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주제의 글
-
2018년 12월 14일. 진실로 둔갑한 거짓, 가짜뉴스는 어떻게 편견을 만들어내나 (3/3)
2부 보기 블레어 씨는 지난 2년 동안 수천 편의 가짜뉴스를 만들어냈습니다. 매번 기본적인 틀은 그대로 두고 내용만 조금씩 바꿔서 내보내는 가짜뉴스에 거의 매번 똑같은 편견에 갇혀 사는 사람들은 예외 없이 똑같이 속아 넘어갔습니다. 블레어 씨는 실제로 자기가 올린 가짜뉴스가 어떻게 퍼져나가는지 확인해본 적은 없습니다. 대개 글을 올린 뒤 1분 사이에 평균 8회, 15분 안에 평균 160회, 그리고 한 시간 안에는 1천 번 넘게 공유되죠. “우리 페이지는 그야말로 썼다 하면 대박이다. 더 보기 -
2018년 12월 6일. 진실로 둔갑한 거짓, 가짜뉴스는 어떻게 편견을 만들어내나 (2/3)
1부 보기 블레어 씨는 거기까지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고는 다시 한번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봅니다. 사진 속 백인 여성은 물론 첼시 클린턴이 아니었습니다. 백악관 참모로 일했던 호프 힉스였습니다. 흑인 여성도 미셸 오바마가 아니라 트럼프 보좌관을 역임한 오마로사 뉴먼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진 속 행사에 오바마도, 클린턴도 초대하지 않았습니다. 사진 속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모욕하고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사진이나 글이나 터무니없는 것들을 억지로 엮어서 마구잡이로 뒤섞어놓은 것에 불과한 겁니다. 더 보기 -
2018년 11월 29일. 진실로 둔갑한 거짓, 가짜뉴스는 어떻게 편견을 만들어내나 (1/3)
컴퓨터 모니터 석 대에서 나오는 불빛을 빼면 아무런 조명도 없는 어두침침한 방. 크리스토퍼 블레어(46) 씨는 컴퓨터 앞에 앉아 무언가를 골똘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부인은 이미 출근했고, 아이들도 학교에 간 오전. 집에 혼자 남은 블레어 씨는 오늘도 늘 가는 자신의 웹사이트로 출근 도장을 찍습니다. 자판에 올려놓은 손은 섣불리 움직이는 대신 신중하게 블레어 씨의 명령을 기다리고 있는 듯합니다. 블레어 씨의 머릿속은 ‘오늘은 어떤 뉴스를 만들어 사람들을 낚아볼지’에 대한 고민으로 가득합니다. “긴.급.속.보. (BREAKING)” 독수리 더 보기 -
2018년 6월 2일. 사람들은 왜 과학을 믿지 않게 되는 걸까?
흔히 정치적 맹신이 과학적 근거와 명백한 사실에 눈 멀게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더 보기 -
2018년 5월 11일. 경이로운 자연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실은 연출과 조작의 산물이라면?
박제한 개미핥기를 실제 자연에서 찍은 것처럼 속여 사진전에 제출했다가 거짓이 탄로나 수상이 취소된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사건을 계기로 사진작가들이 털어놓은 자연 사진의 뒷이야기를 들어보면 비슷한 사례가 적지 않아 보입니다. 더 보기 -
2017년 3월 12일. 명백한 거짓을 믿게 되는 이유
낫 놓고 기역 자를 모르는 사람, 아니 알려고 하지도 않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그저 대중이 원래 무지해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지식과 정보의 생리가 그렇고, 우리도 누구나 사실 지금 내가 아는 것이 오롯이 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쉽게 잊습니다. 공동체가 지식을 공유한 덕분에 내가 아는 게 많은 것처럼 느껴질 뿐이라는 명확한 사실을 망각하면 그때부터 우리는 자만에 빠지는 겁니다. 더 보기 -
2016년 3월 23일. SNS 상의 진실과 거짓, 구분할 수 있을까?
2013년 세계경제포럼의 한 보고서는 "대량의 잘못된 디지털 정보"가 "현대 사회의 주요 리스크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셜네트워크는 구조적으로 공유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그 구조 자체가 좋은 정보와 나쁜 정보를 구분하지는 못하기 때문입니다. 페이스북은 친구들의 소식을 듣고 강아지 사진을 올리기에도 좋은 공간이지만, 루머와 거짓말, 음모론을 만들어내기에도 적합한 공간이라는 말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2월 17일. 크레이그 실버맨, “보도국(편집국)에 띄우는 편지: 오보와 뜬소문, 이렇게 바로잡으세요”
삽시간에 퍼진 소문은 사실 여부를 떠나 대중들 사이에서 이내 진실로 굳어지곤 합니다. 잘못된 소문을 바로잡는 것 또한 언론의 사명이라면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이를 실천할 수 있을까요? 자자 크레이그 실버맨은 여러 가지 제안을 나열한 뒤 모든 언론들이 각기 실정에 맞는 다양한 실험을 한 뒤에 경험을 공유해서 오보와 뜬소문을 바로잡는 체계적인 틀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더 보기 -
2012년 11월 1일. 진실감(Truthiness)의 심리학
대통령 후보토론이 끝날때마다 언론은 누가 더 진실을 말했는지를 보도합니다. ‘사실확인전담반’은 오바마와 롬니의 한마디 한마디를 검증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음날 뉴스를 보기전에 이미 어떤 후보가 더 진실해 보였는지 알고 있습니다. 이런 판단은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요? 미국의 정치프로그램 진행자 스티븐 콜베르가 고안해 낸 ‘진실감(truthiness)’이라는 단어는 2006년, 웹스터 사전이 매년 선정하는 그해의 단어에 선정됩니다. 사전은 이 단어를 “사실이나 논리가 아닌 직감에 의해 진실로 느껴지는 정도”라고 정의했습니다. 비록 이 단어는 콜베르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이 개념은 더 보기