 트위터로 ~를 생중계한다”는 문장을 “Nous live-twitterons ~”(Nous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함께 쓰는 동사 원형 말미에 ons를 붙이는 것이 흔한 동사 변화 규칙임-역자주)으로 쓰는 식입니다. 프랑스 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해시태그” 등에 대응하는 단어를 만들어 홍보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한편, 소셜미디어가 프랑스어를 망치고 있다는 주장에 반기를 드는 사람도 있습니다. 열성적인 트위터 사용자이자 프랑스어의 수호자를 자처하는 78세의 문학평론가 베르나르 피보(Bernard Pivot)는 최근 완벽한 프랑스어로 쓴 자신의 트윗들을 묶어 책으로 펴냈습니다. 그는 트위터가 오히려 언어 사용 행태를 반성해 보고, 간결미와 절제미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의 제 1조는 136자로, 트위터에 꼭 맞는 길이입니다. (Economist)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